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에서 테러방지(빙자)법 저지를 위한 필리버스터(무제한토론)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제목으로는 '이주의 책'에 딱 부합하는 책이 나왔다. <독재자를 무너뜨리는 법>(문학동네, 2016).

 

"저자 스르자 포포비치는 뭔가 사소한 것, 적절한 것, 그러면서도 성공적일 수 있는 것, 그것 때문에 죽거나 심한 폭력을 당하지 않는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크게 꿈꾸고 작게 시작하기, 미래에 대한 비전 갖기, 웃음행동주의 실천하기, 탄압에 역풍 불러일으키기가 비폭력 운동의 토대라면, 이를 견고하게 쌓아올릴 비폭력 투쟁의 기본 원칙이 운동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이야기한다."

저자 스르자 포포비치는 세르비아 출신의 사회운동가. 그리고 책은 만화다, 라고 착각했지만 아니다. 알고 보니 굽시니스트의 웹툰이 책소개에 들어가 있을 뿐이다. 저자의 새로운 혁명론은 직접적인 경험에서 나왔다.

"1990년대 중반, ‘인종 청소’라는 말로 유명한 독재자 밀로셰비치의 폭압하에 있던 세르비아의 한 기타리스트는 새로운 전략을 제안한다. 바로 ‘비폭력 행동주의’였다. 그러나 그가 이야기하는 ‘비폭력주의’는 간디나 마틴 루서 킹 목사에게 없었던 한 가지, ‘유머’를 핵심전략으로 삼았다. 포포비치는 상투적이고 반복적이어서 그 누구의 관심도 더이상 쉽게 끌어내지 못하는 집회 방식에서 벗어나, 록 콘서트처럼 역동적이고, 누구나 원할 만큼 ‘힙’하며, 재미있는 아이디어로 넘치는 시위 방법을 제안한다. 너무나 잔혹해서 아무도 그를 쓰러뜨릴 수 없다고 여겨졌던 세르비아의 독재자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그를 권좌에서 끌어내린 오트포르! 운동의 시작이었다."

 

만화가 굽시니스트의 추천사가 핵심을 짚고 있다. 

"독재 타도에 있어서 산전수전 다 겪은 한국인들 앞에서 세르비아인들이 감히 뭔가 아는 척할 거리가 있다고? 가소로운 기분이 들 수 있겠지만 이 책을 읽어보면 한국인들의 영광은 이미 옛것이 되었고, 독재 타도의 최신 트렌드는 세르비아인들이 선도해나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독재 타도 시장에 한류 열풍을 다시 불러일으키기 위해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우리도 한때는 독재를 무너뜨린 전력을 갖고 있다. 하지만 도대체 언젯적이란 말인가. 아, 옛날이여...

 

16. 02. 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토피아를 제목으로 단 두 권의 책을 같이 묶는다. 인류학자이자 사회운동가 데이비드 그레이버의 <관료제 유토피아>(메디치미디어, 2016)와 사회학자 지그문트 바우만의 <사회주의, 생동하는 유토피아>(오월의봄, 2016)다. 의미가 같지는 않다. 바우만의 사회주의 유토피아가 지속적인 탐험과 지향점을 뜻한다면, 그레이버의 관료제 유토피아(원제는 '규칙의 유토피아')는 반어적인 명명이다.

 

 

<관료제 유토피아>의 요지는 책소개를 통해서 대략 어림해볼 수 있다. '관료제 유토피아'란 말은 '전면적 관료화'의 의미로 이해해도 좋겠다.

"저자 데이비드 그레이버는 현대 사회가 '전면적 관료화'가 된 현상에 주목한다. 정부 업무는 말할 것도 없고, 대기업, 금융, 학교에도 관료주의가 널리 퍼져있다. 권력 기관은 제도와 규제처럼 당연해 보이는 규칙을 통해 개인들을 손쉽게 통제한다. 절대왕정 시대와 비교하면 세상은 훨씬 더 관료제화 되었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신자유주의 시대가 옳고 그름을 떠나, '자유'라는 단어 자체가 모순이다. 저자는 현대 자본주의와 관료제 사이의 끈끈한 밀월관계와 이로 인해 파생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낱낱이 파헤친다. 또한 우리가 불만 속에서도 관료주의 체제에 속수무책으로 사로잡혀 있을 수밖에 없는 온갖 종류의 속임수나 덫들에 관해 조명하고, 우리가 자발적으로 거기에서 벗어나기 위한 진지한 고민을 시작하게 해준다."

 

그레이버의 책은 <가치이론에 대한 인류학적 접근>(그린비,2009)이 처음 소개된 이후, <부채>(부글북스, 2011), <우리만 모르는 민주주의>(이책, 2015) 등이 출간되었다. 추세를 보아 마샬 살린스와 공저한 <왕들에 대하여>(2016)도 번역되지 않을까 싶고, 이 역시 기대되는 타이틀이다.

