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 라벨 : 왼손을 위한 피아노 협주곡 D장조



> 모리스 라벨의 작품 가운데 1930년 이후에 만들어진 곡은 단 세 곡이다. 이것은 그가 교통사고를 당해 뇌에 문제가 있었던 시기인 1932년의 일과도 무관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지만 보다 정확한 것은 오직 그만이 알 것이다. 라벨이 1930년 이후에 쓴 곡은 두 곡의 피아노 협주곡과 가곡<둘시네의 돈 키호테>인데 라벨을 대표하는 곡 가운데 하나가 이 왼손을 위한 피아노 협주곡 D장조이다.

이 곡의 성격을 유추할 수 있는, 참조할 만한 내용이 있다. 바로 라벨이 곡에 적어 넣은 주석인데 음악세계 라벨편(1931년 7월 16일 데일리 텔레그래프 신문에서의 인터뷰) 에는 이렇게 적혀 있는 내용을 발췌하면 다음과 같다.  

   
 

 

이런 종류의 작품에서는 양손을 위해 쓰여진 것보다 피아노 성부의 텍스처가 엷다는 인상을 주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통적인 협주곡 중 가장 묵직한 종류의 것에 스타일상으로 더 가까워지는 일이 자주 있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특히, 두드러진 특색은 전통적인 스타일로 쓰여진 최초의 부분이 일단락되면, 일변하여 재즈 음악이 시작되는 것입니다. 나중에 드디어 이 재즈 음악은 시작 부분과 같은 주제를 기본으로 하여 만들어져 있다는 것이 확연하게 나타납니다.

 
   


제목에서 드러나듯 왼손만을 써서 연주하는 피아노 협주곡인데 이 제목이 붙게 된 것은 아주 유명하다. 라벨은 1차 세계대전 시기에 오른손을 잃은 피아니스트 파울 비트겐슈타인(Paul Wittgenstein, 1877~1961)의 부탁을 받고 곡을 만들었으며 이후 파울 비트겐슈타인의 연주로 1931년 11월 빈에서 초연을 하였다.   



> 이 <왼손을 위한 피아노 협주곡 D장조> 는 단악장 형태로, 중단 없이 연주하게 되는 협주곡이다. 나눠 본다면 모두 세 부분으며 무수한 피아노 곡 가운데에서도 난곡으로 일컫는 <밤의 가스파르> 와 같이 어려운 곡으로 알려져 있다. 초반부에서는 재즈의 느낌도 받을 수 있으며 한 손으로 연주하는 피아노를 위한 곡이라고 믿기 힘들 만큼 구성이 촘촘하다. 라벨의 마지막 작품들 가운데 속하는 이 곡은 다채롭게 변하는 리듬과 분위기, 그러면서도 매우 아름다운 부분도 빠짐 없이 등장하는 명곡으로 그만의 독특한 개성을 맛볼 수 있는 곡이기도 하다.

  

 

* 추천음반

 

 

 

 

 

Samson Francois
Andre Cluytens (conductor)
1959, EMI
 

  

 

 

 

 

 

 

Pierre-Laurent Aimard (piano)
Pierre Boulez (conductor)
2010, DG

  

 

 

 

 

  

  

Jean-Efflam Bavouzet (Pf.)
Yan Pascal Tortelier (conductor)
BBC Symphony Orchestra
2010, Chandos



연주가 까다로운 곡으로, 상대적으로 녹음이 그리 많지 않다. 라벨의 피아노 협주곡 음반은 샹송 프랑소와의 연주가 보편적인 추천반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과거 명연에 이어 다른 연주를 꼽자면 불레즈와 함께한 크리스티안 지메르만의 음반(1996, DG)가, 최근의 훌륭한 음질과 연주로는 불레즈와 함께 녹음을 남긴 아이마르 (Pierre-Laurent Aimard / 2010, DG) 나 얀 파스칼 토틀리에 와 함께한 바부제(Jean-Efflam Bavouzet, Chandos) 를 꼽을 수 있다. 모두 많은 음반 잡지와 가이드에서 추천을 받은 음반들로 라벨의 피아노협주곡이 보여주는 분위기와 흐름을 잘 포착한 연주라고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56. 라벨 : 피아노 협주곡 G장조 

