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저속노화를 위한 초간단 습관
지미 모하메드 지음, 이연주 옮김 / 한빛비즈 / 2024년 12월
평점 :
「오늘의 책」
《 저속노화를 위한 초간단 습관 》
_지미 모하메드 / 한빛비즈
사람들은 나름대로 살아가는 삶의 방식이 있다. 새벽형 사람이 있는가하면, 밤이 되면 더 생생해지는 사람도 있다. 각기 기호식품도 다르다. 그 습관은 하루가 일 년이 되고, 일 년이 10년이 된다. 획기적으로 삶의 패턴을 바꾸지 않는 한 대부분 평생을 그렇게 살아간다.「생활습관병(lifestyle related disease)」이라는 것이 있다. 잘못된 생활습관에서 비롯되는 병들이다. 폭식, 불규칙하고 불균형한 식생활, 과도한 음주와 흡연, 운동부족으로 인한 근력감소, 과로, 스트레스 등이 주요 원인으로 제기된다. 최근에는 감염성을 제외한 모든 질환을「생활습관병」으로 분류하고 있다. 고혈압, 당뇨병, 비만,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협십증, 심근경색증, 뇌졸중, 만성폐쇄성질환, 천식, 알코올성 간질환, 퇴행성관절염, 악성종양 등이 포함된다. 생활습관병은 ‘성인병’과 동의어이다.
‘성인병’은 노화와 관계있다. 노화는 다소 늦출 수는 있지만, 완전히 막을 수는 없다. 최근 외신을 보면, 젊은 자녀들의 피를 수혈해서 신체 노화를 늦추겠다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화젯거리로 등장한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썩 좋아보이진 않는다. 뭐 그렇게까지? 하는 생각뿐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도 젊은 혈장을 수혈하는 시술이 노화를 개선하거나 예방, 치료하는 효과가 입증되지 않았다고 발표했다. 오히려 심혈관질환이나 알츠하이머, 치매 등의 발병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18세 회춘을 위해 매년 200만 달러(약 25억 원) 이상을 투자해 이목을 끌었던 미국의 백만장자 브라이언 존슨은 17세 아들의 ‘젊은 피’를 수혈 받았던 시술이 실제 회춘에 효과가 없었다며 돌연 6회 만에 회춘치료를 중단했다고 한다.
세계적으로 기대수명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무조건 오래 사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상태로 오래 사는 것’이 중요하다. 건강한 상태의 기대수명은 일상생활에서 활동에 제약을 받지 않고 생활할 수 있는 기간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통계(2022년)를 보면, 남자의 단순 기대수명은 약 80세, 여성의 기대수명은 86세로 되어있다. 한편 건강기대수명은 남성의 경우 약 65세, 여성의 경우 약 67세로 줄어든다. 이 책의 지은이 지미 모하메드는 ‘프랑스의 국민 의사’로 불리는 건강조언 전문 의사로 소개된다. 지은이는 이 책에 건강기대수명을 늘리는 방법에 대해 조언을 해준다.
35가지 항목으로 편집되었다. 젊음을 유지하기 위한 네 가지 계명을 제시한다. “계속 움직이세요!”, “건강하게 드세요!” (우리가 먹는 음식이 곧 우리 자신입니다), “밖으로 나가세요!” (친구나 사랑하는 사람, 단체 활동을 통해 튼튼한 관계를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긴 주위 사람들과 교감 없는 일상엔 우울증과 무력감이 찾아올 가능성이 많아진다), “자신을 돌보세요”(증상이 나타나거나 아플 때까지 기다리지 말고 건강에 신경 쓰세요. 건강염려증 환자가 되지는 말되, 자기 몸을 잘 살피세요. 지속적으로 이상한 부분이 있거나 걱정스러운 증상이 있다면 바로 의사와 상담하세요). 이 부분을 옮기다보니 주로 나이 드신 분들 또는 나이 들어가시는 분들에게 주는 조언처럼 들리지만, 젊은 층에게도 해당되는 이야기로 받아들여진다.
지은이가 권유하는 건강관련 tip은 위에 언급한 백만장자처럼 많은 돈을 쓸 필요가 없다. 책 제목에도 언급되었듯이 ‘생활습관’에 대한 이야기다. 수면시간, 걷기운동, 비만관리, 편두통예방, 지중해식 식단, 당뇨병 관리, 겨울에도 자외선 차단제 바르기, 근육유지, 웃는 사람이 오래 삽니다, 우울증에는 사프란(향신료), 포옹의 효과, 혈압관리, 알츠하이머 예방 등의 건강정보와「생활습관병」을 멀리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주고 있다. 건강기대수명을 늘리기 위해 곁에 두고 읽어둘만한 책이다. 이 땅을 떠날 때, 누워서 몇 년을 보내다 가지 않는 길이 축복이라고 생각한다.
#저속노화를위한
#초간단습관
#지미모하메드
#한빛비즈
#쎄인트의책이야기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