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 강릉으로 짧은 휴가를 떠나는 길이다. 짧다고 한 건 2박3일 일정이어서 그런데, 일요일이 포함돼 있어서 정작 휴가는 이틀이고, 화요일 저녁 강의가 있는 터라 실제로는 하루 반나절의 휴가라고 해야겠다. 그렇지만 어쨌든 샌들을 신고 여행 캐리어를 끌고서 집을 나섰으니 여행은 여행이다(기차로 이동하기에 여권은 챙기지 않았다. 제주도에만 가려 해도 신분증 대용으로 나는 여권을 챙겨야 한다).

금요일 밤에 본 영화를 제목에 단 것은 이달 KTX 컬처란에 짤막하게 영화소개가 실려서다. 짤막해도 영화소개로는 유일하다. ‘이달의 영화‘ 같은 인상이랄까. 극장에서 영화를 보는 일이 드물어지면서 개봉영화에 주목하지 않아서 상영소식은 뒤늦게 알았다. 영화에 대한 정보 없이(‘홀로코스트 영화‘라는 것 이상의 정보 없이. 그 이상은 알아보지 않았다) 마침 동네 상영관 시간이 맞아서 아이와 함께 본 영화였다. 아마도 상영기간이 끝나가는지 9시반 타임의 관객은 열명을 겨우 넘길 만했다(추측이다. 중간쯤에 앉았는데 앞쪽에는 우리 포함 네명이었고, 뒷좌석에 얼마나 관객이 들었는지 돌아보지 않았다).

영화가 아우슈비츠 수용소장 루돌프 회스(헤스) 가족 이야기란 건 보면서 알게 된 사실. 기억에 회스의 회고록이 나왔었기에 찾아보았다. 절판됐지만 <아우슈비츠 수용소장 헤스의 고백록>이라고 나왔었다. 영화는 마틴 에이미스의 동명소설을 원작으로 하고 있는데 아직 우리에겐 번역되지 않았다. 에이미스는 이언 매큐언, 줄리언 반스 등과 함께 동시대 영국 최고 작가의 한명으로 꼽히지만 한국 독자들과는 인연이 잘 닿지 않았다(아버지 킹슬리 에이미스도 저명 작가여서 영국에서는 ‘에이미스‘라고만 부르면 헷갈리겠다). 몇권 번역됐지만 대개 절판되고 잊혔다. <존 오브 인터레스트>가 영화를 계기로 번역될지 궁금하다.

에이미스의 소설은 2014년작이고 영화는 2023년 5월 칸 영화제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우연찮게도 에이미스가 타계한 날이다. 1949년생이니 74세의 나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메리언 울프의 <책 읽는 뇌>가 원제 <프루스트와 오징어>로 다시 나왔다. 절판됐던 책인데 <다시,책으로>가 좋은 반응을 얻으면서 전작까지 소환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책의 내용과 관련해서는 ‘책 읽는 뇌‘가 이해하기 쉬운 제목이지만 원제는 원제대로 묘미가 있었다.

˝독서의 지적 세계를 상징하는 ‘프루스트’와 독서의 신경학적 측면을 상징하는 ‘오징어’가 결합된 제목에 걸맞게, <프루스트와 오징어>는 가장 과학적이면서도 가장 문학적인 방식으로 독서라는 인류 최고의 발명품에 관해 논한다. 신경과학, 문학, 고고학을 넘나드는 다양한 자료와 생생한 사례들을 통해 매리언 울프는 독서가 인간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 밝힌다.˝

초판을 흥미롭게 읽고 강의에서도 자주 언급했던 책이라 재출간이 반갑다. 한국어판 서문이 새로 더해졌다고 하는데 서문만이라도 따로 읽어볼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로쟈 > 유령은 사라지지 않는다

6년 전에 쓴 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갤러리 까르찌나에서 러시아문학자들의 강연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강연은 7월 6일부터 27일까지 토요일, 일요일에 한전 갤러리에서 열리며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 포스터를 참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강의 공지다. '화요 작가클럽'(화요일 저녁 8시-10시, 비대면)의 나보코프 읽기를 현재 진행중인데,  나보코프 이후 일정을 미리 공지한다. 스위스문학기행도 염두에 두고 기획한 '니체 읽기'다. 7월 23일부터 9월 24일까지 두달에 걸려서 진행할 예정이며 구체적인 구체적인 일정은 아래와 같다(유료강의이며 문의 및 신청은 010-9922-3193 정은교).



로쟈와 함께 읽는 니체


1강 7월 23일_ 니체, <이 사람을 보라>



2강 7월 30일_ 니체, <우상의 황혼>



3강 8월 06일_ 니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1)



4강 8월 13일_ 니체, <차르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2)



5강 8월 20일_ 니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3)



6강 8월 27일_ 니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4)



7강 9울 03일_ 니체, <선악의 저편>(1)



8강 9월 10일_ 니체, <선악의 저편>(2)



9강 9월 24일_ 니체, <선악의 저편>(3)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4-06-19 15:34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