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서야 알게 된 사실인데, 조르주 바타유의 포르노그래피로 잘 알려진 소설들이 번역돼 나왔다. <눈 이야기>와 <하늘의 푸른빛>(비채, 2017). 이전에 나온 <눈 이야기>(푸른숲)에는 두 작품이 합본돼 있었는데, 이번에는 나뉘어 출간되었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0645/67/cover150/8934976047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0645/22/cover150/8934976055_1.jpg)
소개에 따르면 <눈 이야기>는 "프랑스 68혁명 이후 현대 지성사에 강력한 영향을 끼친 조르주 바타유. 그의 첫 문학적 시도이자 현대 문학사에서 가장 강렬한 에로티슴 소설"이며, <하늘의 푸른빛>은 "첫 소설 <눈 이야기>로 약간의 명성을 얻은 바타유가 그로부터 칠 년 후인 1935년에 탈고한 장편소설"로 "불길한 나치즘에 흔들리고 전쟁에 위협받는 당시 유럽을 배경으로, 작가의 페르소나이자 주인공인 ‘트로프만’의 폭력과 죽음, 섹스로 점철된 광기어린 일상을 담고 있다." 그래서 하나의 세트로도 읽히는 작품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0403/pimg_7537481531625565.jpg)
내가 갖고 있는 건 <눈 이야기>(푸른숲, 1990) 초판이다(당시는 '바타유'가 아니라 '바타이유'로 표기되었고, 나도 '바타이유'가 더 친숙하다). 헌책방에서는 2만원을 호가하는군. 이번에 다시 출간되었으니 이 가격은 조정되어야겠다. 아무튼 그런 점에서도 의미가 있는 재출간이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3594/71/cover150/899420735x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6382/25/cover150/8931009828_2.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456/73/cover150/8937416247_1.jpg)
바타유의 책은 <불가능>을 비롯해서 재간된 <종교이론>과 <에로티즘> 등이 번역돼 있는 상태다. 하지만 <종교이론>과 <에로티즘>은 상당히 불량한 번역본이어서 새 번역본이 나오지 않는다면 별로 의미가 없다. 곁에 있지만 아직도 먼 그대, 라고 할까.
![](http://image.aladin.co.kr/product/106/17/cover150/0872862097_2.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08/97/cover150/0942299094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690/52/cover150/0141195568_1.jpg)
한때 바타유의 책을 탐독해서 그의 책을 모으고 영어로 나온 해설서도 통독한 기억이 있는데, 어즈버 20년 전이다. 다시 읽는 느낌이 어떨지 궁금하다...
17. 04. 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