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옥의 <무진기행>(1964)은 올해의 강의 레퍼토리 가운데 하나다. 주로 이광수의 <무정>(1917)과 대비해서 읽는 것이 강의의 포인트. <무진기행>은 김수용 감독에 의해 영화로도 만들어졌는데 <안개>(1967)가 그것이다. 신성일과 윤정희 주연이고 각본은 김승옥이 직접 맡았다.

나는 이 시나리오가 궁금한데(물론 영화의 대사들을 다 받아적으면 되겠지만) 아쉽게도 시나리오 걸작선에 빠져 있다(검색해보니 <한국시나리오선집>(제4권, 집문당, 1990)에 수록됐었다. 현재는 절판). 영화 <안개>를 보다가 현재 볼 수 있는 게 76분짜리여서(네이버 정보론 그렇고 유튜브에는 80분짜리가 올려져 있다. 다른 정보로는 95분짜리다) 실제로도 그렇게 짧았던 건지, 아니면 삭제된 장면이 있는 건지 궁금해 하다가 페이퍼로도 몇자 적는다. 한편 <무진기행>은 TV문학관으로도 만들어졌다. 원작을 포함해 영화 버전과 드라마 버전에 차이가 있어서 흥미로운 비교거리가 된다.

<무진기행>과 <안개>가 중요한 것은 60년대 중후반 한국사회의 무의식을 들여다보게끔 해주기 때문이다(서로를 속물이라고 비난하면서 현실에 순응하는 속물들이 되어 간다). 그때 키워드는 ‘안개‘다. 60년대 대중가요 가사에 ‘안개‘가 얼마나 자주 등장하는지 조사해봐도 흥미로울 거라는 생각이 든다. 일단 정훈희의 ‘안개‘부터 배호의 ‘안개 낀 장춘단 공원‘까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