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랫동안 버벅거리던 PC의 상태가 더 나빠져 오늘은 부팅도 안 된다. 당장 강의자료를 만들고 프린트하는 게 불편해졌는데 이미 오래전부터 예상했던 상황이라 놀랍지는 않지만 불편한 건 불편한 거다. 사소한 일에는 낙관하는 습성대로 개의치 않고 PC로 적으려던 것을 폰으로 적는다. 영화책들 얘기.

문학비평가이자 영화비평가인 강유정의 신작 에세이가 나왔다. <죽음은 예술이 된다>(북바이북, 2017). ‘문학과 영화에서 죽음을 사유하는 방식‘이 부제다. 죽음도 꽤 큰 주제라 관련된 문학작품과 영화만 하더라도 부지기수이니 이 주제의 에세이도 얼마든지 가능할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짤막한 영화평을 읽는 기분으로 뒤적였는데 이번주 강의에서 다룰 <컨택트> 얘기를 가장 먼저 읽었다. 이미 지난달에 한번 테드 창의 원작과 함께 강의한 영화여서 내겐 친숙하다. 저자의 견해도 나와 크게 다를 건 없었다.

강유정의 에세이와 함께 읽으려고 하는 다른 책들은 조금 무겁다. 김소연의 <사랑의 내막>(자음과모음, 2017)은 김기덕 영화론이다. ‘라캉의 눈으로 김기덕을 보다‘가 부제. 영화와 정신분석에 관한 얼마간의 예비지식을 요구하는 책이다. 나로선 몇편의 김기덕론을 쓴 적이 있어서(<로쟈의 인문학 서재>에 수록) 더 관심을 갖게 된다.

김소연과 마찬가지로 영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이창우의 <그로테스크 예찬>(그린비, 2017)은 저자의 학위논문을 단행본으로 펴낸 것이다. ‘한국영화를 통해 본 사회변동의 문화사‘가 부제. ‘그로테스크‘로 분류될 수 있는 영화들을 검토대상으로 삼아 1960년 이후 한국현대사를 훑는다. 김기영의 ‘하녀‘부터 김기덕의 ‘시간‘까지 주요 작품 목록이 낯설지 않아서 저자의 논지를 흥미롭게 따라가볼 수 있다.

나란히 적었지만 한권은 가볍고, 다른 두권은 좀 무겁다. 취향에 따라 나눠서 읽어도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