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강의를 끝으로 한주의 강의 일정이 마무리되었고, 더 나아가 올해의 강의 일정이 모두 종료되었다. 주말에 써야 하는 원고가 있긴 하지만 일단은 한숨 돌리면서 '이주의 책'을 골라놓는다. 타이틀북은 영국의 인류학자이자 아나키스트 활동가 데이비드 그레이버의 <가능성들>(그린비, 2016)이다. 두툼한 책이고 '위계·반란·욕망에 관한 에세이'가 부제다. 마침 주문한 원서가 오늘 도착해서 나름으론 독서 준비를 마쳤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9872/31/cover150/8976827988_1.jpg)
새해 첫주의 독서거리로 고른 것은 제목의 상징성도 고려해서다. 바야흐로 우리 앞에 어떤 가능성들이 놓여 있고 또 그것을 실현해야 할 책무가 있는지 생각해볼 만하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9861/12/cover150/8964372662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9959/83/cover150/8966550711_1.jpg)
두번재 책은 박상규, 박준영의 <지연된 정의>(후마니타스, 2016)다. "파산 변호사 박준영과 백수 기자 박상규의 이야기를 묶"은 책으로 "민주화 이후 30여 년 가까이 되건만, 사회적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약자들을 공권력과 법이 어떻게 다루어 왔는지를, 이 책은 아프게 돌아보게 한다."
세번째 책은 하승우, 백무산 등의 <11월>(삶창, 2017)이다. "2016년 11월에 벌어진 시민 항쟁을 담은" 따끈한 책이다. "시간을 11월로 한정한 것은, 시민의 항쟁이 11월에 시작된 점도 있지만 훗날 역사는 2016년 11월을 기억하게 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11월의 항쟁은 대통령의 무책임과 무능이 기폭제가 되었지만 사실은 그동안 대한민국 사회에 누적된 온갖 부조리와 타락이 원인이었다. 따라서 11월 항쟁은 다른 각도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을 담았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9893/79/cover150/893231831x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9917/97/cover150/k022536867_1.jpg)
네번째 책은 김민하의 <냉소사회>(현암사, 2016)다. "매체 비평지 <미디어스> 기자이자 사회평론가인 김민하가 우리 일상부터 정치까지 우리 사회의 다양한 문제들을 ‘냉소주의’란 관점에서 분석한 책이다."
그리고 마지막 책은 올 한 해를 정리하면서 동시에 2017년의 향방을 점쳐본다는 점에서 <2017 한국의 논점>(북바이북, 2016)을 고른다. '키워드로 읽는 한국의 쟁점 42'이 부제. "개헌, 저출산 고령화, 경제민주주의 등 굵직한 주제 10가지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부문의 논점을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진단했다. 또 ‘책 속의 책’에서는 기본소득 문제를 다각도로 살펴보았다." 새해 첫주의 읽을 거리로 적격이다...
![](https://image.aladin.co.kr/product/9959/83/coversum/8966550711_1.jpg) | 11월-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하승우 외 지음 / 삶창(삶이보이는창) / 2017년 1월
16,000원 → 14,400원(10%할인) / 마일리지 800원(5% 적립)
*지금 주문하면 "2월 12일 출고" 예상(출고후 1~2일 이내 수령)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