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에서 강의를 마치고 올라가는 길이다. 두 주 전보다 가을은 더 완연하여 곧 가을이길 그만두는 일만 남은 듯하다. 한창 떨어지는 낙엽들이(이건 중복표현이군) 다 지고 나면 찬 바람이 불 터이다.

시집을 몇권 가방에 넣어왔는데(솔직히 말하자. 가벼운 게 시집의 매력이라고) 내려가는 동안에는 졸음을 이기지 못해 비몽사몽중에 읽었다. 그래도 시집이었기에 한권은 다 읽을 수 있었는데 이병률의 두번째 시집 <바람의 사생활>(창비)이다. 2006년에 1쇄가 나왔고 내가 읽은 건 올봄에 나온 20쇄다. 스테디셀러 시집.

사실은 전에 읽은 것 같은 기시감을 느꼈다. ‘겹‘ 같은 시가 그러한데 알라딘의 구매내역에 없어서 그냥 또 구입했다(전에 읽었다면 서점에서 구입했는지도. 아마 진득하게 읽지는 않았던 모양이다). 읽고 나서 맘에 드는 네댓 편의 시를 고르니, 해설을 쓴 신형철 평론가와는 공통되는 게 없고 뒤표지에 추천사를 김훈 작가와 오히려 겹치는 게 있었다. 김훈은 ‘별의 각질‘ ‘거인고래‘ ‘겹‘ ‘나비의 겨울‘ ‘외면‘ 같은 시들을 ˝아껴서 읽은 시˝로 꼽았는데 ‘겹‘과 ‘나비의 겨울‘ ‘외면‘은 나도 주저 없이 좋은 시로 치켜세울 수 있다. 덕분에 내가 어떤 시들에 반응하는지도 알게 되었다.

해설에서 신형철은 이병률을 ‘이별의 유전자‘를 가진 시인으로, 헤어짐을 짓는 시인으로 규정하는데, 시인의 사랑이야기나 작별이야기에 나로선 무심한 편이라 별로 끌리지 않았다. 가령 첫 시 ‘봉인된 지도‘에서

지구와 달의 거리가 가까워 달이 커 보였을 때
일년은 오백일이었고 하루는 열여섯 시간이었을 때
당신은 나를 데리러 왔다
신과의 약속을 발설할 것 같지 않던 당신은
지금 그 시절우 아무도 살지 않는다고
백스물 아흔 여든두 살 쭈글쭈글한 얼굴로 돌아가자 말했다
허나 내가 지켜야 할 약속은
검고 고요한 저 소실점을 향해 가는 일

이라고 적어 나가자 신형철은 ˝슬픔에도 스케일이 있다면 이것은 대규모다˝라고 호응한다. 이어서 자세한 시간계산까지 해가며 30억년을 살아온 시적 화자의 ‘지독한 마음‘을 읽어내는데, 설사 그게 말이 된다 하더라도 내게는 그냥 말의 수작으로 보인다. 심오한 수작도 수작은 수작이다.

대신 더 마음이 가는 시는 바로 뒤에 이어지는 ‘나비의 겨울‘ 같은 시다.

누군가 내 집에 다녀갔다
화초에 물이 흥건하고 밥 지우 냄새 생생하다
사흘 동안 동해 태백 갔다가
제천 들러 이틀 더 있다 왔는데
누군가 내 집에 다녀갔다

이런 어법을 구사할 때 이병률은 시인 모드로 진입하는 것 같다. 그닥 심오하지도 않고 대단한 트릭을 구사하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어떤 정서를 불러일으킨다. 시인이 즐겨쓰는 표현으로 감정을 민다(아, 감정을 밀고 당기고 하는 게 시인의 일인 게다!). 마지막 연이다.

누군가 내 집에 불을 놓았다
누군가 내 집에서 불을 끄고 아닌 척 그 자리에 다시 얼음을 놓았다
누군가 빈집에서 머리를 풀어 초를 켜고 문고리에 얼굴을 기댔다

그렇게 부재하는 누군가를 때론 누군지도 모르면서 그리워하고 사랑하고 떠나보내고 하는 일이 시인의 일이자 그의 시다. 그렇지만 내가 좋아하는 시는 막연한 누군가를 혹은 막연하게만 지칭하는 누군가를 호명하고 소환하는 시가 아니라 구체적인 누군가를 지목하고 상기하는 시다. ‘겹‘과 ‘외면‘이 그러하다.

