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내라 브론토 사우루스]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힘내라 브론토사우루스 ㅣ 스티븐 제이 굴드 자연학 에세이 선집 3
스티븐 제이 굴드 지음, 김동광 옮김 / 현암사 / 2014년 4월
평점 :
품절
'브론토사우루스'라…… 생소한 단어이지만, 단어 '사우루스'와 공룡 두 마리가 무거운 발걸음(?)으로 책 표지 위를 걷고 있는 모습으로 '공룡'에 관한 글인가 싶다. 또 책의 실물을 보자마자 드는 무게감은 이 책 만만치 않겠구나 싶은 생각에 소심한 겁까지 먹고 만다. 이럴 때 쉽게 가는 방법은 옮긴이의 글을 살짝 엿보는 방법! 옮긴이의 후기에 의하면 스티븐 제이 굴드는 과학자이지만 그의 글은 '경계짓기'와 '성찰하기'로 요약할 수 있겠단다. 여기서 한번 용기를 얻고, 시작해 본다.
스티븐 제이 굴드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서문의 "자연은 진기한 진화적 발명품으로 태어난 늦둥이 포유류의 뒤늦은 지혜를 별반 괘념치 않을 만큼 방대한 시간적 · 공간적 범위에 걸친 장엄한 실체다."라는 문구를 만났을 때, 이 책이 고행이 아닐 것이라는 생각이 번뜩 들었다. 이 한마디에 굴드가 꽤 위트있는 작가이자 과학자일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역시나 처음에 먹었던 겁은 날려버려야겠다. 일반인들을 배려(?)한 그의 소재 선택과 글쓰기 작업은 과학에서 시작해서 사회·역사·문화로 귀결되고, 그 역도 가능케 하는 신묘함을 선보인다. 어떤 글에서는 굴드가 과학자가 되지 않았다면, 시트콤 작가가 되었어도 성공하지 않았을까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웃음이 나기도 했었다. 굴드는 플라밍고에 대한 세이어의 이론을 반박하는 글에서 "나는 종종 세이어가 자연 속에 있는 보호색의 배타성에 집착하듯, 터무니없는 통일성이나 잘못된 단순화에 지나치게 전념하는 과학자들에 대한 글을 썼다."라고 고백했다. 그래서인지 곳곳에서 굴드의 글은 시트콤같은 혹은 체홉의 단편에서 느낄 수 있는 유쾌함과 통쾌함을 느끼곤 했다.
또 굴드의 글을 읽다 보면 일반인들이 쉽게 느꼈을 궁금증(과학자들에게는 너무도 당연한 일이지만), 혹은 그냥 생물에 붙여진 명칭만 읽었을 뿐인데 말인지 뭔지 헷갈리는 경우, 일반인들이 봤을 때 불필요해 보이는 것들에 대해 침착하면서도 논리있게 설명해 줌으로써 일반인들을 이해를 돕는다. "(명명에 대해서) 이런 논쟁은 비전문가들에게는 다소 우스꽝스럽게 비칠 것이다. 아마도 분류학이 과학이라기보다 말장난처럼 느껴질 것이다. …… 이 논쟁의 목적은 쓸데없는 말들을 헤쳐 나가 안정되고 실제적인 결정에 도달하고, 계속해서 실체의 세계로 나아가는 것이다." 과학자로서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지 않은 부분들을 긁어주는 모습에서 과학을 다른 분야와 구분짓지 않으려는 굴드의 노력이 엿보이기도 한다.
'공룡광풍'에서는 지금은 제대로 발음하기도 어려운 공룡의 이름들을 어린 시절에는 어떻게 줄줄이 외웠는지 궁금한 지경이었는데, 이에 대해서도 함께 공감해준다. "공룡에 대한 관심은 유년시절 잠깐씩 거쳐가는 짧은 삽화적 사건들 중 하나가 되고 있다." 하지만 굴드는 여기에 그치지 않고 유년시절의 호기심과 관심을 지속시켜 줄 수 있는 제도의 필요성도 잊지 않는 꼼꼼함을 발휘한다. 단순히 관심유도용 글쓰기에 머물지 않고 개선 방향도 함께 제시해 준다. 여기서 옮긴이가 정의한 '경계짓기, 성찰하기'라는 굴드의 글쓰기 요약을 제대로 맛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과학은 어렵다, 전문적이다.'라는 부담감은 분명히 존재한다. 하지만 굴드의 글들을 읽다보면 이 과학과 비과학으로 구분지었던 현상들에 대한 경계가 점차 허물어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굴드가 서문에서 밝힌 것처럼 자연에 비하면 인간들이 하는 짓은 얼마나 보잘 것 없는 것이겠는가!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