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간된 책 두 종을 '오래된 새책'으로 같이 묶는다. 아이작(아이자크) 도이처의 '트로츠키 평전 3부작'과 마르크스의 '프랑스혁명 3부작'이다.






트로츠키 평전 3부작은 <무장한 예언자><비무장의 예언자><추방된 예언자>로 구성돼 있는데 애초에는 필맥(2005-2007)에 출간되었다가 이번에 출판사가 시대의창으로 바뀌었다.
"레닌과 더불어 러시아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레온 트로츠키의 생애와 사상을 꼼꼼하게 기록한 책이다. 트로츠키 전기 중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아이작 도이처의 '트로츠키 평전 3부작'인 <무장한 예언자(The Prophet Armed)> <비무장의 예언자(The Prophet Unarmed)> <추방당한 예언자(The Prophet Outcast)>를 완역한 책이다."
나는 필맥판으로 갖고 있기 때문에 특별히 개역된 내용이 없다면 새로 구입할 필요가 없지만, 절판됐던 책이 다시 나와서 다행스럽게 생각한다. 올해가 러시아혁명 100주년이라는 점을 고려한 출간이겠다.



트로츠키의 전기로는 자서전 <나의 생애>(범우사, 2001)과 로버트 서비스의 <트로츠키>(교양인, 2014)가 참고할 만한 책인데, 분량으로는 도이처의 가장 방대하다(서비스의 책도 970쪽이 넘는다). 절판된 책 가운데는 트로츠키의 <러시아혁명사>(풀무질, 2003-2004)가 있는데, 이 또한 올해 다시 나올 수도 있지 않을까 싶다(바람이 그렇다).



마르크스의 <프랑스 혁명사 3부작>(소나무, 2017)은 1990판의 개정판이니 무려 27년만이다. <1848년에서 1850년까지 프랑스에서의 계급투쟁><루이 보나파르트 브뤼메르 18일><프랑스 내전>를 묶은 것인데, 몇달 전에 중고판을 구입하려다 근간 소식이 있어서 기다리던 참이었다(생각보다 일찍 나와서 반갑다).
"카를 마르크스가 역사적 유물론을 정식화한 후, 그의 역사관을 현실 정세 분석에 적용한 3편의 저작인 <프랑스 혁명사 3부작>은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의 백미로 꼽힌다. 역사 해석과 현실 참여 사이의 변증법적 긴장관계가 어떻게 상호 침투할 수 있는가를 예시한 마르크스 실천론의 정수이기도 하다."
프랑스 혁명사 3부작에 다시금/새삼 관심을 갖게 된 건 지난해 프랑스문학을 강의하면서부터인데, 19세기 대표작가들의 대표작을 일별하고 나니 프랑스혁명사와 문학사를 긴밀히 연관지어 봐야겠다는 판단이 생겼다. 널리 읽히는 문학사로 미셸 레몽의 <프랑스 현대소설사>(현대문학, 2007)도 원제는 '대혁명 이후의 프랑스 소설'이다.






그런 맥락에서 관심을 갖고 있는 시리즈가 주명철 교수의 <프랑스혁명사>(10부작)인데, 현재 네 권이 출간된 상태다(저자의 <오늘 만나는 프랑스혁명>과 <계몽과 쾌락>도 프랑스혁명 관련서로 읽을 수 있다). 봄에 5권이 나오는 듯싶은데, 순조롭게 완결되기를 기대한다...
17. 0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