쑤쑤, 동북을 거닐다 - 제3회 루쉰문학상 수상작
쑤쑤 지음, 김화숙 옮김 / 포북(for book)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에서도 동북을 무대로 활약했던 고구려와 발해에 관한 역사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하니 그 성과를 기대해보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쑤쑤, 동북을 거닐다 - 제3회 루쉰문학상 수상작
쑤쑤 지음, 김화숙 옮김 / 포북(for book)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쑤쑤, 동북을 거닐다 - 3회 루쉰문학상 수상작

_쑤쑤 (지은이) | 김화숙 (옮긴이) | 포북(for book)

 

    

 

동북은 하나의 방향이다. 만약 사람들이 지금까지도 여전히 강남(江南)과 중원(中原)에만 열중한다면, 그건 아마도 관광객이지 진정한 여행가는 아닐 것이다. 관광과 여행의 구분은 중심이 아니라 변경에 있는 것이다. 관광객들은 자신이 잘 알고 있거나 남들이 가본 곳들을 다니는 것에 익숙하다. 위험하지 않고 안전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행가들은 낮선 야생 같은 곳을 좋아한다. 그런 당신에게 동북은 스스로 내려놓는 자유로움을 느끼게 해줄 것이다.” 관광과 여행에 대한 생각을 구별해주는 좋은 대목이다.

 

그렇다면 동북(東北)은 어디인가?

 

중국의 동북(東北)지방 또는 동북삼성(東北三省 : 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을 일컫는다. 중국의 6대 지리대구(地理大區)의 하나로서 동북부 지역에 해당하며, 과거에는 만주(滿洲)’로 불리었던 지역이다. “동북은 역사책이다. 동북에서 자란 민족은 말 타기와 활쏘기에 능하고, 침략을 잘 하여 여러 차례 중원에 들어가서 변방의 역사를 국가의 역사로 올려놓았을 뿐만 아니라 유목과 농경을 융화시켰다.” 또한 동북은 한 권의 문화 책이라고도 한다. 벌목문화, 인삼문화, 도금(淘金)문화, 토비(土匪)문화, 온돌문화, 관동연(關東煙, 중국 동북의 담배)문화, 이인전(二人轉, 중국 동북 지역의 전통 민속극, 두 사람이 공연한다)문화 등 어떤 문화든 모두 야생과 북쪽의 민간문화를 담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쑤쑤(素素)는 누구인가?

 

1950년대 랴오난 시골에서 태어나 스스로를 우링호우 미녀라고 부르는 중국인 한족 여류작가이다. 지은이는 이 책을 집필하는데 거의 1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고 한다. 지은이가 쓴 책 중에서 가장 느린 책이자 가장 열심히 썼던 책이라고 한다. 이 책은 2005년에 루쉰(魯迅)문학상을 받았다. 지은이는 199510월에 원대한 계획을 세웠다. 그것은 우선 동북에 관한 책을 읽고 나서 동북으로 들어가 동북에 관한 글을 쓰겠다는 생각이었다. 주변에서는 모두 말렸다고 한다. 동북에 관한 책을 읽을 수는 있어도 동북으로 직접 간다는 게 말이냐 되느냐는 것이었다. 동북은 너무 광활하고 게다가 그 지역 사람들은 야만적인데 어찌 여자 혼자 그런 곳에 들어가려 하느냐는 점이 주변 사람들의 이유 있는 염려였다. “동북에 관한 책을 읽고 나서야 동북에 관한 책이 아주 적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지은이는 전장으로 출정하는 전사(戰士)의 심정으로 결국 동북의 깊은 곳을 향해 걸어가고 있었다.

