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송은 안 되지만 연휴라고 해서 주문마저 안 되는 건 아니다. 필요한 책이나 관심도서는 그때그때 주문하는데 다음주에 배송될 책 가운데 고대하는 것은 뤼디거 자프란스키의 평전 <괴테, 예술작품 같은 삶>(휴북스)이다.

지난봄에 독문학 강의를 하면서 영역본은 이미 구해놓고 번역본도 나오면 좋겠다고 바라던 책인데 예상보다 빨리 나왔다. 독문학 전공자들의 공역이어서 가능했던 듯(역자가 10여 명이다).

부제처럼 붙은 ‘예술작품 같은 삶‘은 ‘예술작품으로서 삶‘이라고도 옮겨진다. 알렉산더 네하마스의 저명한 니체 연구서의 제목이 <니체: 문학으로서 삶>(연암서가)이기도 하다. 니체가 ‘예술작품(문학)으로서의 삶‘의 모델로 생각했던 인물이 괴테이기도 하다. 괴테 자신이 전인(whole man)의 모델이기도 하고.

옛날 초등학교 본관 건물에 교육목표로 붙어 있던 ‘전인교육‘의 모델이 괴테라는 걸 알게 된 건 훨씬 나중의 일이다. 동아시아에서라면 공자 이래로 ‘성인‘이나 ‘군자‘가 인간이 도달해야 할 이념형이었다면 괴테 시대 이후 서양에서는 ‘전인‘이 된다. 이 ‘전인‘은 독일 교양주의 세례를 받은 마르크스에게도 영향을 미쳐서 그가 도래할 공산주의 사회의 새로운 인간을 상상할 때도 ‘전인‘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았다.

그런 의미에서 괴테 평전 읽기는 한 거인의 평전 읽기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그것은 근대인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성취가 무엇인가를 가늠해보는 일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계급적인 의미를 부여하자면 그것은 교양 있는 시민계급의 이상형을 재평가하는 일이다.

‘예술작품 같은 삶‘, 혹은 ‘전인적 삶‘은 우리 시대(포스트휴먼 시대?)에도 여전히 유효한 모델이 될 수 있는지, 여전히 우리는 괴테 패러다임 안에 있는지 이제 검토해볼 수 있겠다. <괴테, 예술같은 삶>을 읽으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