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aladin.co.kr/product/646/67/cover150/M822435386_1.jpg)
어제 월스트리트를 봤다.
작금의 증시상황이 '언제 그랬냐는 듯이' 따끈따끈한데,
이 영화를 보러 갔더니 '영화관'이 너무 썰렁해서 놀랐다.
일산 덕이동에 위치한 씨너스 극장에서 오후 5:35분에 영화가 시작이었는데,
애매한 시간대 덕분이었는지는 몰라도 난생 처음으로 아내랑 둘이서 영화관을 '송두리째' 차지하고 봤다.
이 영화에 대한 제대로 된 리뷰글을 쓰고 싶은 생각이 아직은 간절한데,
우선 급한 대로 '잡담' 수준의 페이퍼글이라도 올리고 싶어 '관련 자료'를 뒤적여 봤다.
전대미문의 금융위기를 겪은지 불과 2년 밖에 지나지 않았는데,
끔찍했던 그 당시의 상황을 다시금 떠올리는 건 어찌보면 내게도 잔인한 짓이다.
그렇지만 우리는 싫든 좋든 과거의 경험을 통해 배워야만 한다.
(혹은 어느 현자의 말대로 '경험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에 비례해서 현명해질 필요가 있다.)
긴 얘기를 쓰고도 싶지만 그건 이 영화의 리뷰글을 쓸 때의 부담으로 미뤄 놓기로 하고,
오늘은 글의 제목대로 'Doller'에 대한 아주 단편적인 모습만 이 글을 통해 들춰보고 싶다.
<관련자료 1>
지금으로부터 딱 2년 전 '전세계적 금융위기'가 극한으로 치달을 때,
미국에 살고 있는 지인(좀 더 정확히는 목사로 일하는 처남)한테 보낸 이메일이다.
그 당시 달러가치가 얼마나 폭등했으면,
그리고 또 국내 주가가 얼마나 심각하게 폭락했으면,
불쌍한 중생들을 계도하기에도 바쁜 성직자에게까지 이메일과 국제전화를 통해
'지금은 탐욕을 부릴 때'라고 충동질을 하면서 추파(?)를 던졌던가 싶기도 하다.
고든 게코가 이 영화에서 심심하면 입에 올리던 말인 '탐욕은 좋은 것이다'라는 주장만 하더라도,
목사라는 직업의 성직자에게는 도대체가 번지수가 맞지 않는 '개가 코웃음을 칠' 얘기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어려운 처지에 빠진 고국을 도와야 한다'는 나의 그럴듯한 명분과 집요한 설득에 공감했는지,
오랜 꾸물거림 끝에 '계좌개설과 복잡한 외환송금과정'을 거쳐 민간 차원의 '외화 유치'가 결실을 맺게 되었다.
지금 돌이켜 생각해 봐도 그 당시는 '모두가 어느 정도 제정신이 아니었던' 상황이긴 했나 보다 싶다.
어쨌든 작년 초에 처남이 송금해온 거금(?) 1만 달러는 불과 2년 만에 간단하게 대략 2만 5천 달러로 불어나 있다!
(한국증시가 좀 더 계속해서 상승하고 달러가치가 좀 더 하락한다면 아마도 지금보다 더욱더 불어날 것이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79883113603513.jpg)
<관련자료 2> 다소 뻥을 보태서 '100년 만의 기회'라고 명명한 엑셀 화일의 극히 일부 내용
(그림을 클릭하면 조금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79883113603514.jpg)
<관련자료 3> 필연적인 귀결이었던 'Doller naver Strong'를 다룬 따끈따끈한 '오늘의 뉴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79883113603516.jpg)
나중에는 또 많이 달라지겠지만,
어쨌든 지금 당장의 결론은 영화 제목을 닮은 다음의 '세 단어'임을 부정하기 힘들 것 같다.
Doller never Strong!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