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이주의 저자'를 고른다. 1년 넘게(확인해봐야 하지만 기분으론 그렇다) 말썽이던 PC를 업그레이드하면서, 그리고 바뀐 환경에 서서히 적응하게 되면서(이건 이삿집에 적응하는 것 비슷하다) 서재일의 여건이 좋아진 덕분이다. 조만간 '이주의 책'도 다시 고르고, 새로운 기획도 시도해보려 한다. 일단은 '이주의 저자'부터.

 

 

연말에 책을 낸 국내 저자들 가운데 3인을 골랐다. 먼저 부산대 한문학과의 강명관 교수. 느낌으론 오랜만에 새 책을 펴냈다. <허생의 섬, 연암의 아나키즘>(휴머니스트, 2017)이다. 제목대로 연암의 <허생>에 대한 재해석을 시도한 책이다.

 

"가난한 선비 허생이 과일과 말총을 사재기하여 큰돈을 버는 이야기. 연암 박지원의 <허생>은 누구나 줄거리를 알 정도로 유명한 소설로, 당시 조선의 취약한 경제를 폭로하고 실학적 관점에서 북학과 상업주의를 지지한 작품이라고 널리 알려졌다. 그런데 정말 그럴까? 이 책은 우리가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허생>의 의미를 산산이 깨뜨리는 파격적인 해석을 담았다. 저자 강명관 교수는 <허생>이 실린 <옥갑야화>의 모든 작품을 꼼꼼하고 면밀하게 읽는 동시에 연암의 방대한 사유와 <열하일기>의 전체 맥락 속에서 <허생>이 무엇을 말하는지 분석한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기존에 알고 있던 것과는 전혀 다른 <허생>을 만나게 된다."

 

<허생> 혹은 <허생전>은 국어 교과서에도 수록돼 있는(있었던) 만큼 우리에게 친숙하다(읽은 지는 오래 됐군). 이 참에 작품도 다시 읽고, 새로운 해석도 음미해보는 시간을 가져도 좋겠다. <열하일기>도 소장본으로 마련하고.

 

 

서울대 아시아언어문명학부의 서영채 교수도 새책을 펴냈다. <죄의식과 부끄러움>(나무,나무. 2017). '현대소설 백년, 한국인의 마음을 본다'가 부제. 부제에서 알 수 있지만, 한국현대소설사를 새로운 시각으로 조명한 책이다.

 

"근 10여 년 동안 저자 서영채를 사로잡은 화두는, '한국인'이라는 주체가 어떻게 형성되어왔는지였다. 그 계기가 된 것은 바로 나쓰메 소세키와 이광수의 소설들이다. 식민지 모국(비록 일본도 근대화가 이식된 나라이지만)의 작가 소세키와 식민지의 작가 이광수가 인물을 형상화해낸 방식이 왜 그렇게 서로 다른지 의문이었던 것이다. 저자는 이런 문제의식 아래에서 근현대 한국소설들을 다시 해석하게 되었고, 그 결과 '(식민지)근대성'과 '주체 형성'이라는 짝을 도출하게 된다. 이 주제를 가지고 2011년 이후 발표한 글들을 저본으로 하여, 이론적.학문적인 곳을 독자들이 읽기 쉽도록 풀어 쓴 것이 <죄의식과 부끄러움>이다."

 

식민지 근대성과 주체 형성은 나도 관심을 갖는 주제여서 곧바로 손에 들었다. 이광수와 나쓰메 소세키에 대한 비교 등은 내달 일본문학기행 전까지는 읽어볼 참이다. 강의에서 종종 다루는 <광장>과 <당신들의 천국>에 대한 해설도 유익한 참고가 될 듯싶다.  

 

 

 

서양사학자로 특히 19세기 영국의 사회사, 노동사 등에 관한 독보적인 성과들을 내놓고 있는 광주대 이영석 교수도 신간을 펴냈다. <삶으로서의 역사>(아카넷, 2017). '나의 서양사 편력기'란 부제가 알려주듯, 역사가로서의 삶과 연구의 궤적을 회고한 책이다(저자가 정년을 1년 앞두고 있다고). 작년 겨울에 나왔던 임지현 교수의 <역사를 어떻게 할 것인가>(소나무, 2016)와 비슷한 성격의 책으로 이해된다.  

 

"이영석의 <삶으로서의 역사>. 어느 서양사학자의 생애사이자 역사가로서의 연구 궤적을 보여주는 지성사다. 자신이 고민하고 방향 전환하고 몰두했던 연구대상과 자신의 탐구의 열망을 젊은 연구자와 일반 독자에게 전달하려는 의도가 진솔하고 촘촘하게 배어 있다. 특히 젊은 시절부터 자신이 처한 시대상황이 어떻게 연구 대상의 선택과 집중에 영향을 미쳤는가를 탐색하는 과정이 치밀하다. 저자는 이 책을 가리켜 메타-역사서술이라 부른다."

 

일단 역사학도나 역사학 전공 지망 학생들이 귀감으로 읽어볼 만하고, 일반 독자도 '한 서양학사학자의 생애사'를 흥미롭게 따라가봄 직하다. 저자의 몇몇 주저들이 어떤 고민의 과정을 거쳐서 나오게 되었는지 살펴보는 것도 역사서 독자들의 공부가 되겠다...

 

17. 12. 3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