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책


 

엄마수업 _개정 증보판

_법륜 / 정토출판

 

이 세상 모든 엄마에게 보내는 법륜스님의 글 선물이다. 12년 만의 개정증보판으로 편집되었다. 아무리 시대가 변해도 진리의 본질은 하나라는 점에 공감한다. 저자는 누구든지 인생의 이치를 알게 되면 아이를 키울 때, 그리 애쓰지 않아도 되고 엄마도 행복해질 수 있다고 한다. 부모노릇은 포기하고, 학부모역할에만 매진하고 있지는 않은지 돌아보는 시간이 된다.

 

-책 속에서

아이가 어릴 때는 정성을 들여서 헌신적으로 보살펴 주는 게 사랑이에요. 사춘기의 아이들은 간섭하고 싶은 마음, 즉 도와주고 싶은 마음을 억제하면서 지켜봐 주는 게 사랑입니다. 성년이 되면 부모가 자기 마음을 억제해서 자식이 제 갈 길을 가도록 일절 관여하지 않는 것을 중심으로 삼는 냉정한 사랑이 필요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의 책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 2 - 위기의 신들

_김재훈 / 한빛비즈

 

 

올림포스가 뒤집어지는 신들의 거대한 전쟁이 펼쳐진다. 인간의 세계가 자못 궁금한 신들과 신이 되고픈 인간이 만난다. 인류를 둘러싼 신들의 욕망을 파헤치며 신화는 새로운 세계로 향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의 책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 1 - 올림포스 연대기

_김재훈 / 한빛비즈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읽는 것은 흥미로우면서도 쉽지 않은 작업이다. 우선 등장하는 신들과 인간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화로 읽으면 진도가 잘 나간다. 올림포스 연대기는 올림포스 12신체제의 완성을 다룬 그리스 신화의 서막에 해당한다. 작가의 감각과 원전의 깊이가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방울


그대 손끝에 맺힌 맑은 구슬

그 시작은 뿌리끝에서 왔겠지요


비록 끝내 눈에 보이진 않더라도

결코 사라지진 않을겁니다.


내게 아무리 어려운 상황이 닥칠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낙심하지 않듯이


그 안에 담겨있던 감사와 희망은 

먼 바다로 향하는 강물에 몸을 실을겁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23-08-07 00: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08-07 08:3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08-07 06:2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08-07 08:40   URL
비밀 댓글입니다.
 

 

오늘의 고사성어(故事成語)

 

 

대기만성(大器晩成)

 

1. 큰 그릇은 늦게 찬다.

2. 크게 될 인재는 오랜 단련이 필요하므로 인재로 성장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는 비유.



() 큰 대

크다, 넓다, 두루

 

() 그릇 기

그릇, 그릇으로 쓰다, 그릇으로 여기다

 

() 저물 만

저물다, 해 질 무렵, 늦다, 때가 늦다, , 시간상의 끝

 

() 이룰 성

이루다, 이루어지다, 정하여지다

 

 

....................

 

 

대기만성도덕경(道德經)으로도 불리는 노자(41)가장 큰 네모는 구석이 없고(대방무우, 大方無隅), 아주 큰 그릇은 늦게 이루어지고(대기만성,大器晩成), 가장 큰 소리는 들리지 않고(대성희성, 大聲希聲), 가장 큰 형상은 형태가 없다(대상무형, 大象無形)”라는 오묘한 대목에서 나왔다. 노자대기만성대목은 아주 큰 그릇은 만들어져 있지 않은 것 같다로 해석하는 경우도 많아 오늘날 대기만성의 일반적 뜻과는 차이가 난다.

 

노자대기만성은 본래 뜻과 다소 다르게 적용되어 오면서 지금은 큰일을 할 인재는 비교적 늦게 성취된다는 것을 비유하는 성어로 정착되었다. 일찍 피어 일찍 시드는 꽃보다 다소 더디게 피더라도 오래오래 피어 있는 꽃이 많은 세상이 좋은 세상이 아닐까?

 

대기만성은 글자 그대로 큰 그릇은 늦게 만들어진다는 뜻으로 크게 될 사람은 늦게 이루어진다는 비유다. 간혹 만년이 되어 성공하는 사람이나 과거시험에 낙방한 선비를 위로할 때 사용되기도 했다. 비숫한 표현으로 대기난성(大器難成, 큰 그릇은 어렵게 이루어진다)’, ‘대재만성(大才晩成, 큰 재능은 늦게 이루어진다.)’등이 있다.

 

 

_참고도서 : 알고 쓰자 고사성어김영수 / 창해

_사진출처 : UnsplashDim Gunge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