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악에서 벗어나기>가 들어왔나 싶어서 동네서점에 갔다('지역서점'이란 말이 더 정확할 듯싶지만, 편의상 동네서점이라고 부른다). 다시 확인해보니 예판도서. 루틴대로 인문/과학 코너를 둘러보다가(동네서점의 장점은 한눈에 둘러볼 수 있다는 것이다) 역사분야 신간으로 나온 책들에 눈길이 갔다. 이주의 픽은 세 권의 세계사다. 동네서점 픽이라고 해도 되겠다(연휴기간에는 배송이 안되기에 동네서점을 이용함직하다). 
















먼저, 이번에 처음 소개되는 페트라스 남매의 <몸으로 읽는 세계사>. '사소한 몸에 숨겨진 독특하고 거대한 문명의 역사'가 우리말 부제다. 눈, 귀, 코 등을 담은 표지가 보여주는 대로 우리 몸 각 부분과 관련한 역사적 기억과 사례를 재미있게 들려준다. 


"이 책의 저자인 페트라스 남매는 ‘클레오파트라의 코가 낮았다면 어떻게 되었을까?’라는 수학자 파스칼의 의문에 답을 구하고자 연구를 시작했다. 그리고 마침내 ‘몸’을 통해 바라본 역사 속에서 과거의 이념이나 사상에 대한 놀라운 통찰을 얻어냈다."

















두번째 책의 저자도 이번에 처음 소개된다(그렇지만 영국에서는 '시간여행자의 가아드' 시리즈로 유명한 베스트셀러 저자다). 이언 모티머의 <변화의 세기>. 제목에는 정확히 드러나지 않는데, 11세가부터 20세기까지 천년의 역사를 훑는 책다. 그래서 부제가 '서양 천년을 바꾼 결정적 사건들'이다.  


"<변화의 세기>는 지난 천 년간의 서구 사회를 ‘변화’라는 키워드로 해석하는 독특한 역사책이다. 11세기부터 20세기까지 각 세기별 가장 중요한 변화들을 제시하고 변화의 주체가 되는 인물들을 꼽는다. 지난 천 년간, 서양을 뒤흔든 가장 큰 변화는 무엇일까."


세계사를 공부하는 학생들에게도 좋은 보교재가 되겠다. 

















세번째 책도 영국의 대중 역사가라는 그레그 제너의 <경이로운 역사 콘서트>. '역사가에게 물어보고 싶은 질문50'이란 부제대로 일반 대중의 질문 50가지 답하는 내용으로 구성돼 있다(제너의 책은 앞서 <소소한 일상의 대단한 역사>가 번역됐지만 절판됐다). 


"<경이로운 역사 콘서트>의 저자 그레그 제너는 역사와 관련된 영화, 다큐멘터리, TV 시리즈 제작에 참여한 대중 역사가로 사람들에게 직접 받은 50가지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한 권의 책으로 엮었다. 누구나 궁금해 할 법한 질문부터 대놓고 물어보기 민망했던 질문까지, 저자는 독자의 호기심을 자극할 흥미진진하고 노골적인 이야기를 풍부한 지식과 유머러스한 문체로 풀어내고 있다."


고르고 보니 이 역시도 학생들의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책이다. 부담 없이 아무 장이나 펼쳐서 읽을 수 있으므로. 성인 독자는 두 말할 것도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퓰리처상 수상작가 어니스트 베커(1924-1974)의 책이 한권 더 나왔다. <악에서 벗어나기>(1975). 대표작 <죽음의 부정>(1973)과 나란히 놓을 만하다. 확인해보니 10권의 저작을 남겼는데, <죽음의 부정>과 <악에서 벗어나기>가 마지막 두 권이다.

