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도서관에서 펴내는 소식지 '오눌의 도서관'(249호)에 실은 짧은 서평을 옮겨놓는다(문장을 일부 수정했다). 후보 도서 가운데 하나를 골라야 했는데, 내가 망설임 없이 고른 건 후스의 <인생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유노북스, 2016)였다. 연휴도 끝난 참이라 비로소 새해가 시작되는 느낌인데, 새해맞이용으로 적합한 책이기도 하다.
오늘의도서관(17년 1.2월호) 후스에게서 인생을 배우다
‘새해맞이’용 책이 따로 있다면 인생론류의 책이 강력한 후보다. ‘어떻게 살 것인가’ 같은 제목의 책들이 그에 해당한다. 후스의 <인생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도 분류하자면 인생론류이다. 누구나 이런 책의 저자가 될 수 있지만, 모든 저자의 책이 독서 거리가 되는 것은 아니다. 독자가 인생론 강의를 들어줄 만한 인격과 학식이 저자에게 요구된다. 그런 면에서 보면 저자 후스는 자격을 충족하고도 남는다. 나부터도 ‘후스’라는 저자의 이름값 때문에 책을 손에 들었으니까.
후스는 누구인가. 천두슈와 함께 중국 신문화운동을 주도했으며 중국의 근대화와 현대화를 이끈 사상적 지도자이자 연설가. 1938년부터 1942년까지는 중국의 주미대사를 역임했고 1945년부터 1949년까지는 베이징대학교 총장을 지냈다. 그를 반동 부르주아로 맹렬히 비난했던 마오쩌둥조차도 언젠가는 그의 명예가 회복될 것이라고 예언하기도 했던, 20세기 중국의 대표적 사상가이자 학자가 후스이다. 중국의 국보급 학자였던 지셴린이 ‘영원한 나의 스승’으로 꼽고 있는 인물이 또한 후스다.
후스의 인생론에 해당하는 글들을 모은 이 책은 후스의 사상을 어떻게 살 것인가(삶을 대하는 자세), 어떻게 배울 것인가(공부를 대하는 자세), 어떻게 관계할 것인가(세상을 대하는 자세), 세 가지 주제로 엮었다. 책장을 펼치면 ‘인생의 의의란 무엇인가’라는 첫 장에서부터 대가의 풍모가 드러난다. ‘인생의 의의’라는, 허다한 인생론 책들이 힘들여 탐색하고 있는 물음을 후스는 한마디로 정리한다. “애초에 문제가 될 수도 없는 문제”라는 것이다. 왜인가? “인생의 의의는 우리 각자 스스로 찾아내고 만들어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후스는 이렇게 말한다. “인간의 생명 자체는 생물학적인 사실일 뿐, 딱히 의의를 둘 것이 뭐가 있겠습니까? 사람이 태어나든 고양이가 태어나든 개가 태어나든 다를 게 뭐가 있을까요? 인생의 의의는 어떻게 태어나느냐에 있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어떻게 사느냐에 있습니다.” 지당한 견해인가? 하지만 자고로 인류의 오랜 스승들은 특별히 어려운 말을 하지 않았다. 자명한 진리를 직시하게 했을 뿐이다. 아들에게 준 당부도 눈길을 끈다. “나는 네가 당당한 사람이 되기를 바랄 뿐 나의 효자가 될 필요는 없다.” 자식을 먹이고 가르친 건 사람의 도리일 뿐 특별한 은혜를 베푼 것이 아니므로 이를 되갚을 필요도 없다는 것이다. 어려운 가르침은 아니지만 여전히 후스에게 배운다.
17. 0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