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공지다. 대안연과는 별도로 롯데문화센터 본점에서도 겨울학기에 한강 소설 전작 읽기를 진행한다. 강의는 매주 목요일 오후(3시30분-5시10분)에 진행되며 특강(별도 신청)을 포함한 구체적 일정은 아래와 같다(1/16 일본문학기행으로 휴강).



로쟈와 함께 읽는 한강


특강 12월 05일_ 한강과 노벨문학상


1강 12월 12일_ 한강, <여수의 사랑>



2강 12월 19일_ 한강, <검은 사슴>



3강 12월 26일_ 한강, <내 여자의 열매>



4강 1월 02일_ 한강, <그대의 차가운 손>



5강 1월 09일_ 한강, <채식주의자>



6강 1월 23일_ 한강, <바람이 분다, 가라>



7강 2월 06일_ 한강, <희랍어 시간>



8강 2월 13일_ 한강, <노랑무늬영원>


9강 2월 20일_ 한강, <소년의 온다><흰>
















10강 2월 27일_ 한강, <작별하지 않는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박상철 2024-11-04 22: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순서도 너무 좋습니다
 

강의 공지다. 현대백화점 문화센터 판교점에서는 겨울학기에 일본 탐미주의 작가들을 읽는다. 강의는 매주 수요일(오후3시30분-5시10분)에 진행하며 특강(별도 신청)을 포함한 구체적인 일정은 아래와 같다(1/15 일본문학기행으로 휴강). 



로쟈와 함께 읽는 일본문학


특강 12월 04일_ 나가이 가후, <강 동쪽의 기담>



1강 12월 11일_ 다니자키 준이치로, <치인의 사랑>



2강 12월 18일_ 다니자키 준이치로, <여뀌 먹는 벌레>



3강 1월 08일_ 가와바타 야스나리, <지고말 것을>



4강 1월 22일_ 가와바타 야스나리, <설국>



5강 2월 05일_ 가와바타 야스나리, <명인>



6강 2월 12일_ 미시마 유키오, <가면의 고백>



7강 2월 19일_ 미시마 유키오, <사랑의 갈증>



8강 2월 26알_ 미시마 유키오, <금각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강의 공지다. 대안연 월요 강좌(저녁7시반-9시반)에서는 푸슈킨 전작 읽기에 이어서 한강 전작 읽기를 진행한다. 물론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을 계기로 기획된 강의로 소설 전작을 읽으려 한다(대안연에서는 1월 13일에 한강의 시집 읽기를 박미섬 시인이 진행한다). 구체적인 일정은 아래와 같다(한강 소설 전작 읽기는 롯데본점에서도 주간에 진행한다).



한강 소설 전작 읽기


1강 12월 02일_ 한강, <흰> 



2강 12월 16일_ 한강, <여수의 사랑>



3강 12월 23일_ 한강, <검은 사슴>



4강 12월 30일_ 한강, <내 여자의 열매>



5강 1월 06일_ 한강, <그대의 차가운 손>



6강 1월 20일_ 한강, <채식주의자>



7강 1월 27일_ 한강, <바람이 분다, 가라>



8강 2월 03일_ 한강, <희랍어 시간>



9강 2월 10일_ 한강, <노랑무늬영원>



10강 2월 17일_ 한강, <소년이 온다>



11강 2월 24일_ 한강, <작별하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취리히의 아침이 밝았다. 스위스문학기행 9일차이고 마지막 날이다(10일차는 비행기에서 맞는다). 일행은 대부분 조식을 마치고 휴식을 취하거나 짐정리를 하는 시간. 1시간반쯤 뒤에는 전용버스로 숙소를 떠나 공항으로 향하게 된다(일부는 또다른 여정을 위해 취리히 중앙역으로 간다고 한다). 올 때처럼 루프트한자를 타고서 귀국길에 오르게되는데 올 때와는 달리 뮌헨 공항을 경유하게 된다. 취리히를 떠나 인천공항에 안착하기까지는 15시간쯤 소요되는 것 같다. 올 때는 들뜬 마음이지만, 돌아갈 때는 가벼운 마음이다. 임무를 완수하고 귀대하는 심정이랄까.

공식적인 8일간을 돌이켜보면 짧은 기간이었지만 하루하루의 시간이 복기가 가능할 만큼 충실한 시간이기도 했다. 토마스 만의 무덤에서 조이스의 무덤까지(사실 두곳 다 취리히에 있다) 하나의 선으로 이어지는 것 같다. 이전 문학기행까지 포함하면 토마스 만의 장소로 뤼벡-뮌헨-베네치아-다보스-취리히를 둘러보았고, 조이스의 경우는 더블린-파리-취리히를 되밟게 되었다. 헤세의 경우에도 고향 칼프에서 생을 마친 몬타뇰라까지. 그리고 니체의 실스마리아. 문학 독자이자 강사로서 최소한 입막음은 했다고 여겨진다.

더불어 취리히란 도시가 특히 1차세대전시 예술가(다다이스트)와 정치적 망명자들(뷔히너와 레닌)에게 가졌던 의미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었고(다다는 파리로 건너가 빈의 정신분석과 합세해 초현실주의를 자극하고 취리히를 떠난 레닌은 1917년 4월테제를 발표한다) 스위스성과 스위스 모델에 대해서도 생각을 가다듬을 수 있었다(스위스는 연방제 국가의 좋은 모델이다). 그리고 알프스의 나라 스위스의 풍광과 아름다운 가을의 정취를 만끽할 수 있었다. 스위스문학기행을 통해서 얻은 것들이다.

문학기행은 내년에도 계속 이어질 예정인데, 일단은 일본(1월)과 오스트리아(4월)가 확정돼 있고 중국(10월)도 준비중이다. 독서와 배움에 끝이 없다면 문학기행의 여정도 계속 이어질 것이다...

사진은 숙소에서 보이는 창밖 아침 풍경(중앙역이 가까이 있어서 철로와 기차가 보인다). 그리고 벽을 장식하고 있는 스위스의 풍경사진이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지모야 2024-10-30 00: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선생님, 죄송하지만, 문학기행 어디서 신청하는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로쟈 2024-10-30 17:51   좋아요 0 | URL
‘펀트래블‘ 여행사(https://funtravel.kr/main/index.html)에 공지됩니다.

나지모야 2024-10-31 23: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