 

> 볼레로,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 왼손을 위한 피아노 협주곡 D장조는 매우 유명하며 모리스 라벨이라는 작곡가의 이름을 모른다 하더라도 음악만큼은 쉽게 들을 수 있다. 모리스 라벨의 피아노 작품은 관현악곡, 협주곡, 실내악곡, 피아노곡, 관현악으로 편곡한 피아노곡, 오페라, 성악곡들이 있다. 그의 생애에 견주어 보자면 다작을 남긴 작곡가는 아지만 전문 피아니스트들이 많이 연주하는 피아노곡이나 관현악곡들은 들을 수 있는 빈도가 높은 편이다. 스트라빈스키는 라벨을 [스위스 시계 장인] 이라고 평한 바 있다. 그의 음악이 매우 정밀하면서도 독창성을 지니고 있다는 의미에서 그런 비유를 썼던 것 같은데, 드뷔시와 비교했을 때 풍성함보다는 약간 건조한 듯 싶으면서도 어딘가 인공적인 느낌이 나는 것으로 평가하는 사람도 많다. 

 
작곡가의 만년인, 1929-1931년에 만들어진 (모리스 라벨의 생몰연도는 1895-1937) 작품 피아노 협주곡 G장조는 무엇보다도 2악이 눈부시게 아름다운 것으로 유명하다. 명확한 선율, 견고한 형태를 갖지만 언뜻 보이는 낭만성도 무시할 수 없다.
작곡의 경과에 대해 <데일리 텔레그래프> 신문기사에 그가 직접 밝힌 바를 발췌(음악세계 라벨 편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동시에 2곡의 협주곡을 구상해서 써 가는 것은 재미있는 경험이었습니다. 제 1의 것은 내가 직접 피아노를 칠 예정입니다만, 언어의 가장 엄밀한 의미의 <협주곡>으로서 모차르트와 생상의 협주곡 정신에 따라 작곡했습니다. 사실 사견에 의하면, 협주곡 음악은 쾌활, 화려해야 하는 것으로 심각했으면 하고 열망하거나 극적인 효과를 겨냥할 필요는 없는 것입니다. 몇 사람의 위대한 고전 음악가들의 협주곡은 피아노 측에 조금도 서지 않고, 피아노에 거역하여 구상되어 있다고들 말하고 있습니다. 이 판단은 아주 근거 있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처음에 나는 나의 협주곡을 디베르티스망(회유곡)이라고 이름 지을 작정이었습니다. 어느 관점에서 보면, 나의 협주곡은 나의 바이올린 소나타와 닮지 않은 것도 아닙니다. 재즈에서 빌려온 약간의 요소가 있기 때문입니다. 단, 그것은 소극적이긴 합니다만.

 
   

 

이 곡은 1932년 1월 14일 당시 유명 피아니스트였던 마르게리트 롱의 독주로 이뤄졌다. 관현악 반주는 라벨의 지휘로 라무뢰 관현악단이 담당했다. 

 



 

> 1악장 알레그라멘테 G장조 소나타 형식. "밝게" 라는 의미와 걸맞게 피콜로가 가벼운 리듬으로 곡의 문을 연다. 1주제를 다시 트럼펫이 되풀이하고 이어 2주제가 피아노로 이어진다. 제시부를 지나 발전부로 흘러가면서 1주제와 2주제의 재즈요소
를 중심으로 곡이 진행된다. 2악장 아다지오 아사이. 고전 형식으로서 느린 악장이 2악장으로 등장하는데 수수한 반주에 비교적 간단한 노래와 같은 선율이 이어진다. 이렇게 이어지다가 세밀한 오른손의 장식과 같은 리듬이 등장하고, 흔들리듯
흘러가는 악장은 오른손의 긴 트릴과 함께 끝을 맺는다. 3악장 프레스토. 전반적으로 매우 다채롭고 에너지가 채워진 듯한 악장으로 강렬하게 시작한다. 다양한 전개가 빠르게 흘러가며 포르티시모의 극적인 느낌으로 곡을 마무리한다. 

