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과 연애 - 서가에서 꺼낸
문아름 지음 / 네시간 / 2013년 12월
평점 :
품절
알라딘 서점을 기웃거리다보면, 간혹 널리 알려지진 않았지만 꽤나 멋진 (그래서 널리 알려지지 않은 점이 기이하게 생각되는) 책을 발견하게 된다. 이 책도 그런 케이스였다. 아쉽게도 누구의 리뷰를 읽고 이 책이 읽고 싶어졌는지는 기억나지 않지만.
처음에는 연애하듯이 책을 좋아하는 사람의 이야기라고 생각했는데, (그것도 틀린 표현은 아니지만) 책과 연애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작가가 연애를 하면서, 연애를 끝내고서 읽었던 책에 대한 이야기였다.
매 장이 끝날 때마다 작가가 그 챕터에서 비유로 든 책에 대한 간략한 소개가 나오는데, 그 중에는 이미 읽은 책이 절반, 미처 못 읽어본 책이 절반 정도 되었다. 읽었던 책에 대한 이야기가 나올 때는 보다 쉽게 작가의 말에 빠져들었고, 아직 못 읽어본 책들에 관한 이야기가 나올 때면 나는 제목을 열심히 메모해댔다. 이 책을 다 읽고 나서 읽어봐야지, 다짐하면서.
예전에 누군가에게 책을 좀 추천해달라고 하자, 그는 말했었다. "일단 도서관이나 서점에 가서 마음에 드는 책을 한 권 골라보세요. 그 책을 다 읽을 때쯤이면 저절로 다음에 읽을 책이 어떤 책이 될지 알 수 있을 거에요."
<책과 연애>는 그 대답에 아주 충실한 책이다.
생각하면 굳이 왜 그랬어야 했나 싶은 이별의 순간들이 있다. (중략) 어떤 친구는 그 새끼 얼굴에 침이라도 뱉고 왔어야 했는데 그 와중에 착한 척했던 걸 후회한다.
한 권의 책을 덮을 때 이런 기분일까? 내가 발버둥친다고 해서 이미 끝난 관계가 이어지지 않는 것처럼 내가 아무리 이 책이 너무 좋아 끝이 오는 게 무서워도 결국 마지막 문장은 읽기 마련이다. (중략)
만약 누군가와 헤어진다면 이 마지막 문장을 닮았으면 좋겠다는 소설이 두 권 있다. 엘리자베스 히키의 <클림트>와 산도르 마라이의 <열정>이 바로 그 마지막 문장의 주인공들이다.
(p.13~14)
+아직 못 읽어보았는데, 당장 읽어보고 싶어진 책
클림트, 열정, 책 읽는 여자는 위험하다, 이슬의 눈, 피터팬,
+이미 읽었던 책이지만, 다시 보고 싶어진 책
섬, 좀머씨 이야기, 반짝반짝 빛나는, 이방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