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마음이 지옥일 때>(해냄, 2017)라는 제목 때문에(누구나 가끔씩은 지옥을 경험하기에) 손에 들었다가, 손에 들면서 저자의 직함이 '심리기획자'라는 사실에서 적당한 심리치료나 위로의 말을 기대함직한데, 뜻밖에도 시 읽기다. 제목을 마저 완성하자면 '내 마음이 지옥일 때 읽는 시' 정도. 뜻밖이어서 가벼운 배신감마저 드는데, '마음 지옥 탈출'에 역시 시만한 게 없다는 건가, 란 생각도 든다. 뭔가 특별한 비방을 기대한 게 무리였는지도.
![](http://image.aladin.co.kr/product/10363/77/cover150/8965745888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478/80/cover150/899791815x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165/6/cover150/8965743095_1.jpg)
"오랫동안 수만 편의 시를 읽어온 저자는 특히 '내마음보고서' '내마음워크숍' '힐링Talk' 등 다양한 치유 프로그램들을 개발하고 진행하는 과정에서 시야말로 공감과 통찰, 눈물과 아름다움으로 아픈 마음을 다독이는 '부작용 없는 치유제'임을 확신했다. 한 편의 시가 한 끼의 밥보다 더 든든할 수 있음을 강조하는 저자는 애독하는 수천 편의 시 중 82편을 고르고, 각 시마다 공감하고 힘이 되는 메시지를 듬뿍 곁들였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0278/58/cover150/k202536184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0278/65/cover150/k452536184_1.jpg)
시 읽기가 근본적인 처방이 될는지는 모르겠지만, 양보해도 기분전환의 의미는 충분히 갖겠다. 최근에 관심을 갖게 된 시집들은 '윤동주가 사랑한 시인' 시리즈인데, '윤동주 100년 포럼'이라는 곳에서 번역을 맡아 세 권을 펴냈다. <프란시스 잠 시집><장 콕토 시집><폴 발레리 시집> 등이다. 리스트가 얼마나 더 이어지는지 모르겠는데, 얼핏 드는 생각으론 릴케도 포함되어야 하지 않나 싶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0346/78/cover150/8937475189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9524/5/cover150/8937475197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9648/30/cover150/8937475200_1.jpg)
민음사 세계시인선 리뉴얼판으로 나온 이브 본푸아와 기욤 아폴리네르, 그리고 정지용도 따로 욕심을 낼 만한 시집들(지용과 백석은 윤동주도 감명 깊게 읽었을 터이다). 민음 세계시인선을 보니까 떠오르는 건 솔출판사의 세계시인선인데, 이건 벌써 오래 전에 절판되었다. 비센테 알레익산드레와 프랑시스 퐁주의 시집이 기억에 남는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2/19/cover150/8981330239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4/53/cover150/8981333742_1.jpg)
그래, 생각해보니 퐁주의 사물시들('사물의 편')을 읽고 즐거워했던 기억이 떠오른다. 그게 내게는 '지옥 탈출법'이었나 보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39/13/cover150/8971843659_2.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31/34/cover150/0252073622_1.jpg)
그런 용도로는 (내게는 시로 읽히는) 니진스키의 일기도 강력하다. 다시 찾아보니 이 역시 절판됐군. 니진스키 영어판 평전도 그 사이에 나왔는데, 조만간 구해봐야겠다...
17. 03. 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