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이듬의 시집을 몇권 갖고 있지만 특별히 떠오르는 시가 없으므로 내게 각별한 시인은 아니다. 다만 열렬 지지자들을 거느린 시인이라는 것 정도가 내가 가진 정보. 그럼에도 <표류하는 흑발>(민음사)이라는 시집 제목이 ‘김이듬스럽다‘고 느꼈다. 그로테스크한 은유가 지배하는 세계?

서문을 대신한 시인의 말은 한 줄이다. ˝바람이 불었고 나는 움직였다˝. 역시나 뭔가를 말하면서 동시에 숨기는 게, 직접 말하기보다 돌려서 말하고 비유적으로 말하고 비틀어서 말하는 게 김이듬의 전략이고 스타일로 보인다. 거꾸로 그의 시를 읽는 건 그가 숨기려고 하거나 돌려 말하고 있는 어떤 진실과 대면하는 것일까?

갈피를 잡히지 않기 위해서 표류하는 말들 위로 떠다니다가 종점처럼 도착하게 되는 곳이 시집의 마지막 시 ‘노량진‘이다. 앞선 시집들에 실린 시 제목들을 다 살펴본 건 아니지만 이런 구체적인 지명은 김이듬 시에서 이례적이지 않을까 싶다(아, 시집에는 ‘연희동‘도 있긴 하다). ‘노량진‘은 마지막 시이면서 이 시집의 고정점(누빔점/정박점)이라 부르고 싶다. 나대로 시집에서 한편만 고른다면 ‘노량진‘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시집 전체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구절도 ‘노량진‘의 한 연이다.

가끔 하늘을 보지만 하늘은 나를 보지 않는다
모양은 달라졌으나 구름에는 언제나 죽은 이들과 함께 흐르려는 취지가 있다

이 대목은 ˝시체 몇 구가 하늘에 떠 있다˝는 첫 연과 호응한다. 구름을 시체에 비유하고 있는데 그렇게 시체들이 떠 있는 하늘 아래서 살아가는 일이 아름답게 그려질 리 만무하다. 시는 노량진 학원가에서 만난 두 사람의 대화 장면을 배경으로 깔고 있는데(이 정도로 선명하게 제시되는 것도 김이듬 시에서는 이례적일 거라고 짐작한다), 아마 시에서 ‘나‘와 ‘너‘는 가족 관계로 추정된다.

너는 내게 화난 사람처럼 보인다고 하고
진짜야
화나지 않았다고 나는 대답한다
너는 쓰러질 것 같아 보이는데 움츠리며 괜찮다고 한다

오답 노트를 잃어버렸어

‘오답노트‘를 잃어버렸다는 말이 나오는 걸 보면 상황은 아주 구체적이다. ‘너‘는 노량진 학원가의 재수생이고 ‘나‘는 염려차 혹은 위문차 찾아온 가족이다. 이어지는 연에서의 진술을 참고하면 ‘‘너‘는 나이가 스물넷이나 되었지만 주변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마지막이라는 다짐으로 입시에 도전하려 한다. ‘나‘는 그런 ‘너‘가 안쓰러우면서도 화가 치민다.

우리의 빰엔 골목길 벽보 뗀 자리처럼 진득한 자국이 있다
이 얼굴이 굳어 인상이 되고 개성이 된다고 해도
나는 이것을 팔아 피와 고기를 만들었다

인상적인 비유인데 아무튼 ‘얼굴‘ 팔아가며 어렵사리 생계를 꾸렸고 가족을 부양했다. 그 다음 연에서 ˝가끔 하늘을 보지만 하늘은 나를 보지 않는다˝는 건, 하늘이 외면한다는 뜻이니 사는 것 같지 않게 살고 있다는 뜻이겠다.

네 방의 불이 꺼지기를 기다리면서
반지하에서 자라나는 기대와 좌절의 밀도를 나는 모른다
동정하지 않는다
어깨에 손을 얹는 일 없다
너는 잘 수 없어도 나는 돌아가 잠들 것이다

정황을 추정해보면 ‘너‘는 사수 혹은 오수생으로 반지하 자취방에서 밤늦도록 몸을 상해 가며 입시공부에 매달려 있고 ‘나‘는 그런 ‘너‘가 안쓰럽고 착잡하다. 이제 마지막 연이다.

외따로 떨어지는 사람을 안도하여
나는 답을 못 썼다
그것이 정련 과정인 줄 알고 나아갔으나
마모 한계선을 넘은 바퀴는 방향을 잃는다
지난 생이 내 마지막 실감이었다는 걸 나만 모르는 것 같다

답을 못 썼다는 건, 문자 메시지 같은 것에 답하지 못했다는 것으로 읽힌다. ‘나‘는 상황에 대해서 자못 비관적인데 ‘나‘의 인내는 임계치에 도달해 있다. ˝지난 생˝이 ˝마지막 실감˝이었다는 얘기는 ‘이번 생‘의 절망감에 대한 다른 표현으로 읽힌다.

시집의 마지막 시이기에 상징성을 갖고 있으면서 내막을 좀 드러낸 시라 시상의 추이를 따라왔는데 나로선 늦깎이 재수생 가족이 노량진에서 고생하고 있는 상황이 ˝시체 몇 구가 하늘에 떠 있다˝는 인식과 과연 알맞게 조응하고 있느냐는 의심이 든다. 많이 봐주어도 과장법 아닌가(김이듬 시는 과장법의 시인가?).

˝가끔 하늘을 보지만 하늘은 나를 보지 않는다˝고 진술할 만한 내역을 시인은 충분히 보여준 것인가? 그것이 누적된 것이라면 모를까 ‘노량진‘에서는 찾기 어럽다. ‘노량진‘이 이 시집에서 가장 읽을 만하다고(납득할 만하다고) 생각하면서도 전적으로 공감하지는 못하는 이유다. 표류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