 


*Top 추천  

 


 

 

 

아르투로 베네디티 미켈란젤리(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기인이었던 그의 레코딩 가운데 라벨의 피아노 협주곡이 최상의 것임을 부정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1957년이라는 꽤 오래 전의 녹음과 연주이기에, 비교적 세밀한 맛이 덜하다는 평도 있지만 2악장만큼은 그 누구와도 비견할 수 없을 정도로 아름답다는 것이 중론이다. 피아노를 완전히 분해하고 조립할 수 있었던 그의 음색은 이 곡을 들을때마다 곡에 밀착되어 청자에게 새로움으로 다가온다. 아이콘 시리즈로 등장했는데, 더 저렴해진 가격으로 그의 연주를 즐길 수 있다는 것도 꽤나 만족스럽다.


 

  

 

< + 클래식 음반 가이드 선정반 >  


  



 

 
펭귄 가이드 키 **** & 로제타

Krystian Zimerman
Pierre Boulez (conductor)
The Cleveland Orchestra
1994,DG

 
  



 


그라모폰 가이드 추천반  

Martha Argerich (piano)
Claudio Abbado (conductor)
Berliner Philharmoniker
1967, D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55. 드보르자크 : 피아노 5중주곡 A장조 Op.81 (B155) 

 

> 음악세계 드보르자크 편을 따르면 이 곡은 "젊었을 때부터 영향을 받은 바그너의 새로운 화성법과 그 후 브람스와의 우정을 통해서 얻은 견실한 구성력이 체코의 민속색과 절묘하게 조화된 작품" 이라고 얘기하고 있다. 외형상으로 보면, 4악장 소나타 형식이지만 전통적으로 작곡하던 형식이라기보다 비교적 새로운 방식의 연결성이 느껴지는 곡이라 할 수 있다. 1887년 프라하 남쪽 비소카 마을의 별장에서 작곡한 곡인데 그의 5중주곡 가운데 가장 많이 들을 수 있는 곡이며 드보르자크의 실내악 가운데에서도 명곡으로 꼽힌다. 민속적인 색채가 깊게 느껴지는 작품으로, 드보르자크의 작품이 갖는 매력을 깊게 느낄 수 있는 곡이라 하겠다. 

 

 

> 1악장, 알레그로 마 논 탄토 A장조. 1악장은 미묘하게 떨리는 듯한, 묘한 울림을 간직한 피아노의 선율로 시작한다. 이어 첼로가 차분한 목소리로 1주제를 노래한다. 이어 강한 느낌으로 곡은 합주하며 곡은 흐르는데 다시 비올라의 차분한 2주제가 등장하며 꽤 강렬한 느낌으로 흐르면서 악장을 마무리한다. 2악장 둠카, 안단테 콘 모토. 둠카는 슬라브 민족의 민요로서 쓸쓸함과 빠른 느낌의 정열이 대조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1부는 애수 띤 선율이며 피아노와 비올라, 바이올린이 등장한다. 2부는 격정적인 선율이다. 아름다운 분위기의 악장. 3악장, 스케르초(프리안트) 모토 비바체. 프리안트는 보헤미아의 민속춤곡으로 활발한 2/3박자 춤곡이다. 세 부분이며 첫째와 셋째는 경쾌하고 힘있게 둘째는 조용히 흐르는 악장이다. 4악장, 피날레 알레그로 A장조. 소나타 형식으로서 발랄함이 묻어나는 악장이다. 바이올린의 화려한 1주제가 나온 후 2주제가 등장하며 재현부에 이르러 클라이맥스와 같은 느낌으로 곡이 끝나게 된다.

