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는 모르겠지만 알라딘의 시스템이 정상이 아니어서 편리하게 검색하고 맘놓고 상품(책) 넣기를 하면서 페이퍼를 쓰는 일이 안 된다(최신간에 대한 글을 쓰기 어렵다는 얘기다). 그런 사정에 적응하는 일이, 불편을 감수하는 일이 마뜩찮지만 항의는 평일로 미루고 '이주의 저자'를 고른다. 국내 저자 3인이다.
푸른들녘에서 청소년 독자를 겨냥한 인문교양서를 연거푸 내놓고 있는(지난해에 루쉰과 돈키호테에 대한 책을 새로 단장해서 펴냈다) 박홍규 교수가 이번에는 성인 독자들도 고려한 마키아벨리 안내서를 펴냈다. <왜 다시 마키아벨리인가>(을유문화사, 2017). '보다 나은 세상을 위한 로마사 이야기'가 부제다.
"니콜로 마키아벨리의 대표작인 <리비우스 강연>을 르네상스 전문가이자 법학자인 박홍규 교수가 21세기 한국 상황에 맞춰 쉽게 풀어 낸 책이 나왔다. <군주론>이 원수정에 대한 이야기라면, <리비우스 강연>은 로마공화정 전반을 다룬, 그야말로 마키아벨리 사상의 진면목을 볼 수 있는 고전이라 할 수 있다."
<리비우스 강연>은 국내에 <로마사론>, <로마사 논고>, <로마사 이야야기> 등으로 번역된 책을 가리킨다. 원제는 <티투스 리비우스의 첫 10권에 대한 강연>인지라 저자는 이에 충실하고자 <리비우스 강연>이라고 책명을 적는다. 번역본을 인용해도 좋겠지만 저자는 직접 번역해서 인용하고 있다. <군주론>의 인용도 마찬가지다(번거로운 번역 저작권 문제도 고려한 때문이지 싶다). 어떤 맥락으로 읽을 수 있을까. 물론 지금 우리의 현실을 비춰보기 위함이다.
"마키아벨리는 16세기 분열한 이탈리아(피렌체 공화국)를 위해 고대 로마 역사가인 리비우스의 <도시가 세워지고부터(로마사)>를 통해 민주공화국을 이야기하고자 <리비우스 강연>을 썼다. 대통령 탄핵 심판을 앞두고 혼란스러운 시국에서 박홍규 교수는 마키아벨리의 대표작을 쉽게 풀어 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인류의 고전을 통해 고대 로마 시대로부터 르네상스 시대를 거쳐 오늘날 한국 사회로 이어지는, 보다 나은 세상을 위한 방향과 길이 무엇인지까지 모색했다."
거기에 덧붙이자면 이미 다수의 해설서가 나와 있는 <군주론> 대신 <리비우스 강연>을 다룬다는 점이 반갑다. 마키아벨리에 대한 심화된 이해를 원하는 독자라면 일독해봄직하다.
현대 중국 연구자이자 마르크스주의 연구자인 백승욱 교수도 오랜만에 단독저작을 펴냈다(저자는 조반니 아리기의 <장기 20세기> 외 다수의 번역서도 갖고 있다). 이번에는 '중국책'이 아니라 '마르크스책'이다. <생각하는 마르크스>(북꼼마, 2017). '마르크스책'으로는 <자본주의 역사강의>(그린비, 2006)를 잇는 것으로도 볼 수 있겠다. 책의 부제는 '무엇이 아니라 어떻게'다. 마르크스가 '무엇을 사유했는가'보다 '어떻게 사유했는가'에 초점을 맞추겠다는 것이다.
"책은 그를 위해 입론인 ‘마르크스와 더불어 생각하기’ 장에서 ‘왜 마르크스식으로 사유하는 것이 중요한지’를 이야기한다. 그다음 ‘마르크스는 어떻게 자신의 사유 세계를 수립했는가’ 장에서는 <자본>에 이르기 이전의 저작들을 통해 인식론적 단절의 함의를 살핀다. 그리고 ‘<자본>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장은 <자본>에 입문할 때 도움이 되는 상세한 설계도이다."
역시 마르크스나 <자본>에 대한 해설서가 많이 나와 있지만 이 책 나름의 용도로 충분히 찾을 수 있겠다.
저자가 서관모 교수가 공역한 알튀세르의 <철학과 마르크스주의>(중원문화, 2017)도 최근에 재간되었는데(이 재간본 시리즈는 값이 비싸다는 게 흠이다) 최근에 다시 나온 <마르크스를 위하여>(후마니타스, 2017)와 같이 참고할 만하다. 영어권에서는 알튀세르의 책들이 오랜만에 다시 나오고 있는 듯 보인다.
끝으로 유홍준 교수의 신간은 군더더기 소개가 필요 없을 듯하다. <안목>(눌와, 2017)은 <국보 순례>(눌와, 2011), <명작 순례>(눌와, 2013)와 함께 '유홍준의 미를 보는 눈' 시리즈 완결판이다.
"(저자는) 뛰어난 안목으로 미술품을 수집하고 미담을 남겨 우리 문화사에도 기여한 역대 수장가들의 이야기로 안목의 중요함을 재차 강조하였다. 또한 독자들이 자신만의 미를 보는 눈을 키우는 데 보탬이 되도록 변월룡.박수근.이중섭.오윤.신영복.김환기를 비롯한 우리 근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들의 예술세계를 넓고 깊은 시각에서 바라본 유홍준 교수의 회고전 순례기와 평론을 더했다."
17. 02. 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