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한 제목의 외서가 꽤 흥미로운 타이틀의 번역서로 탈바꿈한 책, 알렉산더 폰 쇤부르크의 <세계사라는 참을 수 없는 농담>(추수밭, 2016)이다. 원제를 보니 '세계사'를 뜻하는 독어 단어에 영어로 'to go'를 붙여 놓았다. 영어로 옮기면, 'World history to go'가 되는 건가? 이런 식의 조어가 독어로는 어떤 의미를 갖는지 모르겠다. 가야 할 세계사? 세계사로 가는 길? '세계사라는 참을 수 없는 농담'이 얼마나 재치있는 번안인지 알 수 있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1238/34/cover150/k822531587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688/65/cover150/8998045206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4640/27/cover150/8998045605_1.jpg)
저자는 독일의 칼럼니스트로 국내에는 <폰 쇤부르크 씨의 우아하게 가난해지는 법>, <폰 쇤부르크 씨의 쓸데없는 것들의 사전> 등이 먼저 소개되었다. 제목에 '폰 쇤부르크'란 이름을 넣은 게 효과적인지는 잘 모르겠다. 그 정도로 국내 독자들에게 인지도 높은 것은 아닌 듯하기에(게다가 입에 익지도 않다). 독일에서 어느 정도 유명한 저자인지는 모르겠지만 책은 한 글쟁이의 '내 맘대로 세계사' 정도라고 할까.
"해고되었던 언론인, 베스트셀러 저자, 미학적 가난을 실천하는 일상의 철학자, 아마추어 역사가라는 다양한 정체성으로 불리지만 그 모두를 한 마디로 아울러 소개하자면 '지식인' 정도가 될 것이다. 저자는 지식인으로서 시리아 난민과 트럼프 시대의 개막, 게놈 프로젝트와 인공지능 등의 이슈들을 역사에 비추어 바라보며 습관처럼 반복하지만 그다지 나아지지 않는 것 같은 인류사의 고민들을 이 책에서 하나하나 되짚어보고자 했다."
부담 없이 읽을 수 있는 세계사 책이면서 저자의 독특한 안목과 재담이 독서의 포인트가 될 듯하다. '짧지만 우아하게 46억 년을 말하는 법'이란 부제에서 알 수 있듯이, 범위로 보자면 '빅히스토리'에 해당한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1148/8/cover150/k782531980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1042/16/cover150/8962621835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0805/25/cover150/k452530450_1.jpg)
빅히스토리 관련서는 꾸준히 나오고 있는 편이다(베스트셀러인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의 영향도 있을지 모른다). 최근에 나온 책으로는 이언 크로프턴 등의 <빅뱅에서 인류의 미래까지 빅히스토리>(생각정거장, 2017), 국내 학자로 빅히스토리 전도사인 김서형 박사의 <김서형의 빅히스토리 Fe연대기>(동아시아, 2017), 그리고 짐 배것의 <기원의 탐구>(반니, 2017) 등이 있다. 'Fe연대기'에서 Fe는 '철'을 가리킨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0303/10/cover150/k872536389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1407/1/cover150/k862531706_1.jpg)
중고생도 읽을 만한 세계사로는 김용남의 <대셰 세계사>(로고폴리스, 2017)이 있다. 두 권으로 되어 있는데, 제목은 '대화로 풀고 세기로 엮은 세계사'란 뜻이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0929/43/cover150/8964359348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0929/45/cover150/8964359356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0929/60/cover150/8964359364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0929/46/cover150/8964359372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1357/12/cover150/8964359674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1357/18/cover150/8964359682_1.jpg)
그리고 찾아보니 학생용으로는 '교양으로 읽는 용선생 세계사'가 가장 많이 읽히는 모양이다. 어떤 종류이건, 그리고 어떤 난이도이건 간에 세계사 책이 많이 읽히는 건 긍정적이다. 단계를 밟다 보면 고급 수준의 책에도 흥미를 갖게 될 테니까.
그런 면에서 폰 쇤부르크의 책도 기꺼이 손에 들 만하다. '참을 수 없는 농담'이라도 세계사에 대한 관심을 유인할 수 있다면 역할은 충분하다...
17. 07.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