  

 

 * Top 추천

 

 

 

 

 

 

명곡이지만 구할 수 있는 음반의 수는 많지 않다. 현재 ASV 가 문을 닫은 상태에서 치밀한 앙상블을 들려주었던 린지(Lindsay) 현악 사중주단과 페터 프랑클 (Peter Frankl, Pf) 이 함께한 음반을 구하기는 힘든 상태이다. 리히터와 보로딘 쿼텟의 음반이 현재 유통중이며 드보르자크의 바이올린 협주곡과 커플링된 장영주의 음반(EMI)도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다.

 

 

  

 

 

 < + 클래식 음반 가이드 선정반 >  

 

  

펭귄 가이드 추천반

The Gaudier Ensemble
1995, Hyperion

 

 

 

 

러프 가이드 추천반

Andreas Haefliger (piano)
Takacs Quartet
1998, Decca

  

 

 

그라모폰 가이드 추천반

앙상블 엑스플로라숑 (Ensemble Explorations)
2007, Harmonia Mund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54. 드보르자크 : 현악 4중주곡 제 12번 F장조 op.96 <아메리카> 

 

> 당대 작곡가 가운데에서도 빼어난 작품을 만든 드보르자크는 실내악부문에서 광범위하며 높은 완성도를 지닌 곡들을 남겼다. 그가 미국의 내셔널 음악원 원장으로 초대를 받아 재직하고 있던 시절 흑인과 인디언의 음악에 강한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은 이미 널리 알려진 것이다. 이에 슬라브적인 정서를 담아 널리 사랑받는 곡들을 몇 꼽을 수 있겠는데 오늘 소개하게 되는 현악 4중주곡 제 12번 F장조 op.96 <아메리카> 도 그 예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넘치는 활기, 애수를 지닌 선율, 곡에서 풍기는 자유로움 등이 매력을 느끼게 하는 곡이다. 부제는 작곡가 자신이 붙인 것은 아니지만 흔히 <아메리카(America)> 로 부르며 작곡가 자신은 자필악보 표지에 [미국에서의 작곡 제2호, 현악4중주곡](음악세계 명곡해설편 참조) 라고 적어 놓았다.  

 

1악장 


 

   

 

4악장

 

 
> 곡은 모두 4악장이다. 1악장 알레그로 마 논 트로포. 소나타 형식으로 바이올린 트레몰로 속에서 비올라의 선율로 시작한다. 조금 동양적으로 익숙하게 느껴지는 선율이 계속 등장하며 아름다움이 묻어나는 악장. 2악장 렌토는 마치 슬픈 노래를 부르듯 이어진다. 조용한 밤 어떤 애상에 잠겨 있는 듯, 풀어 내는 음악이 감동적이다. 3악장 몰토 비바체. A-B-A-B 구성의 스케르초 악장인데,드보르자크가 산책을 하면서 들은 새의 노랫소리를 스케치하여 작곡했다고 전해진다. 4악장 비바체 마 논 트로포. 자유로운 론도 형식이다. 즐거움이 묻어나오는 악장으로 곡은 마무리를 한다.

  

 

* Top 추천 

 

 

 

 

 

저렴한 가격에 드보르자크의 가장 있기 있는 현악 4중주를 접하고 싶다면 블라흐(Vlach Qt)의 음반을 먼저 고려할 만하다. 블라흐 쿼텟의 드보르자크 현악 사중주 음반들은 낙소스 시리즈 가운데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분명 가격을 뛰어넘는, 메이저 레이블의 실내악단과 어깨를 나란히 할만한 음반이다. 현재 명연을 남긴 린지(Lindsay), 프라작(Prazak), 켈러(Keller) 현악 사중주단의 음반들을 구하기가 비교적 쉽지 않다. 최근 나온 파벨 하스 쿼텟의 연주도 상쾌하다. 

