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녁은 하루의 끝이 아니다‘는 가즈오 이시구로의 <남아있는 나날>(민음사)에 실린 작품해설의 제목이다. 이시구로의 작품을 다수 번역한 김남주 번역가의 해설인데, 작품을 강의한 뒤의 소감으로는 동의하기 어렵다. 역자는 달링턴 홀의 집사로 평생 충직하게 일해온 스티븐스가 마지막에 도달하는 깨달음을 특이하게 과대평가한다.

˝이제 스티븐스는 느리지만 꾸준하게 상호소통의 길로 나아갈 것이라고 독자는 믿고 싶다. 그것은 성공 가능성이 낮은 길이지만, 그 힘든 발걸음을 스티븐스의 장기인 긍지와 성실이 도와줄 것이다. 그런 그에게서 독자는 희망을 본다. 남아있는 시간은 많지 않지만 저녁은 아직 끝이 아니다.˝

역자 개인의 믿음과 희망을 독자 일반의 믿음과 희망으로 지레 넘겨짚는 일에 공감하기 어렵다. 작품에서 결국 문제가 된 것은, 곧 스티븐스의 삶을 무의미하게 만든 것은 ˝장기인 긍지와 성실˝이었다. 사고와 판단을 동반하지 않은 긍지와 성실이 결국 어떻게 삶을 마모시키고 불행하게 만드는가를 보여주는 게 이 소설 아닌가.

작품의 결말에서도 미국인 주인의 농담 취향에 맞추기 위해 농담의 기술 연마에 더 애쓰겠다고 다짐하는 스티븐스의 모습은 작가의 짓궂은 아이러니의 절정으로 읽힐 뿐이다. 번역본의 뒤표지에까지도 ˝젊은 날의 사랑은 지나갔지만 남아있는 날들에도 희망은 있다˝는 문구를 박아넣은 것은 이해하기 어려운 처사다. 작품을 오도하고 있기 때문인데, 최대한 양보하더라도 작품에 대한 별로 공감하기 어려운 견해를 마치 핵심인 양 제시하고 있는 게 된다.

이런 해설이 유감인 것은 자칫 청소년 독자처럼 미숙한 독자에게 일종의 가이드라인이 되기 때문이다. 전혀 다르게 읽힐 수 있는 작품의 해석을 한정하면서 섣부른 견해를 표준적인 해석처럼 제시하는 것은 월권이다. 차라리 여백으로 비워놓는 것만 못하다.

아주 잘 쓰인 문제적인 소설이면서 대단히 ‘정치적인‘ 소설을 ‘저녁은 하루의 끝이 아니다‘ 정도의 메시지를 전하는 소설로 ‘격하‘하는 해설이 마음에 들지 않아 이견과 유감을 적는다. 이시구로는 그보다 훨씬 심오한 소설을 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