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고사성어(故事成語)

 

난형난제(難兄難弟)

 

1. 형이라 하기도 어렵고 아우라 하기도 어렵다.

2. 두 사물이나 사람이 비슷하여 낫고 못함을 가리기 어렵다는 것을 비유하는 성어.

 

() 어려울 난

어렵다, 재앙, 근심, 구슬 이름, 힐난하다, 꾸짖다, 성하다, 타다

 

() 맏 형

맏이, , 같은 또래끼리 높여 부르는 말

 

() 아우 제

아우, 나이 어린 사람, 자기의 겸칭

 

.............................

 

난형난제는 나이가 많고 적음을 가릴 수 없다는 것이 아니라 서로 실력이 비등하여 우열을 가릴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조선시대 서거정(徐居正,1420~1488)함께 문무과에 급제하여 영친연을 베푼 최신 형제에게 하례하는 시에서 그대 형제의 문과 무는 난형난제. 자자한 명성이 한 시대를 압도하네그려. (중략) 이것이 효도로 나라를 다스리는 데 힘을 쓴다는 것이니, 태평 시대 성대한 일이 과명(科名,과거에 급제한 이들의 이름)을 이으리라라고 하여 최신 형제가 나란히 문과와 무과에 합격한 것을 난형난제로 표현했습니다. 난형난제(難兄難弟)는 우리가 흔히 쓰는 막상막하(莫上莫下)’와 거의 뜻이 같습니다.

 

 

 

_참고도서 : 알고 쓰자 고사성어김영수 / 창해

_사진출처 : UnsplashNE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