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저자'를 고른다. 이번 주에도 국내 저자 3인을 골랐다. 먼저 사회학자 김동춘 교수의 사회비평집으로 <사회학자 시대에 응답하다>(돌베개, 2017)가 출간되었다. '시대에 응답하고자 한 30년의 글쓰기'를 정리한 선집이다.

 

"한국을 대표하는 중견 사회학자이자, 시민운동가로 활동해온 실천적 지식인 김동춘은 1980년대 후반 비판적 소장 사회학자로 지식계에 등장한 이래, 한국 사회를 성찰하는 묵직한 연구서와 비평을 지속적으로 발표했으며, ‘전쟁정치’ ‘기업사회’ 등의 독자적 개념으로 한국 사회의 모순과 문제를 해명하고자 했다. 이 책은 당대 한국 사회의 과제에 직면하여 책임 있는 지식인으로서 시대에 응답하고자 1990년부터 2017년까지 매해 발표한 시평 성격의 글을 가려 뽑은 책이다."

말미에는 후배 학자 윤여일과의 대담도 실려 있어서 '동춘사회학'의 문제의식과 여정도 일별하게 해준다.

 

 

기자 겸 편집자 생활을 거쳐서 현재 미스터리 전문지 <미스테리아> 편집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김용언도 <범죄소설>(강, 2012) 이후 두번째 단독 저서로 <문학소녀>(반비, 2017)를 펴냈다. '전혜린, 그리고 읽고 쓰는 여자들을 위한 변호'가 부제다.

"저자는 “소녀 문단”, “여류라는 프레미엄”, “지나친 섬세 감각이라는 한계성” 등 이 시기 여성 문인들을 끊임없이 평가하고 범주화한 남성 지식인들의 언어를 자세히 살펴본다. 한국의 근현대를 관통하는 과거를 추적함으로써, 왜 소녀들은 전혜린의 글을 통해 여성의 시선과 목소리에 입문하지만 그것을 둘러싼 경멸과 비웃음을 이기지 못하고 ‘여류’를 벗어나려 애쓰게 되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얼마 전에 전혜린의 삶과 문학에 대해 강의한 적이 있어서 저자의 전혜린론 내지 '문학소녀'론에 관심을 갖게 된다. 기회가 닿으면 '전혜린 효과'에 대해 글을 써봐야겠다.

 

 

'씨네21' 편집장 출신으로 한국영상자료원장과 서울문화재단 대표를 지낸 조선희 작가도 신작 소설을 펴냈다. <세 여자>(한겨레출판, 2017). 장편소설로는 <열정과 불안>(생각의나무, 2002) 이후 꽤 오랜만인 듯싶다.

"이 소설은 한 장의 사진에서 시작됐다. 1920년대로 추정되는 식민지 조선, 청계천 개울물에서 단발을 한 세 여자가 물놀이를 하는 사진. 작가가 이 소설을 처음 구상한 것은 사진의 주인공 가운데 한 명인 허정숙을 발견한 힘이 컸다. 허정숙에 흥미를 가지고 들여다보다가 '신여성이자 독립운동가'라는 새로운 인물 군상이 눈에 들어오게 된 것이다. 박헌영, 임원근, 김단야… 각각의 무게감은 다를지언정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과 한국 공산주의운동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이름들이다. 그런데, 이들의 동지이자 파트너였던 주세죽, 허정숙, 고명자 이 여성들은 왜 한 번도 제대로 조명되지 못했을까. 이 소설은 우리가 몰랐던 세 명의 여성 혁명가, 그들의 존재를 담담히 보여주고 있다."

 

소개대로 공식적인 역사에서 별로 주목받지 못했던 '세 여자'의 삶이 작가적 상상력이라는 조명 하에 어떻게 되살아날지 궁금하다...

 

17. 07. 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