[다산 정약용 평전]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다산 정약용 평전 - 조선 후기 민족 최고의 실천적 학자
박석무 지음 / 민음사 / 2014년 4월
평점 :
언젠가 중국을 전공으로 하는 사람에게서 이런 질문을 받은 적이 있다. '중국에는 역사적으로 이름난 학자들이 많다. 고금의 공자, 맹자, 그리고 수많은 제가백가부터 현대의 루쉰까지. 우리나라는 어떤가?' '물론, 많다! 우리나라에는 음…' 그땐 쉽게 말할 수 있을 것 같아 '물론'에 힘을 빡 주고 바로 줄줄 말할려고 했는데, 막히고 말았다. 바로 답을 하지 못한 변명을 대자면, 조선시대를 빼고 고금의 우리나라 학자들이 생각나지 않았다. 그리고 좀 있은 후 생각났지만, 이미 상대의 관심은 사라진 후였다. 나의 무지와 민첩하지 못한 반응이 아쉬워선지 이때 기억은 좀처럼 잊혀지지 않는다.
앞의 일이 있은 후 언젠가 또 이런 질문을 받으면 꼭 명단에 넣어야 할 학자로 생각해 둔 사람이 있다. 바로 '정약용'이다. 사실 내가 가지고 있는 정약용에 대한 정보는 희박하다. <경세유표>, <목민심서>, <흠흠신서>의 저자, 정조대왕의 충실한 신하, 그리고 과거 신문에서 봤던 정약용 강진 유배시절 아내의 색바랜 치마로 서첩을 만든 일 등. 재미로 덧붙이면 드라마나 영화에서 나왔던 이미지 정도로, 막연하게 나는 정약용에 대한 나만의 이미지를 만들어왔다. 또한 정약용의 시 묶음집, 관련된 책들을 읽으면서 학술적이지만 어렵지 않은 정약용 평전에 대한 갈망이 생기기도 했다. 특히 유홍준의 <완당평전(2002)>을 접한 후에는 왜 정약용에 대한 이런 평전은 없나 싶은 질투와 아쉬움이 크기도 했었다. 그런데 드디어 정약용 평전이 세상에 나왔다!
'평전'에 대해서 좋았던 기억은 별로 가지고 있지 않다. 안중근 평전은 글보다 그림이 많았던 기억이, 베토벤 평전은 균형을 잃었던 것 같고, 완당 평전은 도대체 무슨 말인지 어려웠었다. 하지만 그래도 알고 싶어하는 사람이 머리 숙이고 들어가야지 어쩌겠는가? 평전에 대한 기억은 좋지 않으나, 그래도 다시 한번 기대해 본다.
<다산 정약용 평전>은 장장 600쪽이 넘는 종이에 정약용의 인생과 평가를 담았다. 그 시작은 정약용의 암행어사로 직무를 수행할 때이고, 학문을 익히던 시절, 든든한 후원자 정조대왕과 함께 한 관료생활, 18년 간의 유배, 그리고 그 끝은 그의 죽음과 후세들의 평가로 맺어진다. 저자는 슬픔과 기쁨을 별개로 나누지 않으며, 다산의 삶도 마찬가지였음을 강조한다. 저자가 4개로 나눈 다산의 삶에서 내내 억울함과 시기심이 느껴진다. 전자는 다산의 입장이요, 후자는 다산 정적의 입장이다. 절대권력자의 무한한 애정을 받았던 다산은 천주교도라는 억울한 누명을 쓰고 장기를 거쳐 강진으로 유배를 떠났다. 저자는 많은 부분을 할애하면서 다산이 천주교도가 아니었음을 강하게 변호해주고 있다. 다산이 정조대왕에게 지어 올렸다는 자기변호 상소는 정조대왕과 당대사람들에게 그 내용이 합리적이며 문장이 수려하다는 칭찬까지 받았다. 저자는 마치 다산이 된것처럼 여러번 다산이 천주교도가 아니었음을 강조한다. 여기서 그 일로 18년간 유배생활을 한 다산에 대한 안타까움이 컸기때문에 객관성과 균형을 잃은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잠깐 해보았다.
책은 관리로서 다산, 학자로서 다산, 개인으로서의 다산을 이야기 하고 있지만, 그의 시 또한 많이 싣고있다. 다산은 시성 두보를 연상케하는 애민의 시를 다수 지었다. 다산은 "나라를 걱정하고 백성을 안타깝게 여기지 않는 시는 시가 아니다."라고 자신의 시관을 확고히 했으며, 관념에 머무르지 않고 경세학자로서 그것을 실천해 보이는 삶을 살았다. <다산정약용평전>의 다산 시들은 민생을 생각하는 그의 마음이 고스란히 느껴지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또한 "천하고 힘없는 백성들이지만, 산처럼 높고 무거운 것 또한 백성들이다."같은 다산의 민본중심사상을 강조한다. 이또한 현재 경시되고 있는 국민주권에 대한 안타까움에서 기원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무리일까. 600쪽이 넘는 분량을 읽으면서 가장 흠뻑 빠졌던 다산의 매력이다. 백성들(국민들)을 높고 무겁게 여길 줄 알았던 다산이 많은 저서를 남긴, 문장을 잘 쓸 줄 알았던 다산보다 더욱 높아 보인다.
최근 종영한 KBS대하드라마 <정도전>의 마지막회에서 정도전은 이방원에게 임금의 역할에 대해서 말했다. "나라의 주인은 백성이다. 임금은 백성을 위해 존재하는 도구이다." 그리고 몇달 전 영화 <변호인>에서 송우석은 말했다. "대한민국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국가란 국민입니다." 이들과 때를 같이 해서인가 다산의 민본사상에 더욱 애착이 가며, 18년간의 유배생활 대신 정치가로서 다산이 자신의 능력을 펼쳤다면 하는 아쉬움이 짙게 남는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