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주에 나올 예정이지만 '이주의 과학서'로 다이앤 애커먼의 <휴먼 에이지>(문학동네, 2017)를 고른다. '인간 시대'라고도 번역할 수 있지만 지질학 개념으로 '인류세'라고 옮긴다. 부제는 '호모사피엔스사피엔스의 지구사용법'. 인류세를 다룬 책이어서 주목하게 되지만, 저자도 신뢰할 만하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0822/96/cover150/8954645208_2.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3625/89/cover150/0393240746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334/27/cover150/0393351645_2.jpg)
"자연과 과학의 언어를 시의 언어로 옮기는 작가, ‘경계 없는 글쓰기’의 대가 다이앤 애커먼의 과학논픽션이 번역 출간되었다. 이 책은 영어권 지역에서 출간되자마자, 미래 사회를 내다보는 참신하고 희망적인 관점으로 화제를 불러일으키며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저자는 하나의 생물종에 불과한 인류가 지구 전체를 쥐락펴락하게 된 유례없는 현상을 새삼스러운 눈으로 바라보며, 인간의 재주가 펼쳐지는 기술의 현장들을 한 편의 다큐멘터리영화처럼 생생하게 보여준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5284/92/cover150/8983717084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3200/19/cover150/8994015590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0/39/cover150/8972882364_1.jpg)
<감각의 박물학>(작가정신, 2004)으로 기억되는 애커먼은 이후에도 <사랑의 백가지 이름>(뮤진트리, 2013), <새벽의 인문학>(반비, 2015) 등이 소개된 바 있다. 그래도 가장 관심이 가는 타이틀은 <휴먼 에이지>다. <총, 균, 쇠>의 저자 재러드 다이아몬드도 “끝없이 샘솟는 통찰과 불굴의 낙천성을 지닌 일급 작가의 더없이 사랑스러운 책”이라고 극찬"했다니 자연스레 기대치가 올라간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0044/18/cover150/8934977841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8449/76/cover150/1910701882_2.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686/87/cover150/s702536164_1.jpg)
마찬가지로 다음주에 출간될 유발 하라리의 <호모 데우스>와 나란히 읽어보면 좋겠다. 하라리의 책들에 대해서는 강의도 계획중이다...
17. 05. 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