 

 

 

지은이의 여정(旅程)

 

 

먼저 흑룡강에서 두 달 걸었고, 최북단으로 간 곳이 모허(漠河)의 베이지촌(北極村)이었고, 흑룡강의 발원지인 뤄구허(洛古河)에도 갔었고, 어떤 군대를 따라서 삼강평원(三江平原)과 흑룡강 유역을 유람했다. 그러고 나서 지린(吉林)동쪽의 산지와 요녕 서부의 구릉지대를 두 달 동안 돌아보았다. 옌지(延吉)를 간 것은 조선족 여인들의 그네 타는 모습을 보기 위해서였고, 또한 완룽(婉容, 청나라 마지막 황제 푸이의 황후)의 묘지를 찾아보고, 장백산의 윤택함을 보기 위해서였다,” 동북을 떠나기 전에 지은이는 2개월에 걸친 사전 답사 준비, 그리고 4개월에 걸친 현지답사를 통해 발로 쓴 글을 이 책에 담았다. 그동안 중국 역사에서 중원으로부터 분리된 변방으로만 인식되었던 동북지역에 대해 지은이 특유의 문학적 감성으로 써내려간 글들은 한국에서 중국판 문화유산 답사기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가?

 

지은이는 동북 지방의 여행을 끝내면서, 동북이 가지고 있는 모든 것들은 그녀의 상상을 초월했다고 표현했다. 그것은 하나의 거대한 무대였고, 무대 위에는 수많은 인물이 있었으며, 하나하나의 장면과 각양각색의 도구들은 지역 특색이 농후한 비극과 희극이 교차하는 지방극(地方劇)이었다는 것이다. 지은이는 이를 3막으로 구분하고 있다.

 

1막은 동북 원주민의 역사다. 강한 민족을 잉태했지만, 하나하나씩 일어났다가 다시 멸망했고, 혹은 흩어졌다가 다시 뭉쳤다. 열강들의 식민지가 되는 굴욕도 있었다. 2막은 동북의 풍속에 관한 역사를 그리고 있다. 토착 원주민들, 이민자들, 식민지 개척자들이 한데 섞여 독특한 동북문화와 동북 스타일을 만들어냈다. 3막은 동북의 산천에 관한 역사를 담았다.

 

 

고구려, 발해, 거란, 말갈

 

지은이가 발해의 흔적을 찾는 대목에서 시선이 머물렀다. “발해는 산둥 반도와 랴오동(遼東)반도 사이에 있었으나, 당나라 현종이 무단장 쪽으로 봉쇄해버렸다. 이러니 장안 사람들의 눈에는 동북이 얼마나 모호하고 요원했을 것인가.” 발해문화는 중국 역사에 있어서 불멸의 한 페이지라는 표현을 한다. “발해국의 용천부는 다른 누군가의 도움이 아니라 발해인 스스로 벽돌과 기왓장을 하나하나 쌓아 완성한 작품이다. 그래서 가히 기적이라 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당시 세계에서 가장 눈부신 곳으로 동북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였으며, 해동성국(海東盛國)이라 불리었다.”

 

 

중국의 동북지역은 잊혀가는 우리의 역사가 담겨 있는 곳이기도 하다. 지은이가 이 책에 담은 내용은 우리가 갖고 있는 동북에 관한 역사 인식이나 시각과는 차이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은이의 여정 속에 담긴 우리 선조들의 흔적을 이곳저곳에서 찾아 볼 수 있다. 2000년대 들어 중국 역사학계에서는 동북 민족사에 관한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동북을 무대로 활약했던 고구려와 발해에 관한 역사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하니 그 성과를 기대해보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붉은 소파
조영주 지음 / 해냄 / 2016년 5월
평점 :
품절


작가는 개인적인 트라우마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사진을 찍을 수밖에 없는 주인공을 탄생시켰다. 무릎의 힘이 빠진 상태로 주저앉아만 있던 한 인간이 고통과 좌절 속에서 다시 일어서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붉은 소파
조영주 지음 / 해냄 / 2016년 5월
평점 :
품절


 

붉은 소파

 조영주 (지은이) | 해냄

 

 

붉은 소파가 왜 그곳에 있는지 궁금해 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궁금해 하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다는 말은 맞는 말이 아니다. 처음에 몇몇 사람은 궁금했을 것이다. “소파가 왜 저기 있지? 버리려고 내놨나? 그러기엔 멀쩡한데..” 시간이 좀 흘러서, 소파는 자리를 잡았다. 이젠 원래부터 그곳에 있던 붙박이 장식장 같은 존재가 되어버렸다. 더 희한한 것은 그렇게 있다가 사라져도 모르는 사람들이 더 많다는 것. 그만큼 사람들은 그 자신에 몰두하며 살아가고 있다.

