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김대중 옥중서신 - 반양장
김대중 지음 / 한울(한울아카데미) / 2009년 8월
평점 :
품절


얼마전 서거하신 김대중 전 대통령이 1980년 육군교도소와 청주교도소에서 옥살이를 하면서 아내 이희호 여사를 비롯한 가족에게 보낸 편지를 엮은 책이다. 29편의 편지가 과연 얼마만큼의 분량이나 될까 하고 쉽게 봤는데 내용이 실로 대단하다. 김대중 선생은 봉함엽서에 깨알같은 글씨로 원고지 104장 분량을 담아 적었다. 

이 서신을 보면서 한 인간이 얼마만큼 깊이 있는 인격체로 성장 발전할 수 있는지 그 끝을 어렴풋이 짐작할 수 있게 된다. 한국 역사 최고의 지도자이자 지식인임을 절실히 느끼게 된다. 그가 얼마나 생명을 존중하고 아내를 존경하며 자식을 사랑하는지 느낄 수 있다. 그가 얼마만큼 국가와 민족을 사랑하고 민주주의를 흠모하는지 절감하게 된다. 

그의 신앙의 깊이가 얼마나 깊은지 알 수 있고 그가 얼마나 고통과 시련속에서도 삶의 비전과 애정을 갖고 생을 살았는지 알게 된다. 짧은 지식과 그동안의 보잘것 없는 독서의 경험으로는 예전에 미처 느낄 수 없었던 감동과 감격, 그리고 놀라움과 경외로움의 총합체다.

이 한권의 서신집에는 종교, 철학, 문학, 사회학, 경제학, 정치학, 생물학, 어학, 의학이 총 망라된 그의 지식세계가 겸손하면서도 강력한 메시지로 펼쳐진다.  
무엇이 되기보다 어떻게 살아야 할지를 고민하며 살았던 그는 행동없는 양심은 죽은 것이라고 외친다. 너무 강해서 눈물도 피도 없을 듯 보였던 거목 김대중의 진짜 모습은 너무도 약하고 눈물이 많고 작은 민들레 하나의 생명도 애절하게 바라볼 줄 아는 감성적인 위인이었다.

국가와 민족을 사랑하면서도 세계의 평화와 함께 잘 사는 세상을 항상 꿈꿨고 모든 불합리와 불평등과 비민주적인 것과 맞서 도전과 응전의 연속된 삶을 치열하게 살았다. 그가 위대한 것은 몇 번의 죽을 고비를 넘겼고, 수차례의 옥살이를 경험했으며 그 모든 난관을 극복한 후 일국의 대통령이 되고 노벨평화상을 받은 유일한 한국인이라는 데에 있는 것이 아니었다. 끊임없이 자신을 연마하며 자기개발을 실천했다는 데에 그의 위대함이 있었다. 

그가 갇혀있던 감방이라는 제한된 공간마저도 구속하지 못했던 그의 철학과 사상, 그리고 신앙심은 그 모든 억압을 뚫고 세상을 향해 자신의 메시지를 강하게 선포한다. 그의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쓰여진 사색의 잠언은 사람이 한정된 시간속에서의 일생을 살면서 알고 지켜서 실천해 나가면 매우 유익할 명언들이다.

이 서간문에 등장하는 다양한 분야의 학문적 깊이를 체험하고 느끼게 되면 왜 <김.대.중>인지를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아내 이희호 여사의 저서 <내일을 위한 기도>와 비교해 보면 더욱 흥미로울 것이다. 울기도 하고 감격도 하고 감탄도 하고 감동도 되어 한편의 영화보다 더욱 드라마틱한 이 책을 모든 이들에게 권하고 싶다. 이 책을 읽고 나서 나 역시 아내와 자녀들에게 아버지로서의 본을 보여야겠다는 각오와 결심을 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문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 정진홍의 인문경영 시리즈 1
정진홍 지음 / 21세기북스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대학시절 교양과목 중에 한 강의를 맡은 정진홍 교수님을 통해서 한 학기동안 강의를 들은 적이 있다. 물론 시간 강사로서 상당히 젊었던 기억이 있고 문명과 문화를 비교 설명하면서 영화 <시네마천국>의 토토를 주제로 멋진 강의를 했던 것이 생각이 난다.

그후 정진홍은 100분토론 등 TV 토론 프로그램에서 사회를 맡는 등 세상에 얼굴을 알리며 활약을 했고 컬럼니스트에 사회학자로서 직보다는 업에 목숨을 건 사람으로서 교수나 논설위원이라는 직보다는 컨텐츠 크리에이터라는 업을 중요시 여기는 이 시대의 글쟁이로 달변가로 자리잡고 있는 지식인이다.

이미 대학시절부터 그의 지식의 폭과 깊이에 매료되었던 나로서는 이 책이 그리 생소한 느낌을 주지는 않았지만 인문과 경영을 연결하는 작업이라는 데에 끌려 책을 사보게 됐다.

