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쁜 사마리아인들 - 장하준의 경제학 파노라마
장하준 지음, 이순희 옮김 / 부키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경제에 대해 문외한이라 장하준 교수가 어떤 분인지는 몰랐다.
광고에 이끌려 구입해 보게 됐지만 이런 책을 만난다는게 쉽지만은 않은 세상 아닌가.
진짜 학자에 의한 고뇌와 연구의 깊이가 묻어나고 있음을 얼마전 앨빈 코플러의 <부의 미래> 이후 한국 학자에 의해 다시금 느껴보게 됐다.
나쁜 사마리안은 세계 강대국을 의미한다. 부자 나라들이다. 이들 나라들은 지금의 부자나라들이 되기까지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 소개한다.
그리고 자유경제체제가 얼마나 불공정 체제인지를 설명한다. 철저한 보호무역과 관세제도에 의해 만들어진 부자나라들은 개발도상국에게 자유무역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평평한 운동장에서 어른과 아이가 축구 게임을 하는 것과 다름아니다.
또 가난한 나라들은 원래 게을러서 가난하게 됐다고 부자나라들은 이야기들을 만들어 냈지만 실상은 가난하기 때문에 게을러진것이지 게을렀기 때문에 가난해진것이 아니라고 얘기한다.
저자는 또 문화적인 배경이 부국과 빈국을 가르는 원인이 되는 것은 아니라고도 설명한다.
촘스키가 강력하게 추천한 이 책은 장하준 교수의 영어로 된 원서를 한국어로 번역해서 나온 책이다. 한 경제학자가 자신의 논리를 펼쳐나가는 묘미를 함께 맛볼 수 있다는 것이 읽는 동안의 행복이었다.
장하준 교수가 한국인이라는 것이 자랑스럽다.
한국 저자이기때문에 한국에 대한 예가 자주 등장해서 그때마다 반가운 마음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