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른 초등학생
마스다 미리 지음, 박정임 옮김 / 이봄 / 2016년 4월
평점 :
절판
Q: 어른이 되니까 좋아?
A: 응. 하지만 처음부터 어른으로 태어났다면 재미없었을거야.
Q: 공부해서 도움된 게 있어?
A: 공부 별로 안 했는데…… 하지만 글자를 배우면 책을 읽을 수 있어.
마스다 미리의 책을 읽을 때마다, 그녀보다도 책을 기획하는 편집자에게 새삼 감탄하게 된다. 이 책도 편집자가 먼저 ‘이런 책을 만들어보면 어때요?’ 라고 권했던 모양인데, 그런 아이디어를 내주는 편집자나, 그 생각을 이렇게 멋진 내용으로 탄생시키는 작가나 모두 굉장하다고 느낀다.
이 책은 작가의 어린 시절 추억이 담긴 스무 권의 책과 그에 얽힌 에피소드를 소개하고 있다. 책을 읽으며 나는, 그간 당연하게 생각했던 일들을 아직 제대로 하지 못했던 어린 시절이 있었음을 기억해 내게 되었다. 처음으로 혼자서 걷게 된 일, 껌껌한 곳에서도 씩씩하게 화장실을 혼자 갈 수 있게 된 일(실제로 나는 초등학교 저학년 때까지도 밤에 혼자 화장실을 못 가서 바지에 실례를 하곤 했다), 혼자서 옷을 입을 수 있게 된 일, 혼자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게 된 일(심지어 운전도 할 수 있다) 등등 살면서 성취한 일들이 꽤나 많더라.
그런데도 언젠가부터 너무 목표치를 높게 잡고, 스스로를 닦달하고 힘겹게 했던 것은 아닌지, 반성하게 되었다.
사람마다 속도와 방향이 다른데. 여자아이에게 서서 소변을 보라고 한다거나, 백일밖에 안된 아이에게 말을 못한다고 구박한다거나, 그렇게 말도 안되는 것을 나는 스스로에게 강요하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
한편으로는 내가 아직도 어린이마냥 부족하여, 주변사람들에게 상처를 입힌 기억이 떠올라 매우 부끄럽기도 했다. 제일 첫 번째 챕터의 내용이 친구가 선물해준 책을 학급문고에 기증한 이야기였다. 별 생각 없이 한 행동에 친구가 몹시 서운해 했다는 내용이었는데, 공교롭게도 얼마전 비슷한 경험을 했기 때문이다. 친구가 선물해준 책을 도서실에 기증하고는, 자랑스레 친구에게 ‘네가 선물해준 책 기증했어. 잘했지?’라고 말했던 것이다. 당시에는 친구가 왜 서운해하는지 조차 이해하지 못했는데, 이 책을 읽으며 친구의 마음이 전해져 몹시, 몹시 미안해졌다.
Q: 후회하는 일 있어?
A: 물론 있지. 하지만 후회가 사람을 강하게 만들어주는 거야.
Q: 어린아이인 나로 돌아가고 싶다고 생각한 적 있어?
A: 다행히 없어. 어른이 돼서 좋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