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 행사가 없는 어린이날이지만 '어린이날 특집' 페이퍼를 적는다. 특집이라고 적으니 좀 거창한데, 그냥 어린이날이 빌미가 된 페이퍼다. 두 권의 평전을 나란히 적은 것은 대조가 되기 때문이다. 2007년 5월에 타계해 올해 10주기를 맞은 금아 피천득 선생과 덴마크의 철학자 키르케고르가 연결되는 지점은 없다('키르케고르'는 표기가 고정되지 않은 가장 악명 높은 철학자다. '키에르케고르'와 '키에르케고어' 등이 난립하고 있는데, 여기서는 평전 제목을 따른다). 정정호의 <피천득 평전>(시와진실, 2017)과 임춘갑 교수의 <키르케고르 평전>(다산글방, 2007)이 두 권의 평전이다(이 역시 연결고리가 없는데, 나란히 독서거리가 되는 바람에 같이 묶이게 되었다).
어떤 대조인가. "나이를 잃은 영원한 소년"으로 불리는 피천득 문학의 원형이 '어린이'인데 반해서 키르케고르는 "나는 일찍이 어린아이인 때가 없었다"고 탄식한, "태어날 때부터 늙은이었던 사람"이었다. 먼저, <피천득 평전>의 소개다.
"타계 10년 만에 나온, 피천득 첫 평전. 피천득은 다난한 우리 근.현대를 온몸으로 겪으며 한국문학사에서 서정문학의 획을 그은 수필가이자 시인이다. 구십 평생을 살면서 하고 싶은 말이 많았을 테지만, 그의 작품은 시와 수필이 각각 100편 안팎으로 살다간 세월에 비해 적은 편이다. 게다가 내용도 짧고 단순해서 많은 이의 공감을 불러일으키기도 하지만 쉽게 읽힌다는 오해를 사기도 한다. 타계 10주년에 출간하는 이 평전은 금아의 삶과 문학을 따르고 싶어하는 제자 정정호 교수가 집필했다. 정정호 교수는 독자들이 피천득에게 좀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구성과 전략을 달리했다. 피천득이 생전에 칭찬했던 새뮤얼 존슨의 <영국시인전> 구성을 따르되, 순서를 바꿔 Ⅰ부는 생애, Ⅱ부는 문학, Ⅲ부는 사상으로 구성했다."
알려진 대로 피천득 선생은 이양하 선생과 함께 영문학자이면서 대표적인 수필가다. 보통 국어 교과서에 실린 '인연'의 저자로 기억되는데, 고등학생 때 범우사판으로 두 분의 수필집을 읽은 기억이 난다(분량도 얇고 가격도 저렴한 편이어서 이 수필집 시리즈를 줄곧 가방에 넣고 다닌 기억이 있다. 물론 지금은 표지가 바뀌었다).
문학평론집에서 간간이 피천득론을 읽은 적이 있지만(평전에 추천사를 붙인 김우창 선생의 피천득론도 포함해서) 이만한 규모의 평전은 처음 출간되었기에 뜻깊다고 생각한다. 어린시절까지는 아니더라도, 나도 고등학생 시절로 다시 돌아가보는 시간 여행의 기회이기도 하다.
<키르케고르 평전>은 루터의 종교개혁에 관심을 두다가 그 연장선상에서 다시금 생각이 미치는 바람에 몇 권의 관련서와 함께 구입한 책이다. 키르케고르의 주저들은 오래 전에 모아두었는데, 따져 보니 열독하지는 않았다(독서는 때가 있는 모양으로 책을 사들이는 때가 있는 반면에 비로소 읽게 되는 때가 있다).
"키르케고르의 생애와 사상을 그린 평전. 키르케고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기본적인 입문서로 평가받는다. 키르케고르가 남긴 저서를 이해하기에 앞서 그의 고뇌에 찬 생애를 먼저 알아둘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키르케고르의 생애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큰 사건들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다. 월터 라우리는 이 책을 쓰면서 자신이 쓴 또다른 키르케고르 평전 보다 부피가 4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고 밝히고 있지만 키르케고르의 글을 상당히 많이 인용하면서, 당대 정황과의 관계를 서술했기 때문에 키르케고르가 갖는 의미를 되새기는데 모자람이 없는 책이다. 과거 종로서적에서 출간되었던 것을 다시 편집하고 장정을 바꾸어 출간한 책이다."
바로 그 종로서적판도 나는 구입했더랬지만 완독하진 않았다가 이번에 다시 구입한 것. 저자 월터 아우리는 20세기 전반기에 영어권 키르케고르 번역과 수용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전문 학자다. <키르케고르>란 방대한 저작을 1938년에 펴내고, 그 축약판으로 다시 펴낸 게 <케르케고르평전>(1942)이다. 한국어판은 1959년에 임춘갑 교수의 번역으로 처음 나왔다가 여러 차례 재간돼 지금에 이르렀으니 상당한 수명을 자랑한다.
영어판도 마찬가지인데, 2013년판도 아직 살아있는 책이므로 평전으로서의 권위를 인정할 수 있다. 라우리의 번역으로는 <공포와 전율>, <죽음에 이르는 병>, <그리스도교의 훈련> 등이 아직도 읽히는 영역본이다. 한국어 선집판으로는 아래의 판본들로 나와 있는 책.
수집가의 입장에서 적자면, 같은 역자의 선집이건만 중간에 출판사가 바뀌는 바람에(시리즈 이름도 '케르케고르 선집'에서 '쇠얀 키에르케고어 시리즈'로 바뀌었다) 낭패를 본 대표적인 선집이다(같은 책을 고스란히 두번 사야 하는지?). 아무튼 돌이켜보니, 그렇게 낭패스러울 때쯤 키르케고르에 대한 관심이 식은 듯하다. 그렇게 꺼졌던 불에 잔불이 남았던지 다시금 타오르기 시작했다. 코펜하겐에도 가보고 싶다는 열망에까지 이를지는 두고볼 일이다...
17. 05. 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