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로 58회째를 맞은 한국출판문화상 수상작이 발표되었다. 개인적으로는 3년째 예심과 본심에 심사위원으로 참여했고 이번에도 번역 부분의 심사평을 맡아 적었다. 번역 부분은 올해 공동수상작이 나왔다. 심사평을 옮겨놓는다. 



번역 부문 심사평 "한국사회에서 갖는 현재적 의의에 중점 둬"


올해 번역 부문의 후보작들은 책의 의의나 번역자의 공력을 모두 높이 평가할 만하다는 게 심사위원들의 의견이었다. 그럼에도 두 권의 책이 자연스레 경합작으로 토론의 대상이 되었다. 리처드 호프스태터의 ‘미국의 반지성주의’와 피터 프랭코판의 ‘실크로드 세계사’다. 두 책의 역자가 모두 전문번역가이고 두툼한 분량의 역사서라는 점이 공통적이었다. 번역상인만큼 역자의 번역 경력과 번역 수준에 대해서도 의견이 오갔지만, 토론의 중점은 두 책이 한국사회에서 갖는 현재적 의의에 두어졌다.


‘미국의 반지성주의’는 1950년대에 집필되어 1964년에 퓰리처상을 수상한 미국 현대사 분야의 고전이다. 저자는 유럽의 세속화 물결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복음주의 운동이 반지성주의의 바탕이 되었고, 이것이 20세기 중반에는 반공산주의 열풍(매카시즘)으로도 이어졌다고 본다. 저자의 문제의식을 확장하면 오늘날 트럼프 시대를 낳은 것도 미국의 뿌리 깊은 반지성주의다. 이러한 반지성주의가 비단 미국만의 특징은 아니다. ‘미국의 반지성주의’는 미국식 복음주의의 세례를 강하게 받은 한국사회도 되돌아보게끔 한다. 



‘고대 제국에서 G2 시대까지’라는 부제에 걸맞게 ‘실크로드 세계사’는 고대 종교의 탄생기부터 현대사에 이르기까지 실크로드 지역의 역사를 파노라마처럼 펼쳐놓는다. 그렇다고 특정 지역사의 재조명에 머물지 않는다. ‘새로운 세계사’를 표방하면서 저자는 세계사의 중심을 유럽(서방)에서 동방, 정확하게는 서방과 동방의 중간지점으로 옮겨놓는다. 중심을 그렇게 이동시킬 때 세계사의 전개과정은 새로운 의미를 획득한다. 초점 이동과 각도 변경의 효과이며, 이를 통해서 역사를 바라보는 우리의 안목과 시야도 대폭 확장된다.


‘미국의 반지성주의’와 ‘실크로드 세계사’는 그 풍부한 내용과 함께 오늘을 사는 시민들의 교양서로서 매우 훌륭한 책이라는 것이 심사위원들의 일치된 견해였다. 최종적으로 어떤 책을 수상작으로 선정할 것인가를 두고 의견이 오갔지만, 두 권 모두 수상작으로 손색이 없기에 공동수상작으로 하자는 제안이 쉽게 동의를 얻었다. 두 역자의 노고에 박수를 보낸다.


17. 12. 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