 

 

  

 

< + 클래식 음반 가이드 선정반 >  
  

 

 

그라모폰 가이드 추천반
Prague String Quartet:
DG, 1973

 

 

 

러프 가이드 추천반
  

Lindsay String Quartet
ASV, 1992

 

 

 

 죽기 전에 들어야할 클래식 1001 추천반
 

Prazak String Quartet
Praga, 199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53. 드보르자크 : 첼로 협주곡 b단조 op.104 

 

> 1894-1895년에 작곡한 드보르자크의 첼로 협주곡 b단조는 첼로 협주곡 가운데 가장 사랑받는 작품이며 그가 미국에 머물러 민속 음악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만들어진, 독특한 색채의 곡이기도 하다. 많은 이들이 평하기를 드보르자크의 첼로 협주곡의 특성을 브람스의 관현악법과의 유사성에서 찾고 있다. 간단히 말하면 독주 악기와 오케스트라가 서로 경쟁하듯 연주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어울려 조화로운 울림을 간직하고 있다. 브람스가 이 곡을 듣고 "내가 왜 첼로 협주곡을 쓰지 않았을까" 하고 탄식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강하면서도 애수가 깊게 녹아 있는 곡으로 드보르자크를 대표하며 꽤 자주 들을 수 있는 명곡이다. 초연은 1896년에 자신의 지휘로 했으며 협연은 영국의 첼리스트인 레오스턴 (Leo Stern, 1862~1904)이 맡았다.

  

 
> 1악장, 알레그로 b단조. 소나타 형식이다. 처음 부분은 클라리넷이 약간 빠르게 1주제를 연주하며 등장한다. 이어 밝은 느낌의 현악과 목관의 앙상블로 변화하며 풍성한 호른의 2주제로 닿게 된다. 풍요롭고 목가적인 클라리넷이 다시 등장하고 오케스트라의 합주부가 나온다. 이에 이어 기다렸다는 듯, 늠름한 첼로 독주가 시작하는데 1주제를 연주하기 시작한다. 이어 첼로의 활발한 연주가 이어지고 여러 변화를 거쳐 거대한 모습으로 1악장은 마무리를 짓는다. 2악장 아다지오 마 논 트로포 G장조. 매우 아름다운 악장으로 드보르자크만이 보여줄 수 있는 서정이 가득하다. 목관악기가 부드럽게 이끌고 이어 클라리넷과 첼로가 아름다운 선율을 연주한다. 중간부에서는 다시 분위기가 바뀌고 카덴차를 거쳐 마무리가 된다. 3악장, 알레그로 모데라토 b단조. 자유로운 론도 형식으로 조금 격렬한 모습을 보여주는 악장이다. 끝 부분의, 회상하는 듯한 마무리가 인상적이기도 하다.
 

 

* Top 추천

 

  

Mstislav Rostropovich (cello)
Herbert von Karajan (conductor)
Berliner Philharmoniker

1968, DG

  

워낙 명곡이다 보니 드보르자크의 첼로를 연주한 명인도 많고, 명 음반도 많다. 어쩌면 뻔한 선정일 수 있겠지만, 보편적이면서도 뛰어난 연주를 들려주는 음반으로는 카라얀과 로스트로포비치가 도이치 그라모폰(DG) 에서 남긴 것을 앞순위에 놓아야 할 것이다. 20세기에 활동했던 첼리스트 가운데 가장 왕성한 활동과 영향력을 보여준 첼리스트로 꼽히는 로스트로포비치의 연주는 강하면서도 유연하다. 이를 뒷받침하고 있는 카라얀의 반주가 너무 강하지 않은 점도 만족스럽다. 이 음반에 담긴 기록은 모든 사람에게 만족스럽진 못해도, 시쳇말로 언젠가 반드시 만나야 할 연주라는 점은 확실하다. 여러 기준점에서 흠을 잡기가 어려운 음반이다. 

 

  

 

 

< + 클래식 음반 가이드 선정반 >  

 

 

 

그라모폰 가이드 추천반

Pieter Wispelwey (cello)
Ivan Fischer (conductor)
Budapest Festival Orchestra
2006, Channel Classics

  

 

 

펭귄가이드 Key & ***

Ludwig Hoelscher (cello)
Joseph Keilberth (conductor)
Philharmonisches Staatsorchester Hamburg
1958, Warne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