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난 김에 적는 페이퍼다. 원래는 나태주 시인의 ‘풀꽃‘을 다룬 페이퍼에서 언급하려 했으나 자리가 나지 않았다. 시의 대중성과 관련하여 적으려던 것인데, 내게는 조병화 시인(1921-2003)이 대중성의 표본이다. 오랜 기간 동안 다작의 시를 통해 다수의 사랑을 받은 시인을 대중 시인의 요건으로 꼽자면 그에 해당한다.

워낙에 많은 시집을 남겼지만 내 기억에 각인된 건 <남남>이다. 20대에 읽었기 때문이리라. <남남>은 연작시집인데 한편만 읽어도 전체가 가늠이 된다. 한 가지 주제를 반복, 변주하고 있어서다(이생진의 <섬>도 그러하군). ‘남남1‘은 이렇게 시작한다.

푸른 바람이고 싶었다
푸른 강이고 싶었다
푸른 초원이고 싶었다
푸른 산맥이고 싶었다
푸른 구름
푸른 하늘
푸른 네 대륙이고 싶었다

내가 좋아하는 대목인데 누구라도 이 호방한 상상력에 끌릴 만하다. 하지만 이런 상상력은 곧 여느 연애시의 상상력으로 수축된다.

남남의 자리
좁히며
가까이
네 살 닿는 곳
따사로이

네 입김이고 싶었다
네 이야기이고 싶었다
네 소망이고 싶었다

네가 깃들이는
마지막
고요한 기도의 둥우리이고 싶었다

˝고요한 기도의 둥우리이고 싶었다˝까지 오게 되면 사실 나 같은 독자는 낭패감을 느낀다. 1연이 아까워서다. 어찌보면 이건 시의 한계라기보다는 유한한 목숨으로 살아가는 인간 실존의 한계일는지도 모른다(서정주의 ‘추천사‘에서도 ˝나는 서으로 가는 달같이는 갈 수가 없다˝는 춘향의 체념이 떠오른다). 그래서 시는 이렇게 주저앉는다.

흙바람 개인 날 없는
어지러운 너와 나의 세월
마른 내 목소리

푸른 네 가슴이고 싶었다
푸른 네 목숨이고 싶었다
너와 날 묻을
푸른 대륙이고 싶었다

이 시는 상상력의 이륙과 착지의 좋은 사례다. 더불어 이런 종류의 착지가 불가피한가 따져보게 한다는 점에서 좋은 공부거리다. 내가 읽고 싶은 건 조병화 시인이 서두만 떼고 쓰지 못한, 혹은 쓰지 않은 다른 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