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출간된 <원본 백석 시집>(깊은샘, 2006) 관련 인터뷰 기사가 눈에 띄기에 옮겨온다. 이숭원 교수의 노고가 담겨 있는 책인데, 백석의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애독자들에게도 반가운 소식임에 틀림없다. 1912년생인 백석은 지난 1963년쯤은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얼마전에 1995년까지 생존했던 것으로 확인돼 '충격'과 안타까움을 던져준 바 있다(그는 '동시대' 시인이었던 것이다!). 아무려나 그의 시를 읽는 건 그의 생애만큼이나 아련하다.

교수신문(06. 07. 17) 변형 없이 복원한 원형…“체험의 진실이 주는 감동”
-이숭원 서울여대 교수(51세, 국문학·사진)가 3년 전 <원본 정지용 시집>에 이어 지난 6월 <원본 백석 시집>을 펴냈다. 이 교수가 원본 시집을 연이어 두 차례 낸 것은 “석·박사 재학생들이 자료를 찾아다니는 번거로움을 덜고, 이후 뜻풀이를 하는 데 들이는 수고로움을 덜어주기 위한 기본 텍스트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쉽게 심층 연구로 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현대어로 표기할 수 없는 글자들, 행갈이가 애매모호한 부분들을 임의로 바꾸지 않고 백석이 쓴 그대로 전달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독자들이 ‘연구자 맘대로’ 재해석되었거나 변형되지 않은 시의 ‘원형’을 즐길 수 있는 것.




-그러나 <원본 백석 시집>을 내는 일은 ‘정지용’ 때보다 힘들었다. 시의 대부분이 2권 시집에 수록돼 있는 정지용과는 달리 백석의 경우 그의 시집 <사슴>에 수록된 시는 33편이지만 그 외 신문과 잡지 등에 실린 시들이 70편을 넘는다. 따라서 여러 신문과 잡지에 흩어져 있는 원문들을 일일이 찾아다녀야 한 것. 이 작업은 제자인 이지나 박사가 했는데, 이렇게 자료를 모으는 데만 6개월이 넘게 소요됐다.
-원본 인쇄의 경우 편집도 힘들다. 시가 그림과 같이 게재된 경우, 그림이 글자를 잡아 먹어버려 그림을 지우고, 다른 시에 나오는 같은 글자들을 오려서 붙여 넣는 등의 작업을 했다. 매체가 다양해 너무 작거나 크게 인쇄되어 있는 활자의 경우 확대 및 축소를 통해 평균치로 만들어 비슷한 느낌으로 읽을 수 있도록 했다. 출판사의 편집자가 겪는 고생이긴 하지만 그만큼 ‘원본 시집 작업’이 어려움을 보여준다.
-이 교수는 백석 시의 백미로 ‘南新義州 柳洞 朴時逢方’을 꼽는다. 이 시에는 “체험의 진실이 주는 감동”이 있다고 한다(*'흰 바람벽이 있어'와 함께 많은 독자들이 백석의 절창으로 꼽는 시이다). 몰락한 외톨이가 된 처지에서 과거를 되돌아보고 현재의 쓸쓸함과 절망적 상황을 반추하면서 힘겨운 세상살이의 아픔을 극복해 나가는 과정이 담겨있는데 “백석 개인의 경험인 것 같다”며 진실해서 감동을 준다는 것. 이런 시들을 1940년대, 50년년에 찍힌 인쇄자를 통해 옛 냄새를 맡으며 감상할 수 있다.
-원전 백석 시집에는 이 교수만의 해석도 있다. 시 ‘쓸쓸한 길’의 ‘거적장사’는 ‘거적을 팔러 다니는 장사’가 아니라 ‘죽은 사람을 거적으로 둘러메고 지내는 장사’로 해석된다. 이렇게 해석하면 시에 나오는 산가마귀의 울음과 서러운 땅버들의 소복 차림이 쉽게 이해가 간다. 이런 식의 다년간의 연구가 바탕이 된 주석들로 인해 백석 시의 원형을 느낌과 동시에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마련된 것.
-이 교수는 이번에 <백석 시의 심층적 탐구>라는 연구서와 원본 시집을 한꺼번에 냈다. 두 권을 한 번에 냄에 따라 주변에서 “와”하는 탄성을 보내는 반면, 내심 아쉬움도 있다. <정지용 원본 시집>은 그 이전에 <정지용 시의 심층적 탐구>를 먼저 내고 이후 학계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해 보다 세밀하게 주석을 달 수 있었지만, 이번에는 그 과정이 생략된 것. 그래도 이 교수는 “1차적인 텍스트의 세밀한 분석과 이해보다는, 라깡이나 데리다 같은 외국 이론부터 끌어와 적용하는 요즘 연구자들이 텍스트의 정치한 해석이 중요함을 깨닫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는 바람을 표했다.




-“이번 작업을 통해 정지용과 백석을 졸업한 느낌이다”라고 말한 이 교수는 이제 김소월부터 정지용 백석까지, 정말 좋은 시, 계속해서 읽힐 만한 문학적 감동을 주는 시들을 모아 왜 좋은 지 뭐가 좋은 지를 해설하는 해설서를 내기 위한 작업을 준비하고 있다. “백석도 정지용도 모든 시가 다 좋지는 않다”며 “건질 것은 7~8편 아니냐”라고 말한 황동규 시인의 말이 발판이 됐다. 이 교수의 작업을 통해 숨겨진 좋은 시를 맛보는 한편, 너무 익숙해 그 맛과 멋을 잊었던 시들의 새로운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기회를 얻을 수 있길 기대한다.(박수진 기자)
06. 07.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