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랭 바디우의 신간이 나왔다. <철학을 위한 두번째 선언>. 당연히 먼저 나온 책이 있는데 두 차례 번역된 <철학을 위한 선언>이 그것이다 소개를 보니 그 간격이 20년이었다.

˝혁신과 실천, 제한 없는 낙관과 끝없는 가능성의 철학자이자 진리와 주체의 철학자인 알랭 바디우(Alain Badiou, 1937~)는 지난 세기의 1989년에 <철학을 위한 선언>을 공표한 바 있다. 그 책은 ‘철학의 종말’이라는 당시의 철학적 정세에 대한 개입이었다. ‘철학의 종말’이라는 지배적인 테마에 맞서 철학의 새로운 출발을 ‘선언’한 것이다. 그 선언으로부터 20년이 지나고 세기가 바뀐 2009년, 바디우는 다시 한 번 철학을 위한 선언, 즉 두 번째 선언을 내놓았다.˝

2009년에 나온 책의 번역본이므로 한발 늦은 감은 있는데, 그래도 적당한 분량의 책이어서 바디우 철학 입문용으로 삼아도 좋겠다. 바디우의 책도 꽤 밀려 있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로쟈 > 잘 구별되지 않는 일들

5년 전의 시 읽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20년 노벨문학상이 미국의 여성시인 루이즈 글릭에게 돌아갔을 때 출판계나 독자나 멋쩍었던 기억이 난다. 대중성이 있는 소설가가 아니라 시인이 수상한데가 국내에 단독 번역서가 한권도 나와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예전에도 시인이 수상하더라도 속성으로 번역본이 나오기도 했으나 이번에는 시간이 좀 걸릴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실제 번역본은 예상보다도 더 늦게, 수상자 발표 이후 2년을 넘겨서야 비로소 나왔다. 세권의 시집이 한꺼번에 나왔는데 1인 번역이다(시간이 소요된 이유를 알겠다). 강의에서 다룰 일은 없을 것 같지만(번역시집을 다룬 전례가 없지는 않지만) 그래도 챙겨놓아야겠다.

˝2020년 노벨문학상은 미국의 여성 시인 루이즈 글릭에게 갔다. 2000년 이후 여성 시인으로서는 처음이다. 1909년에 <닐스의 모험>으로 노벨문학상을 받은 최초 여성 작가 셀마 라겔뢰프 이후 16번째이며 1996년 비스와바 쉼보르스카 이후 두 번째 여성 시인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21세기 전 세계 문학계에서 가장 큰 화두는 ‘여성’임을 알 수 있다.˝

소개에 대해 두 가지 군말을 덧불이자면, 첫째 올해 프랑스 작가 아니 에르노가 수상함으로써(다음주부터 대안연 강의에서 전작을 읽는다) 여성 수상자는 17명이 되었다(참고로 프랑스 작가로선 16번째다). 둘째, 그렇다고 21세기 문학의 화두가 ‘여성‘이 되는 걸까? 무슨 논리인지? 다만 노벨문학상은 2018년 심사위워회 개편 이후 남녀의 성비를 맞추고 있다. 짐작엔 미투 파문으로 재편된 심사위원단이 남녀 동수로 구성돼 있거나 성평등을 중요한 기준으로 삼고 있지 않나 싶다. 2018년 이후 수상자 명단은 이렇다.

2018 올가 토카르추크(소설가, 폴란드) 여성
2019 페터 한트케(소설가, 극작가, 오스트리아) 남성
2020 루이즈 글릭(시인, 미국) 여성
2021 압둘라자크 구르나(소설가, 탄자니아) 남성
2022 아니 에르노(소설가, 프랑스) 여성

내 생각에 가장 중요한 기준은 지역이나 언어, 장르보다 성별인 것 같다. 그리고 추이를 보면 내년 수상자는 남성이라는 데 내기를 걸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로쟈 > 건강의 배신이 우리에게 알려주는 것

3년 전에 쓴 리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강의 공지다. 계절별로 진행하던 강제독서 강좌는 이번 가을을 건너뛰고 겨울부터 격주 일정(혹은 3주 간격)으로 진행한다. 겨울학기는 12월 5일부터 2월 27일까지 월요일 오전(10시-12시)에 진행하며 구체적인 일정은 아래와 같다(비대면 유료강의이며 단강 신청도 가능하다. 문의 및 신청은 010-2701-0734 이영혜)


로쟈와 함께하는 강제독서


1강 12월 05일_ 아먼드 단거, <사랑에 빠진 소크라테스>



2강 12월 19일_ 로버트 자레츠키, <승리는 언제나 일시적이다>



3강 1월 09일_ 오드리 탕, <프로그래머 장관 오드리 탕, 내일을 위한 디지털을 말하다>



4강 1월 30일_ 피터 게이, <바이마르 문화>



5강 2월 13일_ 조영일, <한국문학의 구조>



6강 2월 27일_ 데이비드 댐로쉬, <데이비드 댐로쉬의 세계문학 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