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새책'에 이어서 '사라진 책들'에 들어갈 이야기도 적는다. 체호프의 단편과 희곡에 대해 강의하면서 번역본 현황에 대해 다시 짚어보았는데, 희곡은 전집을 포함해 여러 종아 아직 '살아있지만'(미완성 희곡 <플라토노프>가 아직 번역되지 않았다), 단편 선집은 조금 마땅찮다. 한권에 대표작들을 다 모으기가 어렵기 때문에 네댓 권짜리 선집도 유용한데, 그에 해당하는 범우사판 선집이 품절 모드로 들어갔기 때문이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58/84/cover150/8908043497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8/84/cover150/8908043500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8/84/cover150/8908043519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8/84/cover150/8908043527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8/84/cover150/8908043535_1.jpg)
2005년에 출간된 이 선집은 5권으로 구성돼 있는데, 1-4권이 중단편이고, 마지막 5권의 희곡선이다. 그런데 이 가운데 3권 <초원>과 5권 <희곡선>을 제외하고는 모두 품절 상태다. 사실 하드카바에다가 희곡도 세 작품만 수록하고 있어서 강의 활용도는 떨어지는 편이었다. 보급판(소프트카바)으로 다시 나오길 기대했지만 현재로선 무망한 듯싶다. 초기 단편들을 주로 모은1 ,2권이 다소 아쉽게 여겨진다. 작가 지망생들에게도 좋은 견본이 되는 작품들이기에 그러하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9817/48/cover150/8936464531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634/19/cover150/8901105802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6187/65/cover150/8901203588_1.jpg)
체호프 단편 강의에서는 주로 <귀여운 여인>(시공사, 2013)을 쓰는데, 여기에는 <개를 데리고 다니는 여인>이 빠져 있다. 언젠가 적었듯이 체호프 단편집을 고르는 기준은 <개를 데리고 다니는 여인>을 포함하고 있느냐 여부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3268/53/cover150/8952770463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38/90/cover150/893746070x_3.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87/33/cover150/8932909202_1.jpg)
세계문학전집 가운데서는 얼마전에 새로 나온 <지루한 이야기>(창비, 2016)와 <사랑에 관하여>(펭귄클래식, 2010/2015), <개를 데리고 다니는 부인>(열린책들, 2009)에는 포함돼 있지만 시공사판 <귀여운 여인>과 민음사판 <체호프 단편선>(민음사, 2002) 등에는 빠져 있다(심지어 5권짜리 범우사판 선집에도 빠져 있다). 그밖에 <6호실>이나 <초원>, <결투> 같은 중편들이 들어 있는지 여부도 작품집을 고르는 기준이 될 수 있다. 현대문학의 '세계문학 단편선' 시리즈에 체호프가 들어 있는지 모르겠지만 (모파상과 짝을 맞추기 위해서라도) 나오면 좋겠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784/0/cover150/8932403856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827/78/cover150/8952760077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89/4/cover150/8932909350_1.jpg)
체호프 희곡에 대해선 <체호프 희곡선>(을유문화사, 2012)이 4대 장막극을 포함하고 있어서 표준적이다. 확장판을 원한다면 <체호프 희곡 전집>(시공사, 2010)을 고를 수 있다. <벚꽃동산>(열린책들, 2009)도 활용할 수 있지만 <세 자매>가 빠져 있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24/95/cover150/8989075114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24/72/cover150/8989075165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37/26/cover150/8989075645_1.jpg)
또 다른 희곡 전집으로는 연극과인간판(2000)이 있지만, 3권짜리여서 활용도는 떨어진다. 연극학도라면 시공사판과 비교해가며 읽어봐도 좋겠다. 두 전집이 모두 요즘 무대에 자주 올려지는 <플라토노프>를 빼놓고 있다는 게 아쉽다...
17. 0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