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란 무엇인가?
제롬 케이건 지음, 노승영 옮김 / 아카넷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때로 돌출행동을 하거나 화를 잘 내고, 감정의 기복이 심하거나 대인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사람을 대할 때 정서적 불안정(Emotional Instability)상태라고 표현한다. 정서적 불안정은 어디에서 기인하는 것일까? 뇌(brain)의 기질적인 병변에 의해서 오는 것일까? 개인의 성격에서 오는 것일까? 성장과정과 환경에서 누적된 심층심리학적 측면에서 이해해야 할까? 그렇다면 상대방을 정서적 불안정상태라고 명명하는 나의 정서성태는 어떤가? 이상이 평소 정서(Emotion)에 대한 나의 궁금증이었다. 

저명한 심리학 박사인 제롬 케인건의 책을 읽으면서 [정서]에 대해 많은 도움을 받았다. 심리학전공자도 아닌 입장에서 이 책을 대함에 진도가 쉽게 나가진 않았지만 [정서]에 대해 정리해 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저자는 [정서]가 뇌 활동에서 비롯되나 각각의 정서는 뇌 활동만으로 결정할 수 없는 ‘심리현상’이라고 한다. 하나의 뇌 프로파일에서 다양한 정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중에서 어떤 정서가 실제로 일어나는가는 상황에 따라 달라지며, 개인사와 생물학적 조건이 언제나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요즘엔 교통사고로 뇌 손상을 받은 환자의 정신적 진단을 위해 기본적으로 MRI(자기공명 단층촬영기)를 시행하고 있다. MRI검사 소견의 비중을 어느 정도에 두느냐에 따라 환자의 정서적 장애나 문제점을 찾아내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저자는 MRI로 수집한 뇌 프로파일이 감정이나 정서 상태에 해당하거나 이를 대리한다고 기술하는 현재의 일반적 관행에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한다. 그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첫째, 이들 기계는 자극이 제시된 지 몇 초 뒤에 뇌 부위로 흘러드는 혈류변화를 보여주는 반면, 정서 반응 중에는 즉시 일어나 2초 안에 끝나는 것도 있다.  

둘째, MRI의 자기장 세기에 따라 자극으로 활성화되는 부위에 대한 결론이 달라질 수 있다. 어떤 부위가 강력한 자기 MRI에서 활성화된다고 해서 덜 강력한 기계에서도 반드시 탐지되는 것은 아니다.  

셋째, 자극에 대한 특정 뇌 활동 프로파일은 당시의 상황과 개인사, 기질이 달라짐에 따라 다양한 감정을 일으킬 수 있다. MRI에 누워 실험자에게 평가받는 새로운 경험에 따른 불안은 일반적으로 코르티솔 분비량을 잠깐 늘린다. 이는 피험자의 뇌 상태와 심리상태를 바꿀 수 있음을 의미한다. (p.131) 

흥미로운 것은 동양인과 서양인의 감정표현이다. 물론 동, 서양이 여러 분야에서 차이를 나타내지만, 저자는 동양인은 동사형을 서양인은 형용사형을 사용하는 감정 표현의 차이가 있다고 한다. 
 

중국인 응답자들은 다정하거나 자비로운 사람을 기술하라는 요구를 받으면 이렇게 말 할 것이다. “페이는 파티에서 친구를 안아줘요.” “징은 거지를 보면 돈을 줘요.” 미국인이라면 이렇게 말 할 것이다. “메리는 정이 많아요.” “빌은 너그러워요.” 앞의 문장들은 뒤의 문장들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다정하다’라는 형용사는 사람의 고정된 특성을 강조하는 반면 ‘파티에서 친구를 안는다’ 라는 동사구는 성격유형의 제한된 성질을 가리킨다. 중국인들은 동사구를 더 즐겨 쓰기 때문에 행동이나 정서가 드러나는 상황을 구체적으로 표현 할 수 있다. (p.192) 

저자는 한 개인의 정서라는 것은 시대적, 환경적, 인종적, 혈통적 또는 부모의 영향, 남녀차이, 연령별 등 무수히 많은 요인에 의해서 달라질 수 있다고 한다. 본인의 이름이 그 일생의 정서를 지배하는 경우도 있다.  

 

 내 동료였던 데이비드 매클리렌드(David McClelland)는 어릴 적에 자기와 이름이 같은 성서의 영웅 다윗이 골리앗을 죽였다는 이야기를 듣고 자신감에 찬 적이 많았다고 말했다. 1926년에 독일에서 유대인 부부의 아들로 태어난 역사가 프리츠 슈테론의 이름은 질소비료를 처음 합성한 저명한 독일 화학자 프리츠 하버의 이름을 딴 것이다. 하지만 하버는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수천 명의 목숨을 앗아간 화약과 독가스 성분을 합성한 인물이기도 했다. 그 결과, 슈테론은 자부심과 수치심이 결합된 혼합적 대리 정동을 느꼈다고 회상하고 있다.   (P.214) 

저자의 깊은 학문에 경의를 표하며, [정서]라는 단어를 사용할 때 보다 더 신중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