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산곶매 - 황석영 희곡전집
황석영 지음 / 창비 / 200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연극(문학)은 그 자체보다도 동시대 사람들의 생활과 함께 살아 존재하는 '글쓰기'의 존엄함"이다.  

 

  황석영의 리얼리즘은 바로 치열함인 것 같다.  

 

  그것은 사람들과 부대끼는 중에 만들어지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다라
김성동 지음 / 청년사 / 200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목적이 올바르다면 방황은 필요하다.  

 

  마치 골드문트(헤르만 헤세의 <나르치스와 골드문트>)가 그랬던 것처럼 말이다.  

 

  법운이 확연히 깨달았던 건 바로 인애(人愛)다.  

 

  깨달은 순간 하나의 방황은 끝나고 새 방황이 시작된다.  

 

  그게 인생이라 작가는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객지 황석영 중단편전집 1
황석영 지음 / 창비 / 2000년 10월
평점 :
품절


  곱추(<배운 사람>)의 마지막 한 마디는 마치 지식인들을 통째로 비웃는 것 같다.  

 

  사물과 현상을 올곧게 보기보다는 뒤틀어 보는 것이 마치 자랑인양 생각하는 사람들.  

 

  소설 속 곱추 앞이라면 누구라도 부끄럼을 느끼지 않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뜻으로 본 한국역사 - 젊은이들을 위한 새 편집
함석헌 지음 / 한길사 / 200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난의 역사를 되새긴다는 것이 그리 유쾌한 일만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이 있기에 보다 나은 역사를 꿈 꿀 수 있는 것이다.  

 

  부끄럽고 고통스런 역사는 모두 잊고 지우자는 뉴라이트 역사가들이 함석헌 선생의 정신 앞에선 무슨 말을 할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변풍경 - 박태원 장편소설 문학과지성사 한국문학전집 10
박태원 지음, 장수익 엮음 / 문학과지성사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본의 논리에 의해 서서히 파괴되어 가는 공동체의 모습.  

 

  하지만 그 안엔 아직 민중들의 웃음과 꿈이 있다.  

 

  그 웃음과 꿈을 기록하고 신뢰하는 게 작가들의 의무이리라.  

 

  박태원은 물론이고 그의 외손자인 봉준호 감독도 그 의무를 다하고 있다.  

 

             박태원(1909-198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