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저자'를 고른다. 뇌과학자, 역사학자, 여성학자, 3인이다. 먼저 뇌과학자로서는 가장 널리 알려진 카이스트 김대식 교수가 신간 두 권을 한꺼번에 펴냈다. <어떻게 질문할 것인가>(민음사, 2017)과 <인간을 읽어내는 과학>(21세기북스, 2017)이다.



<어떻게 질문할 것인가>는 "<빅 퀘스천>으로 독서계에 신선한 바람을 일으켰던 저자에게 지적 상상력을 제공한 책들을 향한 오마주", 곧 독서록이고, <인간을 읽어내는 과학>은 뇌과학에 관한 입문적 강의를 단행본으로 엮은 것이다.'1.4킬로그램 뇌에 새겨진 당신의 이야기'가 부제. 

"2015년 건명원(建明苑)에서 진행한 다섯 차례의 과학 강의를 묶은 이번 책은 카이스트 김대식 교수가 뇌과학이라는 프리즘으로 인류의 오늘을 진단하고 통찰한 결과다. 호모 데카당스(homo decadence)와 호모 스피리투알리스(homo spiritualis), 즉 미추와 선악이 동시에 존재하는 모순적인 존재로서의 인간이 어떻게 가능한 것인지, 인공지능의 시대를 맞아 인간은 어떤 삶을 살게 될 것인지, 과연 인류에게 불멸의 삶은 가능할 것인지, 인류의 여정이 뇌과학적 해석 안에서 새로운 감탄으로 펼쳐진다. 뇌과학을 통해 인간 존재의 실체를 인식하고 폭넓은 경험으로 삶의 해상도를 높일 때 비로소 ‘나’는 그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게 된다."

'교양 뇌과학'의 범위와 수준을 가늠하게 해줄 듯하다. 



일본 고문헌 연구자로 전쟁사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업적을 쌓아가고 있는 김시덕 교수도 신간을 펴냈다. <전쟁의 문헌학>(열린책들, 2017). "30년 넘는 전통과 권위를 자랑하는 '일본 고전 문학 학술상'을 외국인 최초로 수상해 화제가 된 전작에 이은 두 번째 연구서로 문헌 연구의 시기가 15세기에서 근대기까지, 그 범위가 동북아 전체와 유럽에까지 확장되고 있음이 주목된다." 소개에서 '전작'이라고 지칭된 책은 <일본의 대외전쟁>(열린책들, 2016)이다. 



저자의 주 전공분야는 임지왜란 관련 일본 문헌 연구인데, 사실 따지고 전쟁의 양 당사국뿐 아니라 명나라 사정까지 포함한 총체적, 입체적 시각이 동원되어야 전쟁의 실상에 우리가 더 근접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한다. 그런 관점에서 보자면 결정판 <임진왜란사> 내지 <조일전쟁사>는 아직 미래의 책이다. 



출판계의 페미니즘 붐과 함께 어느 때보다 자주 접하게 되는 이름이 여성학자 정희진이다. 다수의 공저에, 그리고 추천사에서 이름을 발견할 수 있는데, 단독 저작으로 <낯선 시선>(교양인, 2017)을 이번에 펴냈다. 칼럼집으로 '메타젠더로 본 세상'이 부제다. 

"<낯선 시선>은 여성학자 정희진이 이명박-박근혜 정권 시기에 일어난, 우리 시대를 특징짓는 주된 사건들을 ‘여성’의 눈으로 재해석하여 쓴 글들을 고르고 모아 엮은 책이다. 부정의에 맞서는 사회적 약자의 유일한 자원으로서 ‘여성주의’의 전복적 힘을 보여준다. 정희진은 강자가 약자를 통제하기 위해 쓰는 이중 잣대, 남성 언어의 이중 메시지에 주목한다. 이명박-박근혜 정권의 속성을 그만의 시각에서 해석하고, 이 비참하고도 모욕적인 사회를 ‘여성’의 언어로 새롭게 규정한다."


한편 페미니즘 관련서는 이번 주에도 강세인데, 두 권의 책은 재간본이다. 벨 훅스의 <모두를 위한 페미니즘>(문학동네, 2017)은 <행복한 페미니즘>(큰나, 2002)이 15년만에 재번돼 나온 것이고, 조앤 스콧의 <페미니즘 위대한 역사>(앨피, 2017)은 <페미니즘의 위대한 역설>(앨피, 2006)이 11년만에 제목과 표지갈이를 해서 나온 것이다. 국내서로는 <페미니즘, 리더십을 디자인하다>(동녘, 2017)가 신간이다. 요즘 페미니즘 문학을 강의하다 보니 페미니즘 관련서도 방바닥에 점점 쌓이고 있다...


17. 03. 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