 

 

사회주의란 말은 역사적으로나 의미가 너무 확장되어 그 자체로는 심지어 모호해 보인다. '어떤 사회주의?'라는 질문이 뒤따를 수밖에 없는데, 바우만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바우만의 사회주의란 어떤 사회주의인가를 먼저 물어야겠다. '생동하는 유토피아'라고 답할까?

"저자 지그문트 바우만은 원래 마르크스주의 사상을 연구하는 학자였고, 열렬한 사회주의자이기도 했다. 그런 바우만의 사상을 엿볼 수 있는 책이며, 또한 노골적으로 사회주의를 표방하고 있는 책이다. 그리고 바우만의 현대성 분석과 소비사회 비판이 왜 시작되었고, 어디에서 나왔는지 그 맥락을 살펴볼 수 있는 책이기도 하다. 저자는 현대사회에 사회주의라는 '생동하는 유토피아'가 어떤 영향을 끼칠 수 있는지 탐험한다. 현대사회의 유토피아로서 사회주의의 역할을 분석하고, 사회주의를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반문화로 제시하면서 오늘날의 사회주의가 가야 할 방향성을 모색하고 있다."

원저는 2010년작. 이제껏 그래왔듯이 올해도 바우만의 책은 여러 권 소개될 듯싶다.

 

 

그 전에 밀려 있는 바우만도 몇 권 빨리 해치워야겠다. 읽는 속도가 쓰는 속도를 못 따라가다니...

 

16. 02. 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랜만에(라고 적었지만 주관적인 느낌에 그렇다는 것이다) 키에르케고어에 관한 책이 출간됐기에 '이주의 발견'으로 고른다(키에르케고어의 이름 표기는 아직도 고정이 안 된 듯하다. '키에르케고르'와 '키에르케고어' 외에도 '키르케고르'와 '키아케고어'까지 쓰인다. 애초에 통용되던 키에르케고르를 현지 발음을 이유로 흔든 게 문제였고, 학계나 출판계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게 그 다음 문제다). 아르네 그뤤의 <불안과 함께 살아가기>(도서출판b, 2016). '키에르케고어의 인간학'이 부제다.

 

"저자 아르네 그뤤은 <불안의 개념>에 대한 치밀한 분석과 해명으로 시작해, 불안의 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를 바탕으로 자연스럽게 키에르케고어 인간학의 다른 핵심적인 주제들로 나아간다. 불안과 직간접적으로 맞닿아 있는 '실존', '자유', '절망', '역사', '윤리', '믿음', '시대비판' 등을 나머지 9개의 장에서 하나하나씩 집중적으로 논의하는 것이다. 불안이라는 실존적 '근원현상'에서 출발하여 키에르케고어 사상 전반에 관한 균형 잡힌 조망을 획득할 뿐 아니라, 그의 인간학의 중심 모티브와 주제들에 대한 적확한 해석, 나아가 이들 사이의 복합적인 연관성에 대한 명료한 이해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저자는 덴마크 철학자로 코펜하겐대학 교수이며 '키에르케고어 총서'의 공동편집자. 곧 키에르케고어 전문가다. 말의 좋은 의미에서 교과서적인 책이라고 해야겠다. 이번에 알게 되었는데, 같은 주제를 다룬 국내서로는 안상혁의 <불안, 키에르케고어의 실험적 심리학>(성균관대출판부, 2015)이 나와 있다. 미학 전공자의 책이란 점이 특이하다.

 

 

키에르케고어의 <불안의 개념>은 국내에 3-4종의 번역본이 있다. 나는 세 권을 갖고 있는데, 막상 찾으려고 하니 한권만 책장에 꽂혀 있다. 마땅한 가이드북이 나온 김에 오래 미뤄둔 독서에 나서도 좋겠다, 싶지만, 흠, 강의와 원고 일정을 생각하면 무리겠다. 더 불안해지면 읽어보는 걸로 해야겠다...

 

16. 02. 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철학 공구서(기본참고서)에 해당하는 책 두 종을 '이주의 발견'으로 고른다. 노르웨이 철학자 군나르 시르베크와 닐스 길리에의 <서양철학사1,2>(이학사, 2016)와 페터 쿤츠만 등의 <철학도해사전>(들녘, 2016)이다.