 

 

이 책의 키워드는 살인, 사진, 실종, 기억 그리고 책의 제목으로 쓰인 (붉은) 소파이다. 어느 날 붉은 소파가 공사장 펜스 앞에 놓인다. 사람이 두 명 앉을 수 있는, 좁혀 앉거나 혹은 어린아이라면 셋도 앉을 수 있는 패브릭 소재의 소파다. 이 소파의 주인은 누구인가? 쉰여덟의 사진작가 정석주. 사진경력 40년의 노장이다. 그의 나이 열아홉 때 데뷔 사진 한 장으로 그야말로 세상에 떴다. 사진의 천재라는 소리도 들었다. 그러나 소설 초반에 묘사되는 그의 모습은 거의 노숙자 수준이다. 밖에서 이슬 맞으며 자지 않는다는 것뿐이다.

 

 

정석주에겐 가슴 깊이 상처가 있다. 15년 전 연쇄살인사건으로 딸을 잃었다. 그 후로 방황의 연속이다. 그러던 그가 어느 날 제자 이주혁을 통해 사체촬영(주로 변사체)을 제안 받게 된다. ‘살인이라는 부분에 트라우마가 있는 정석주는 처음에 그 일을 고사하지만, 결국 그 역할을 맡게 된다. 아마도 그의 마음 속 계획과 연결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된 모양이다. 그것은 붉은 소파와 관계가 있다. 붉은 소파엔 허망하게 세상을 떠난 딸과의 특별한 추억이 담겨있다. 붉은 소파는 딸을 죽인 범인을 찾는 미끼이다. 소파를 이용해서 불특정 인터뷰이를 촬영할 계획이다. 그러면서 범인을 찾아내겠다는 의도가 숨겨져 있다. 이 부분에선 좀 무리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래도 뭔가 단서가 있어야 하지 않을까? 범인의 독특한 몸의 습관, 얼굴 표정, 말투 등 분별력 있는 그 무엇이 있어야하지 않을까?

 

 

작가가 소설의 모티브를 얻은 곳은 사진작가이자 비디오 예술가로 활동하고 있는 호르스트 바커바르트의 동명의 사진작품집 (붉은 소파 - 세상에 말을 건네다 / 2010, 중앙북스. 현재 절판된 상태)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작가는 이 소설을 탄생시키기 8년 전, 사진 그 자체에 대한 소설을 써보고 싶다는 열망을 품고 직접 사진을 찍고 아마추어나 프로 사진작가들을 취재했다. 사진이란 무엇인지, 왜 사람들이 사진을 찍는지, 사진을 찍는 행위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인지 등을 오랫동안 고민해왔다고 한다. 작가는 개인적인 트라우마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사진을 찍을 수밖에 없는 주인공을 탄생시켰다. 무릎의 힘이 빠진 상태로 주저앉아만 있던 한 인간이 고통과 좌절 속에서 다시 일어서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붉은 소파가 왜 그곳에 있는지, 이제는 조금 궁금해지셨을까요. 그리하셨다면, 많이 기쁠 거예요.” 책 말미에 담은 작가의 말이다.

 

 

이 소설은 제12회 세계문학상 수상작품이다. “살인과 사진 그리고 비밀을 퍼즐 조각처럼 흩어두고 집중력 있게 하나의 그림으로 완성해 낸다. 이야기 직조술에 있어서 신뢰를 주었다는 뜻이다. 독자들에게 익숙한 추리 서사 문법을 아날로그적인 감성으로 재해석해낸 점도 차별적으로 받아들여졌다. 살인, 사진, 실종, 기억으로 이어지는 이야기의 흐름이 흥미의 끈을 놓지 않으며, 추리 서사로서 끝까지 독자들과 지적인 게임을 하고 있다는 점도 눈길을 끌었다.” 심사위원들의 심사평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안에 개있다 - 저것이 아닌 이것을 위한 인문 에세이
신아연 지음 / 책과나무 / 2016년 1월
평점 :
품절


공감, 배려, 동행, 상생이라는 파트로 나누어진 글들은 지은이가 이야기한대로 ‘사람살이’이야기다. 사람 내음이 물씬 배어있는 따뜻한 글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