나에겐 쉰이 넘우 형이 하나 있다
그가 사촌인지 육촌인지 혹은 그 이상인지 모른다

태백 어디쯤에서, 봉화 어디쯤에서 돌이갈 차비가 없다며
돈을 부치라고 하면 나에게 돌아오지도 않을 형에게
삼만원도 부치고 오만원도 부친다 (‘겹‘)

받을 돈이 있다는 친구를 따라 기차를 탔다 눈이 내려 철길은 지워지고 없었다

친구가 순댓국집으로 들어간 사이 나는 밖에서 눈을 맞았다 무슨 돈이기에 문산까지 받으러 와야 했냐고 묻는 것도 잊었다 (‘외면‘)

각 시의 서두다. 여기엔 심오함도 없고, 별다른 과장도 특별한 비유도 없다. 그런데 시가 있다(물론 시가 되는 건 인용하지 않은 부분까지 포함해서 이야기가 완성될 때이지만 이런 서두만으로도 충분히 시적이다. 시에 대한 예감을 갖기에 부족하지 않다).

‘외면‘의 상황은 받을 돈을 받으러 시골(문산) 순댓국집까지 친구와 동행해서 갔다가 몸이 불편한 국밥집 부부가 차려준 밥상으로 식사한 다음에 ˝받지 않겠다는 돈을 한사코 식탁 위에 올려놓고˝ 그 집을 나서며 눈발을 맞았다는 것이다. 이 상황을 간결하면서도 절묘하게 장면화하고 있는 게 ‘외면‘이란 시다.

이런 사례를 보건대 이병률은 속마음이나 감정을 끄집어낼 때가 아니라 사람이 부대끼는 상황을 요약하거나 묘사할 때 강점을 보인다. 아니 각자의 취향을 존중하는 차원에서 말하자면 나는 그가 그런 시를 쓸 때 가장 잘 쓴다고 생각한다(˝친구가 순댓국집으로 들어간 사이˝를 시적 순간으로 포착하는 시를 나는 얼마나 사랑하는 것인지!).

신형철도 김훈도 언급하지 않았지만 ‘아무도 모른다‘ 같은 시도 나는 같은 맥락에서 지지한다. 현관문을 잠그는 버릇이 없어서 때로는 치매 노인의 방문을 받기도 한다고 적은 후에 ˝기계 공부를 많이 했다는 이˝에게 ‘하나의 값‘이라는 말을 듣고서 그에 대한 명상을 펼치는 게 시의 정황이다. 마지막 두 연.

세상 모든 의문에 하나의 값이 가능할까 몰라
그 하나의 값을 갖지 못하는 일은 더 쉬울지도 몰라

이를테면 내가 당신의 누구인지 모르는 것과
내가 누구인지조차 모르는 것,
알게 되면 그것을 잃는 일이므로 껴안고 있으면서도 모르는 것

그렇게 내가 누구인지도 모르고 당신이 누구인지도 모르면서 알면 또 잃어버리게 될까봐 단지 껴안고 있을 뿐인 것, 그에 비하면 작별이라든가 헤어짐을 짓는 일 따위는 사소해보인다...

P.S. <바람의 사생활>은 이병률 시인의 두번째 시집이면서 출세작이다. 그보다 앞서 여행산문집 <끌림>(2005)이 나왔는데, 나는 <끌림>의 대중적 인기가 <바람의 사생활>에 대한 독자의 지지를 이끈 것인지, 아니면 그 반대인지 정확히 알지 못하겠다. 그렇지만 <끌림>에는 아직 끌리지 않기에 나는 다음에는 첫 시집 <당신은 어딘가로 가려 한다>(2003)로 눈길을 돌릴 것 같다. 내가 찾는 시는 앞에서 적은 것과 같은 시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