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의 철학자 겸 사회학자 두 사람의 책이 각각 번역돼 나왔다. 질 리포베츠키의 <가벼움의 시대>(문예출판사, 2017))와 미셸 마페졸리의 <부족의 시대>(문학동네, 2017). 어립잡아 같이 묶었는데, 1944년생으로 생년이 같다. 개인적인 친분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국내에 소개된 프랑스 학자로는 공통점이 좀 있다. 책이 몇 권 소개되었지만 일반 독자들에게는 거의 인지도가 없다는 점.
<패션의 제국>(문예출판사, 1999)을 통해 처음 소개된 리포베츠키의 책은 지금 세보니 다섯 권이 번역되었다. 한데, <사치와 문화>(문예출판사, 2004)와 신간 <가벼움의 시대>를 제외하고는 모두 절판된 상태다. <행복의 역설>(알마, 2009)은 그맘때 대학 강의에서 교재로 쓰기도 했는데, 먼 옛날 기억처럼 여겨진다. <가벼움의 시대>는 <행복의 역설> 이후에 8년만에 소개되는 책이다.
"<텅 빈 것의 시대>, <패션의 제국>, <사치의 문화> 등 대중문화에 관한 신선하고 도발적인 주장을 담은 책으로 주목받은 프랑스 철학자 질 리포베츠키의 신간 <가벼움의 시대: 우리 시대를 지배하는 가벼운 것의 문명>은 ‘가벼움’이라는 모티프를 통해 우리 시대를 해석하려는 중요한 첫 걸음을 내딛는 책이다. 저자는 ‘가벼움의 문명’을 분석함으로써, 일상의 삶을 점점 더 무거워지게 만드는 이율배반적인 현실을 밝혀내고자 한다."
놀랄 만하지는 않더라도 뭔가 생각의 꼬투리는 던져주는 저자로 기억한다.<가벼움의 시대>는 전작들의 달리 비로소 한국 독자들과 통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
한국에서 별로 재미를 못 본 저자군에 속한다는 점에서는 마페졸리도 예외가 아니다. 단독 저작은 현재까지 다섯 권이 소개되었는데, 두 권은 절판되었고 남은 건 신간과 함께 <디오니소스의 그림자>(삼인, 2013)와 <영원한 순간>(이학사, 2010)이다. 이번 <부족의 시대>의 부제는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개인주의의 쇠퇴' 원저는 좀 된 책이다. 1988년에 나왔다고 하니까 30년만에 소개되는 셈.
"1988년 프랑스에서 초판이 출간된 이후 영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이탈리아어, 독일어, 일본어 등으로 번역되어 세계적으로 읽힌 마페졸리의 대표작 중 하나이다. 인류학적 통찰로 시들어가던 포스트모던 담론에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하고, ‘전자 은하계’에서 살아갈 대중의 속성을 시대를 앞서 전망한 예언적 저서이기도 하다.
이 책에서 마페졸리는 개인주의 신화에 종언을 고한다. 근대 이전이 공동체 사회였다면 근대는 개인의 시대이며, 이어 등장한 포스트모던 대중사회의 키워드는 ‘부족’이다. 씨족, 혈족 중심의 고대 부족이 아니라 문화, 스포츠, 성(性), 종교 등 다양한 관심사에 따라 불규칙하게 재편되는 소집단들을 통해 새로운 부족의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즉 오늘날 대중사회에서 인간은 개인주의를 버리고 소집단들로 뭉치며 다시 부족화하고 있다."
보드리야르의 뒤를 잇는 포스트모던 사회학의 대표 이론가로 소개되는데, <부족의 시대>가 비로소 그런 평판을 확인시켜 줄 수 있을지 궁금하다. 소개된 책들 가운데 <디오니소스의 그림자>(1982)와 <영원한 순간>(2000)이 <부족의 시대>의 앞뒤로 놓이는 책이다. 저자의 관심을 따라가자면 <디오니소스의 그림자>, <부족의 시대>, <영원한 순간> 순으로 읽어봐도 좋겠다...
17. 01. 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