˝1974년 퓰리처상 논픽션 부문 수상작인 <죽음의 부정>의 후속편에서, 문화인류학자 어니스트 베커는 죽음을 초월한 불멸에 대한 추구, 완전한 세계에 대한 열망 속에서 만들어지는 삶의 의미나 영웅주의 같은 자기초월의 문화적 상징 장치들이 인간악의 근원이라고 주장한다. 저자에 따르면 문화는 영웅적 죽음 부정의 양식이며, 각 사회는 악과 죽음에 대한 승리를 약속하는 영웅 시스템이다. 불멸을 가져다줄 영웅의 모습은 제사장과 왕, 정치지도자를 거쳐 국가와 자본, 이데올로기에 이르기까지 형태를 바꿔가며 가지를 뻗어나간다. 죽음에 대항한 승리의 가능성에 관한 ‘거짓말’인 문화적 기제로서의 영웅 시스템을 만든 대가는 폭정과 전쟁이며, 이는 필연적으로 타자의 생명을 희생으로 삼아 결국 인간 자신뿐 아니라 자연과 지구에도 크나큰 해악을 불러온다.˝

매우 공감할 만한 탁견이다(존 그레이의 <불멸화 위원회>를 떠올리게 한다). 악의 기원에 관한 탐구로서 필독해볼 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로쟈 > 낯선 사람들과의 불화

5년 전 페이퍼다. 조금 읽다가 멈춘 책인데(이글턴의 다른 책들과 마찬가지로 정독을 요한다) 얼마전에 눈에 띄어서 빼놓았다(독서도 운이 좌우한다). 쇼펜하우어와 니체 강의도 계획할 겸 살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롬 샐린저의 간판작 <호밀밭의 파수꾼> 새 번역본이 나왔다. 뜻밖에도 민음사판(정영목본)이다. 여러 번역본이 있었지만 민음사판(공경희본)과 문예출판사판이 선택지였고 강의에서는 주로 민음사판을 써왔다. 하지만 번역에 대한 불만이 컸었는데 이번에 나온 새번역본이 대안이 될 수 있을 듯싶다. 새번역본의 소개는 이렇다.

˝2023년 새로 출간하는 <호밀밭의 파수꾼>은 옮긴이 정영목 교수가 주인공 홀든 콜필드의 개성을 한층 더 생생히 표현하기 위해 원작의 문체와 문형에 가장 가까운 한국어 문장을 고심하며 저작권자의 자문과 검수를 거쳐 완성한 텍스트이다. 뿐만 아니라, 2020년대 한국 독자들의 생생한 문화적 문학적 감수성에도 부합하는 동시에 원작의 문장들이 갖는 리듬과 호흡, 맥락과 의미까지 고스란히 살리기 위한 어휘의 선별은 물론, 쉼표와 말줄임표 등 문장 부호의 쓰임에 이르기까지 세심히 검토하여 우리말로 옮겼다.˝

문장부호까지 살폈다니 결과가 궁금하다. 또다른 번역본이 나오기는 어려울 것이기에 정본 역할을 해주길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니체 관련서를 찾다가 우연히 책장에서 빼낸 책인데, 저자가 가장 기본적인 사실도 잘못 적고 있다. 1872년 초판의 제목이 <음악의 정신으로부터의 비극의 탄생>이다. 너무 당당하게 적고 있어서 다시 확인해봤다. 그럼에도 500쪽이 넘는 책을 써내는 용기는 도취에서 나오는 것일까...

니체의 처녀작 <비극의 탄생>은 1872년에 출간되었다. 27세의 젊은 철학자가 야심차게 내놓은 책이다. 당시 제목은 <비극의 탄생, 또는 그리스 정신과 염세주의 Die Geburt der Tragodie, oder: Griechenturn und Pessimismus>였고, 서론으로  ‘리하르트 바그너에게 바치는 서문‘이 실렸다. 그 뒤 1874년에 재판이 나왔고, 14년이 지난 1886년에 새롭게 개편한 책이 출간되었다. 그때는 제목이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음악의 정신으로부터의 비극의 탄생 Die Geburt der Tragödie aus dem Geist der Musik>으로 바뀌었다. 그러면서 또 하나의 서문인 ‘자기비판의 시도‘가 실려 있다. - P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