 

 

<서양철학사>가 새로 나왔다는 건 별반 새로운 소식은 아닌데, 이번에 나온 책은 노르웨이 저자들의 책이란 점에서 눈길을 끈다(노르웨이 문학 외 책이 소개된 것 자체가 드문 일 아닌가? 번역은 독어본을 갖고 한 걸로 보이지만). "노르웨이를 대표하는 철학자인 군나르 시르베크와 닐스 길리에가 함께 쓴 서양철학사. 1972년에 처음 노르웨이에서 출판된 후 7차례 개정판이 나왔고, 독일어, 프랑스어, 영어는 물론 러시아어, 중국어, 아랍어를 포함하여 전 세계 14개 언어로 번역된 명저이다. 철학을 전공하지 않은 일반 대학생들을 위한 교양 철학 교재로 집필되었다."

 

짐작에 노르웨이산 철학사로는 가장 유명한 책인 듯싶다. 자연스레 관심은 어떤 특장이 있는가란 것인데, 독일이나 프랑스에서도 번역돼 나왔다고 하면 어느 정도 신뢰할 만하다. 찾아보니 영어본은 <서양사상사>란 제목이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물론 콩트 이후의 사회과학과 아인슈타인의 물리학까지도 서술 범위에 포함하고 있기에 <서양철학사> 대신에 <서양사상사>라고 옮겨진 듯하다. 아무려나 꽤 구미를 당기게 하는 책.   

 

 

반면에 <철학도해사전>은 독일산이다. 예전에 <그림으로 보는 철학사>(예경, 1999)라고 한 차례 나왔던 책이 새롭게 번역된 걸로 보인다(이 책의 중고판매자들로선 '날벼락'이겠다). "독일의 저명한 세 철학자가 저술하였으며, 출간 직후 관심을 이끌며 프랑스, 영국, 미국, 일본 등 지금까지 전 세계 18개국에서 출간된 베스트셀러다. 3500년 동안 축적된 방대한 철학의 역사를 철학자, 주제, 개념을 중심으로 정리한다. 동양철학, 서양 고대철학, 중세철학 등 철학사적 흐름에 맞춰 8개의 장으로 구성하였다. 일목요연한 112개의 도해로 3500년 철학의 개념과 흐름을 꿰뚫을 수 있다."

 

영어본이 있는지는 확인이 안 되지만, 알라딘에서 스페인어본과 일어본까지는 검색이 된다. 그만큼 널리 읽힌다는 뜻이겠다. 새롭게 철학 공부에 뜻을 둔 젊은 학생들 뿐 아니라 일반 독자도 기꺼이 기본서로 삼을 만하다. 나부터도 주문을 넣어봐야겠다...

 

16. 02. 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주 출간예정으로 예판이 뜬 책 가운데 '박이문 인문학 전집'(미다스북스)이 있다. 총10권으로 세트판매만 하는 듯싶다. 상당수의 책을 이미 소장하고 있는 터라, 내겐 말 그대로 기념품적인(소장용) 성격의 세트인데 가격을 고려하면 당장 구입하기는 어렵겠다(다른 책들도 밀려 있는 터라). 그렇더라도 학부시절 탐독했던 저자의 한 명인지라 감회가 없지 않다. 대학 1학년 때 처음 읽었으니 얼추 30년이다.

 

 

'전집'이라고는 했지만 분량상으론 선집이다. 전제 2,000쪽이면 권당 200쪽이라는 얘기인데, 이건 착오가 있지 않나 싶고(생각보다 너무 얇은 분량이다. 최근에 나오기 시작한 무지막지한 분량의 김우창 전집과 비교해봐도 그렇다). 전체 구성은 아래와 같다.(*예상대로 분량은 착오였다. 출판사쪽에서 알려온 바에 따르면 권당 600-800쪽으로 전체 분량은 7,000쪽 가량이라고 한다. 말 그대로 '전집'이다). 

 

박이문 인문학 전집 1 하나만의 선택 - 우리시대 최고의 인문학 마에스트로
박이문 인문학 전집 2 나의 문학 나의 철학 - 문학과 철학 넘나들기
박이문 인문학 전집 3 동양과 서양의 만남 - 노자와 공자, 그리고 하이데거까지
박이문 인문학 전집 4 철학이란 무엇인가 - 철학적 사유의 발자국
박이문 인문학 전집 5 인식과 실존 - 존재의 형이상을 제시하는 언어철학
박이문 인문학 전집 6 죽음 앞의 삶, 삶 속의 인간 - 종교와 윤리
박이문 인문학 전집 7 예술철학 - 한국 미학의 정수
박이문 인문학 전집 8 생태학적 세계관과 문명의 미래 - 과학기술문명에 대한 대안적 통찰
박이문 인문학 전집 9 둥지의 철학 - 철학으로서의 예술, 예술로서의 철학
박이문 인문학 전집 10 울림의 공백 - 가혹한 생에서 피어난 청정한 시

 

