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기를 다룬 책은 드물지 않은데, 막상 <광기와 문명>(뿌리와이파리, 2017)이란 제목으로 나온 책은 이번에 나온 앤드루 스컬의 책 하나다. 원제는 <문명 속의 광기>. 제목만 보자면 푸코의 <광기의 역사>(나남, 2003)을 떠올리게 하는데, 차이점은 이렇다고 한다. "미셸 푸코가 중세에서 19세기까지의 서양을 연구주제로 삼아 <광기의 역사>를 썼다면, 스컬은 기원전부터 21세기까지의 그리스-로마, 중국, 남아시아, 아랍, 유럽, 미국을 연구 주제로 삼았다. 광기를 바라보는 시각에서도, 푸코가 '철학'의 측면에서 광기를 탐구했다면, 스컬은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광기를 탐구한다." 



스컬의 책은 <현대 정신의학 잔혹사>(모티브북, 2007)가 먼저 나온 바 있다. 저자명이 '앤드류 스컬'이었다. '아주 짧은 입문서' 시리즈의 <광기>도 집필한 것으로 보아 광기에 관해서라면 영어권의 권위자라고 하겠다. 

 


<광기와 문명>은 번역서가 나오자 마자 원서도 주문했는데, 아직 배송받지 못했다. <광기>와 <히스테리아>도 일단은 장바구니에 추가했다. 추천사들을 보니 스컬은 이 주제의 권위자이면서 동시에 가장 쉽게 글을 쓰기로 정평이 나 있다. 어떤 수준으로 써야 그런 평을 얻을 수 있는지도 눈여겨 볼 만하다...


17. 05. 02.



P.S. 광기를 주제로 한 책들 가운데 몇 권 추가하자면, 츠바이크의 <광기와 우연의 역사>(휴머니스트, 2004)는 잘 알려진 스테디셀러이고, 김남시 교수의 <광기, 예술, 글쓰기>(자음과모음, 2016)는 광기와 광인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며 지젝과 마르쿠스 가브리엘의 <신화, 광기 그리고 웃음>(인간사랑, 2011)은 독일 관념론의 세 철학자를 재해석한다. 러시아 문화사에 나타난 광기를 주제로 한 원서를 어제 주문했는데, 잔뜩 기다려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