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주의 책'이 어느새 '내년의 책'이 되게 생겼는데, 가장 고대하는 책의 하나는 루이 알튀세르의 <마르크스를 위하여>(후마니타스, 2017)다. 기억을 좀 더듬자면 사회주의 몰락 이후 90년대 중반 알튀세르 붐이 일었을 때 알튀세르의 대표작으로 많이 회자되었고 <맑스를 위하여>(백의, 1997)라고 번역돼 나온 바 있다(다른 판본도 있었던가?). 러시아문학 전공자들 사이에서도 대학원 세미나가 꾸려졌을 정도로 당시엔 알튀세르가 대세였다(어즈버, 지난 시간들이다).
나도 관심은 가졌지만 당시엔 혼자 읽어내기 어렵기도 했고 진득하게 공부하기엔 다른 할일이 많았다. 나는 묵직한 주저 대신에 <아미엥에서의 주장>(솔출판사, 1991)과 2차 문헌을 읽는 걸로 알튀세르 읽기를 대체했다. 그렇게 묻어둔 책인데, 20년만에 새 번역본이 나온다니 감회가 없지 않다. 역자는 알튀세르 전문가로 이름을 날렸던 서관모 교수다.
'역사가 반복되는가'는 따로 따져보아야 할 어려운 문제이지만 간혹은 반복된다는 느낌을 강하게 받는다. '오래된 새책'들이 불가불 불러들이는 환각이다. <마르크스를 위하여>와 함께, 어떤 독자는 20년 전 시간으로 되돌아갈 수도 있는 것.
아직 20년을 살아보지 못한 독자라면 마르크스 입문용으로 좀더 쉽게 나온 책을 손에 들어도 좋겠다. <마르크스는 처음입니다만>(나름북스, 2016)부터 <꼼당선언>(푸른나무, 2016), <수취인: 자본주의, 마르크스가 보낸 편지>(풀빛, 2016) 등이 모두 그런 용도로 쓸모가 있는 책들이다.
정색하고 알튀세르를 읽으려는 독자라면 그레고리 엘리어트의 <알튀세르: 이론의 우회>(새길, 2012), 국내 연구자들이 쓴 <알튀세르 효과>(그린비, 2011)와 <라캉 또는 알튀세르>(난장, 2016)까지 참고할 수 있겠다. 어차피 그러자면 <마르크스를 위하여>를 건너뛸 수 없겠군...
16. 1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