삼성그룹에서 가장 많이 강의를 하고 있는 정진홍씨가 주장하는 것은 21세기 경영의 성장동력으로 인문학은 절대적으로 필요한 자양분이라는 주장을 일관성있게 펴고 있다.

인문경영, 곧 인문학적 깊이가 전쟁터와 같은 경영 일선에서 비교할 수 없고 건널 수 없는 차이를 만들어 낸다는 것이다. 이렇듯 인문학의 소재를 세분하여 경영원칙에 접목시켜 나가는 방법과 설득력이 매우 흥미롭고 재미가 있다.

역사, 창의성, 디지털, 스토리, 욕망, 유혹, 매너, 전쟁, 모험, 역사 등 잘게 나눈 소재에 다양한 에피소드를 가미해 인문학적 경영의 논리와 리더십에 대해 논제를 던진다.

세상은 지식사회로 급변하고 그 속도의 법칙에 따라가기 벅찬 현대인들에게는 과학의 원칙만이 지배하는 세상이 아닌 인문의 법칙과 인문학적 가치가 절실히 요망된다는 사실에 전적으로 공감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 권으로 읽는 셰익스피어
미하엘 쾰마이어 편저, 김희상 옮김 / 작가정신 / 2005년 6월
평점 :
절판


셰익스피어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아는 사람도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성경을 모르는 사람은 없음에도 성경을 읽지 않는 것과 같다.

셰익스피어의 희곡을 전부 섭렵하기엔 그의 작품 세계가 워낙 방대하다. 그래서 이 책은 셰익스피어를 처음 접하기 위한 사람이나 아니면 그의 작품 전반에 걸친 서머리를 원하는 사람들에게(나같이) 유익할 듯싶다.

무엇보다 며칠전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에서 감명깊게 관람한 오페라<오텔로>를 책으로 다시한번 느끼고 싶은 마음이 앞섰다고 해야 할 것이다.

<오텔로><멕베스><리어왕><햄릿>과 같은 4대 비극은 물론 평소 쉽게 접할 수 있는 작품들을 볼 수 있다. 편당페이지가 많지 않게 편집되어 있어 부담이 덜하다. 그리고 무엇보다 셰익스피어의 위대함을 조금이라도 느낄 수 있게 된 것은 소중한 경험이다.

셰익스피어와의 인사하기를 마친 후엔 좀 더 셰익스피어에 대해 깊이 알아가도록 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쾌한 심리학 - 합본양장
박지영 지음 / 파피에(딱정벌레) / 2006년 12월
평점 :
절판


유쾌한 심리학을 사놓고 그리 정독을 하진 않았는데 얼마전 라디오에서 흘러나온 서평을 듣는 중에 유쾌한 심리학 2가 나왔다는 소식과 그 내용을 설명하는 국문학 교수의 감칠맛나는 서평에 이끌려 2편을 사 먼저번 구입했던 1편까지(그때는 2편이 나올줄은 몰랐다) 함께 읽어나갔다.
심리학은 대학과 대학원때 교양과목으로 항상 들었던 내용이고 쿠스타프 융이라던지 프로이트 등 정신분석학 거장으로 대표되는 인물로 인해 심리학의 다양성을 체험할 수 없었는데 박지영씨는 심리학이 어려운 학문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이라도 하듯 재미있게 풀어가고 있다.
특히 1편이 심리학 개론이라 하면 2편은 실전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2편이 재밌다. 진화심리학 등 남녀의 차이를 보여주는 에피소드는 고개가 끄덕여진다.
심리학은 학문이기에 앞서 매일매일 펼쳐지는 우리들의 삶의 현장에서 윤활유의 역할을 한다.
이 책은 바로 그러한 것을 설명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장정일의 공부 - 장정일의 인문학 부활 프로젝트
장정일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사랑하는 사람을 많을 것이다.

책을 사랑하는 사람들 가운데 장정일이 있다.

그의 이력은 간단하다. 중졸.. 작가..

'너에게 나를 보낸다' 영화를 충격적으로 보고 처음 장정일을 접했지만 그가 쓴 책을 읽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

책방에서 '장정일의 독서일기'를 보면서 그의 탐독에 대한 포스를 느끼긴 했지만 공부는 또 다른 맛을 느끼게 한다.

그는 말한다. 다들 일주일에 세권 정도씩은 독서하지 않나요?

결국 세상은 독서하는 사람들이 이끌어 간다. 과거에 그랬고 현재 그렇고 미래에 그럴 것이다.

Readers are Leaders 라는 말도 있지 않은가.

그러나 이 책은 장정일의 독서일기 7로 나왔어야 했다. 장정일의 공부라고 굳이 타이틀을 왜 붙였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