마지막 10권은 시집인 듯하고, 각권의 제목 가운데 <하나만의 선택><철학이란 무엇인가><인식과 실존><예술철학><둥지의 철학> 등은 단행본 제목이기도 했다. 한 가지 아쉬운 것은 거의 첫 저작인 듯싶은 <시와 과학>(일조각, 1975)이 빠진 것. 1,2권에 관련 내용이 포함돼 있는지 모르겠지만, 내게 가장 강한 인상을 주었던 책이라(맨처음 읽은 책이어서 그런지도 모르겠다) 원래의 제목으로 나오길 바랬는데, 결과적으로는 무산될 듯싶다. 1975년판 <시와 과학>의 목차는 아래와 같다. 대략적인 내용을 어림해볼 수 있을 것이다.(*역시 출판사 쪽에서 알려온 바에 따르면 <시와 과학>은 전체 내용이 5권에 포함돼 있다고 한다. 다행스럽게 생각한다.) 

 

목차

  • 第1部 詩와 科學
  • 詩와 科學
  • 1. 意味論의 立場 = 3
  • 2. 言語와 意味
  • 1) 存在와 言語 = 10
  • 2) 意味와 意味 = 11
  • 3) 意識과 그 指示對象 = 13
  • 4) 外延的 意味와 內包的 意味 = 15
  • 3. 科學的 知識
  • 1) 認識으로서의 科學 = 17
  • 2) 觀察的 知識과 理論的 知識 = 19
  • 3) 科學的 知識의 構造 = 21
  • 4) 科學의 客觀性 = 26
  • 5) 客觀性의 抽象性 = 28
  • 4. 詩的 表現
  • 1) 詩的 表現 = 31
  • 2) 科學的 認識과 詩的 敍述 = 37
  • 3) 詩的 敍述의 對象 = 41
  • 4) 詩的 意味 = 45
  • 5. 眞理
  • 1) 眞理의 槪念 = 49
  • 2) 科學的 眞理의 主觀性 = 52
  • 3) 事物과 그 解釋 = 56
  • 6. 人間과 自然
  • 1) 自然 아닌 自然 = 61
  • 2) 事實과 價値 = 67
  • 3) 人間의 根本的 欲望 = 74
  • 4) 征服과 疎外 = 79
  • 5) 詩的 解決 = 82
  • 第2部 言語와 藝術
  • 文學的 言語와 哲學的 言語
  • 1. 言語의 두 機能 = 88
  • 2. 敍述言語와 '言語에 대한 言語' = 90
  • 3. 文學과 哲學의 言語 = 91
  • 4. 文學言語는 評價言語 = 92
  • 5. 文學 속의 哲學과 文學哲學 = 96
  • 6. 文學과 哲學의 價値와 機能 = 98
  • 藝術과 眞理
  • 1. 藝術과 思想 - 意味論的 觀點에서 = 99
  • 2. 文學的 眞理 - 科學的 眞理와 區別해서 = 103
  • 詩的 言語 = 116
  • 第3部 藝術批評
  • 非文字藝術에 있어서의 '意味' = 135
  • 藝術的 經驗 = 151
  • 文學批評의 機能과 限界 = 163
  • 現象學으로서의 文學批評 = 184
  • 藝術의 批評과 評價
  • 1. 說明과 評價의 性質 = 197
  • 2. '藝術的인 것'의 規準 = 200
  • 3. 規範의 設定問題 = 201
  • 4. 藝術史의 存在 = 203
  • 5. 藝術的 觀點과 非藝術的 觀點 = 205
  •  

    도서관에서 대출해서 읽었던 1975년판은 양장본이었고, 이후에 한번 반양장본으로 나왔던 듯싶은데(검색해보니 1990년판이다), 내가 갖고 있는지도 불투명하다. 아무려나 내게 박이문은 (별다른 감흥을 불러일으키지 않는) <둥지의 철학>의 박이문이 아니라 <시와 과학>, <하나만의 선택>, <인식과 실존> 등의 박이문, '사르트르주의자' 박이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시와 과학>이란 제목이 저작 목록에서 사라진 데 대한 아쉬움을 따로 적는다...(*앞서 추가로 적었지만 내용은 전집에 다 포함돼 있다. 전집 목차에만 빠졌을 뿐이니 큰 아쉬움은 아니다.)

     

     

    16. 02. 06.

     

     

    P.S. 전집 구성에서도 알 수 있지만  박이문 인문학 여정의 종착지는 <둥지의 철학>(소나무, 2013)이다. 몇년 전부터 그의 삶과 철학 전체를 조명한 책이 나오고 있는데, 사회학자 정수복의 <삶을 긍정하는 허무주의>(알마, 2013)과 철학자 강학순의 <박이문: 둥지를 향한 철학과 예술의 여정>(미다스북스, 2014) 등이다. 이번에 전집이 나온다면 그에 대한 조명과 평가도 더 활발해질 듯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