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력을 다룬 두 권의 책이 나란히 나왔다(묶어서 주제서평으로 다뤄도 좋겠다). 존 크라카우어의 <미줄라>(원더박스, 2017)와 토르디스 엘바, 톰 스트레인저의 <용서의 나라>(책세상, 2017)다.

 

 

 

먼저 <미줄라>의 저자 존 크라카우어는 에베레스트 산 등반사고를 재구성한 <희박한 공기 속으로>(황금가지, 2007)가 대표작인 논픽션 작가다. 제목의 미줄라는 미국 북서부의 평범한 대학도시로, 몬태나 대학교를 중심으로 한 일련한 강간 사건 때문에 '강간 수도'라는 오명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나는 처음 들어본다). 책의 부제가 태나 대학교 성폭행 사건과 사법 시스템에 관한 르포르타주'다.

 

"미국 북서부의 평범한 대학도시 미줄라. 2010~2012년 몬태나 대학교를 중심으로 일련의 강간 사건들이 부각되고, 미줄라는 ‘강간 수도’라는 오명을 얻는다. 작가는 그 중심에 있던 세 사건의 처리 과정(대학법원 청문회, 경찰과 검찰 조사, 법원의 배심원 재판 등)을 소개하며, 피해자들이 강간에 대한 사회적 편견 속에서 얼마나 힘겨운 싸움을 이어가고 있는지 보여준다. <미줄라>는 <희박한 공기 속으로>로 세계적 명성을 얻은 존 크라카우어의 2015년 작품으로, 미국에서 출간 즉시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크라카우어는 답답하고 어두운 이야기를 전하면서도 희망을 포기하지 않는다. 힘들겠지만 ‘드러내어 말함’으로써 강간 문제를 해결해 나가자고 독려한다."

 

 

미국사회는 올해 성폭행 경험 여성들의 미투(#MeToo) 캠페인이 사회적 운동으로까지 번졌는데(이에 참여한 불특정 다수의 여성이 시사주간지 '타임'이 선정한 올해의 인물이다), <미줄라>는 그러한 사회적 분위기를 읽는데도 도움이 되겠다. '씨네21' 이다혜 기자는 추천사에서 이렇게 적었다.

 

"두려움을 안고 읽었다. 많은 강간 사건이 전적으로 신뢰하던 사람들에 의해, 일상적인 환경에서 일어난다. 존 크라카우어는 강간 피해자 관점에서 실제 사건들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피해자가 필요로 하는 조치가 무엇인지를, 피해자 입장에서 생각하게 만든다. 이 책이 더 많은 강간 생존자들의 용기를 북돋는 결과로 이어지기를 바란다."

 

 

 

<미줄라>가 성폭행 사건을 사법 시스템이 어떻게 다루는지, 곧 강간이 어떻게 합리화되는지를 폭로한다면, <용서의 나라>는 주제면에서 대척점에 놓인 책이다. '성폭력 생존자와 가해자가 함께 써내려간 기적의 대화'라는 부제가 말해주듯, 이 책의 초점은 가해자에 대한 법적 응징이 아니라 용서와 화해다.

 

 

"연인이었지만 성폭력의 생존자이자 가해자였던 십 대의 남녀가 16년 후 이국의 땅에서 재회하여 ‘강간의 진실’을 밝힌 실화 에세이. 폭력과 증오의 기억을 화해와 치유의 시간으로 바꿔가는 이 기적의 여정은 2016년 테드 토크에 소개되면서 폭발적인 반응을 끌어냈다. 아이슬란드의 인기 작가 토르디스 엘바와 호주에서 청소년지도사로 살아가는 톰 스트레인저가 아이슬란드와 호주의 중간 지대,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일주일간 만나 과거의 시간을 돌아본 이 책은 피해자와 가해자가 함께 써내려간 전례 없는 책이다. 인간이 인간에게 저지를 수 있는 가장 끔찍하고도 영구적인 폭력으로서 강간이 일상화된 오늘의 현실을 아프게 일깨우면서, 남녀 모두가 깨어 있는 의식으로 이 문제에 동참할 것을 뜨거운 체험의 언어로 설득한다."

 

소개에도 있지만 피해자와 가해자가 함께 쓴 전례없는 책이자 사례이기에, '강간은 어떻게 용서되는가'라고 일반화할 수는 없겠다. 그렇지만 <미줄라>와 함께 읽는다면 여러 가지 생각거리를 갖게 될 듯하다...

 

17. 12. 3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