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주전 마종기 시인의 신작시집 <우리는 서로 부르고 있는 것일까>(문학과지성사, 2006)가 출간됐었다. 시집의 펴낸 날을 보니 '2006년 8월 31일'로 돼 있다('그 여름의 끝'에 나온 시집이다!). 시집을 손에 들기 전에 먼저 두 편의 시를 한 지인의 블로그에서 읽었는데, 타이핑된 시는 아래와 같다.

아주 작은 날벌레가 어디서 날아와 읽던 책장에 앉
았다. 나는 책을 잽싸게 닫아 날벌레를 죽였다. 읽기
를 계속하려고 다시 책을 여니 벌레는 죽어서 검은
점 한 개가 되어 있었다.뜯어낼 건더기도 없었다. 날
벌레의 날개도 부서지고 눈알도 다리도 심장도 다 함
께 뭉개져서 작은 점 하나가 되어 있었다.
책장을 더 이상 넘기지 못하고 으스러진 벌레의 본
래 모습을 그려본다. 이 날벌레도 이름은 있었겠지.
하루살이보다 더 짧은 이름. 입김이 시신을 다칠까 봐
조심스레 한마디 했다. 미안하다. 나에게 이 날벌레는
너무 작고 나는 조팝나무 꽃보다 너무 작다. 작고 큰
것은 어차피 비교하기 나름이다. 미안하다. ......
세상에는 팔팔하던 몸이 죽어 겨우 검은 점 하나로
남는 생명이 많다. 나도 그럴까. 그러니 함부로 슬퍼
하지도 울지도 말 것. 눈물 한 방울에 시신이 완전히
씻길 수도 있다. 한 슬픈 감정이 남을 씻어 없애기도
한다. 저 함부로 내뱉는 슬픔의 잔인성, 저 함부로 내
뱉는 외로움의 음흉스러움, 저 함부로 내뱉는.......

내게 인상적이었던 시 '검은 점의 장례'의 전문인데, 처음에 이 시가 인상적이었던 건 물론 내용도 좋긴 하지만, 특유의 행갈이가 눈에 띄었기 때문이었다. 가령, '앉았다'를 1행과 2행에 걸쳐서 '앉/ 았다'라고 행갈이를 하는 게 시인의 생물학적 나이와 무관한(시인은 1939년생이다) '문학적 젊음'의 표식으로 받아들여졌고, 그러한 행갈이가 이 시에서 그려지고 있는 삶과 죽음의 팽팽한 긴장을 더욱 고조시켜주는 것으로 읽었다. 뜯어낼 건더기도 없이 부서지고 뭉개진 날벌레 한마리의 모습을 '읽기/ 를' '날/ 벌레' '함/ 께'라는 식의 행갈이가 도상적으로 보여준다고 보았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그건 첫인상이었다.
그런 게 아닐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 건 며칠이 지난 다음이었다. 시인의 자의적인 행가름이 아니라 그냥 타이핑의 문제가 아닐까란 생각이 든 것이다. 그 즈음에 구한 시집에서 확인해보니까 역시나 원시는 따로 행가름이 돼 있지 않은, 다만 3개 연으로만 구획된 산문시였다. 아마도 타이핑된 시 또한 양쪽 맞춤을 했더라면 애초에 내가 가졌던 오해/오독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가벼운 해프닝이었던 셈인데, 한편으론 그런 '전위적인' 행가름의 가능성이 무산된 듯해 다소 아쉬웠다. 산문과 달리 시에서 의미를 발생/증폭시킬 수 있는 유력한 방식이 바로 행가름/연가름인데(가령 통사적인 한 문장이 두 연에 걸쳐 이어지는 앙장브망 같은 시행을 요즘 찾아보기 힘들다), 최근의 시들에서는 너무 무시되는 듯하기도 하고.
칼리그람시(그림시)였다면, "날벌레의 날개도 부서지고 눈알도 다리도 심장도 다 함께 뭉개져서 작은 점 하나가 되어 있었다"란 내용을 크기도 제각각인 산개된 글자들이 널브러져 있으면서 하나의 점으로 응축되어 가는 과정을 표현했을는지도 모른다. 그러한 시각적 효과를 배제한다면 시는 시각에 호소하는 것이 아니라 청각에 호소하게 된다. 낭송용 잠언들. 말 그대로, 그건 검은 점으로 수축된 '글자들의 장례'이기도 하다. 청각영상으로서의 시니피앙(기표)에 자신의 자리를 내준 말 그대로의 글자들(letters). 나는 그 글자들이 좀더 활개치는 시들이 보고 싶다...

06. 10. 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