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주 읽어볼 만한 강의자료들을 골라서 프린트하는 작업을 열심히 하다가 프린터 위에 놓여 있는 책들 가운데 하나를 빼내 아무 페이지나 펼쳐 읽고 피식 웃었다. ˝태생이 함부로여서 눈은 생각이 많다˝!

점심시간도 되고 했으니 일손을 놓고 시집을 펼쳤다. <눈사람 여관>에 수록된 ‘어떤 아름다움을 건너는 방법‘인데, 1연을 건너뛰면 이렇게 시작한다.

눈이 내릴 것 같다

그 무언가 힘으로도 미치지 못하면서
나를 이토록 춤추게 하는 무언가

내 몸 위에는 한 번도 꽃잎처럼 쌓이지 않는 눈,
바다에도 비벼지지 않는 청어 떼 같은 눈,
태생이 함부로여서 눈은 생각이 많다

잠시, 바다에도 비벼지는 게 뭐가 있을까란 의문과 함께 태생을 문제 삼는 건 명예훼손의 소지가 있다는 생각까지. 한 연 건너뛰고서 세 연을 적으면,

그러니까 세상 모든 그날들을 닮으면서 내리는 눈,
오늘 내린 눈을 두 눈으로 받아 녹이고서야
울먹울먹 피가 돌았다

단 한 번도 순결한 적 없이 마취된 척
한 세계를 가득 채운 냄새나 좇으며
허술한 사랑을 하려는 나여

눈이 저 형국으로 닥쳐오는 것은 내 마음이 아니란다

뭔가 절박한 마음을 표현하려는 듯싶지만 내게는 그냥 허술한 시로 읽힌다(이병률의 시는 어깨에 힘을 줄 수록 허술해지는 듯하다). ˝태생이 함부로여서 눈은 생각이 많다˝, 한 문장 건진 걸로 자리를 정리해야겠다.

눈 얘기는 어제 읽은 시집 <바람의 사생활>(창비)에도 나오는데 눈길이 좀 머물렀던 시라 같이 기억이 났다. ‘아무것도 그 무엇으로도‘가 제목이다.

눈은 내가 사람들에게 함부로 했던 시절 위로 내리는지 모른다

어느 겨울밤처럼 눈도 막막했는지 모른다

눈길이 머문 건 이 첫 두 연이 좋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그 다음부터의 진행은 공감하기 어려웠다. 이제 보니 ˝피를 돌게 하는 것은 오로지 흰 풍경뿐이어서 그토록 창가에 매달렸는지도 모른다˝는 구절은 앞엣시의 ˝오늘 내린 눈을 두 눈으로 받아 녹이고서야/ 울먹울먹 피가 돌았다˝와도 연결되는군. 시인은 눈은 보아야 피가 도는 모양이다(특이한 연결이긴 하다. 이미지 상으로 눈과 피는 보통 대조적이기 때문이다).

지나는 김에 적자면, ‘울먹울먹‘ 피가 돈다는 건 무슨 뜻인가. 피가 비로소 돌게 돼 어깨를 들썩일 정도로 감격한다? 그런 절박함과 ‘허술한 사랑‘은 또 어떻게 연결되는가? 허술한 시는 너무 많은 걸 짜맞추게끔 한다.

다시 ‘아무것도 그 무엇으로도‘로 돌아오면 마지막 연은 이렇다.

손가락을 끊어서 끊어서 으스러뜨려서 내가 알거나 본 모든 배후를 비비고 또 비벼서 아무것도 아니며 그 무엇이 되겠다는 듯 쌓이는 저 눈 풍경 고백 같다, 고백 같다

무슨 조폭 영화에나 나오는 이미지를 눈 풍경과 중첩시키고 있는데 공감도안되고, 납득도 안된다(시인은 비비는 걸 좋아하는 모양이다). 이 시에서도 ˝어느 겨울밤처럼 눈도 막막했는지 모른다˝ 정도를 챙긴다. 생선도 먹기 위해선 버릴 건 버리면서 다듬어야 하듯 시도 그렇다. 그러다 먹을 게 남아나지 않을 때도 있지만...

PS. 눈을 소재로 한 시를 고른 건 첫눈이 올 때가 되어가기 때문이다. 보통 11월 중순에 기온이 떨어지면 오는 것 같으니까(12월인가?). 첫눈이 온다고 하여 있는 일정이 없어지거나 없는 일정이 생기는 건 아니지만 관성처럼 첫눈을 기다린다. 이병률의 첫 시집 <당신은 어딘가로 가려 한다>(문학동네)도 오늘 주문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