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가 없는 연휴의 이점은 평소 벼르던 책들을 읽을 수 있다는 점이다. 물론 강의와 관련한 책들도 많이 밀려 있지만, 연휴를 핑계로 강의와 무관한 책들에 대해서도 한껏 욕심을 내게 된다(읽다 보면 유관해지기도 한다). 최근에 나온 책들 가운데서는 리처드 호프스태터의 <미국의 반지성주의>(교유서가, 2017)와 자크 파월의 <좋은 전쟁이라는 신화>(오월의봄, 2017) 등이 거기에 속하는데, 둘다 미국 현대사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는 연결되기도 한다. 



거기에 덧붙여 욕심을 내보는 것이 남회근의 맹자 강의다. 얼마전에 <맹자>의 '진심' 장을 풀이한 <맹자와 진심>(부키, 2017)이 출간되었는데, 맹자 강의로는 <맹자와 공손추>(부키, 2015), <맹자와 양혜왕>(부키, 2016)에 이어서 세번째로 나온 것이다. 



맹자에 대한 강의로는 도올의 <맹자 사람의 길>(통나무, 2012)과 푸페이롱의 <맹자 교양강의>(돌베개, 2010) 등을 갖고 있지만 진득하게 읽어볼 짬이 없었다. 한데 남회근의 강의가 좋은 자극과 길잡이가 될 것 같다는 느낌이 들어서 일단 <맹자와 진심>은 손 가까이에 놓았다(도올의 맹자 강의는 책을 어디에 두었는지 찾아봐야 한다). 



그와 함께 <도올의 로마서 강해>(통나무, 2017)도 침대맡에 놓았다. <기독교성서의 이해>(통나무, 2007)와 <요한복음 강해>(통나무, 2007)도 예전에 손에 들었지만 다른 책들에 떠밀려 미처 다 읽지 못한 기억이 있다. 그게 벌써 10년 전이다. 그렇게 떠밀리기만 하다가는 결국 죽도 밥도 아니게 된다. <도올의 로마서 강해>를 그래서 마지노선으로 삼기로 했다. 칼 바르트의 <로마서 강해>(한들출판사, 1997)까지도 욕심을 내볼까 했지만 다행스럽게도(?) 품절된 상태다. 나로선 <도올의 로마서 강해> 정도에서 입막음할까 한다. 


연휴도 어느덧 반넘게 흘려보냈는데, 강의책을 포함하여 이것저것 손에 든 10여 권의 책을 무난하게 마칠 수 있을지 염려스럽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서인으로서는 오랜만에 호사를 부리고 있어서 흡족하다. 독서를 위해서라면 매년 한달 정도는 안식월이 주어져야 한다고 한밤중에 혼자서 우겨본다... 


17. 05. 0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