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연준 시인의 시집 <베누스 푸디카>(2017)에서 표제시를 읽는다. 제목의 라틴어 뜻은 각주를 보고 일았는데 비너스상이 취하고 있는 자세, 곧 한손으로는 가슴을, 다른 손으로는 음부를 가리키는 자세를 의미한다. ‘베누스 푸디카‘는 표제시이자 시집의 첫 시이기에 시집 전체의 일러두기이자 길라잡이다.

비너스상의 자세란 말에서 섣부르게 의미를 끌어내자면 박연준의 시세계는 ‘정숙한 노출‘의 세계다. 마음의 누드(보들레르의 ‘벌거벗은 마음‘?)를 보여주지만 한편으로 가릴 곳은 가린다(정숙한 관능!). 가슴과 음부는 빼고 노출하기에 정숙한 노출이다. 시는 두 파트로 나뉘는데, 시 전체에 대한 자세한 분석을 시도하려는 건 아니기에 나는 후반부만 음미해보려 한다. ‘베누스 푸디카‘가 어떤 것인지 알려주는 실마리로서.

어느 여름 옥상에서 어떤 감정을 알게 되었는데
떠난 사람의 길고, 축축한, 잠옷이
펄럭이는 걸 보았지

사랑이 길어져 극단까지 밀고 가다
견디지 못하면
지구 밖으로 밀려나는구나
피가 솟구치다 한꺼번에
증발하는구나

시적 화자가 어느 여름 옥상에서 알게 된 감정과 깨달음을 적고 있는데, 손으로 가린 부분들 때문에, 곧 말하지 않는 부분들 때문에 추정만 가능하다. 아마도 누군가 실연으로 자살했을 거라는 것. 지구밖으로 밀려났다거나 증발했다는 이미지에 상응하는 건 보통 죽음밖에 없다.

그런데 문제는 ‘길고, 축축한, 잠옷‘이 옥상 빨랫줄에 널려 있다는 것. 자살한 사람의 잠옷을 태우지 않고 계속 입고 빨고 한다는것은 가능하지 않은 일이다. 그렇다면 가족 가운데 누군가일 그(녀)는 죽은 사람이 아니라 말 그대로 ‘떠난 사람‘이다. 혹은 사라진(증발한) 사람이다. 하지만 그가 누구인지 시인을 말하지 않고 숨긴다.

지나가는 김에 밀하자면 ˝펄럭이는 걸 보았지˝라는 진술은 부자연스럽다. 길고 축축한 잠옷이 펄럭일 정도라면 바람이 상당히 셌다는 뜻인데 실제를 묘사한 것인지 느낌을 적은 것인지 모호하다. 나머지 세 연.

후에 책상 위에서 하는 몽정이 시,라고 생각했다가
나중엔 그의 얼굴을 감싼 채 그늘로 밀려나는 게
사랑,이라고 믿었지만

일곱살 옥상에서 본 펄럭이는 잠옷만큼은
무엇도 더 슬프진 않았고

그때부터 나는 본격적으로,
모든 면에서 가난해졌다

두 번 반복되는 ‘옥상에서 펄럭이는 잠옷‘ 이미지는 이 시에 한정해서 말하자면 박연준 시의 기원이다. 그건 몽정과 사랑을 능가하는 슬픔을 아직 어린 나이의 화자에게 각인시킨다. 그때 이후로 모든 것이 달라졌다면 기원이라고 부르지 않을 이유도 없다.

‘펄럭이는 잠옷‘만이 남게 된 원인을 ‘나‘는 사랑이 길어져 극단에까지 이르렀기 때문으로 추정한다. 일곱 살짜리의 추정인가에 대해서는 의구심도 있지만 일단 조숙했다고 해두자. 이제 시인에겐 옥상에서 펄럭이던 잠옷이 시다. 박연준의 시는 오래도록 ‘길고, 축축한, 잠옷‘을 환기하고 흉내낼 것이다(길고 축축한 시!). 독자가 따라가볼 수 있는 건 거기까지다. 나는 시인의 가슴과 음모에는 이르지 못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