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신문(06. 05. 27)에 게재된 김학이 교수(동아대)의 문화비평을 옮겨온다. 타이틀이 '자학은 자만보다 진실되다'이고, '과거의 청산과 이해?'과 부제이다. 지젝의 논의를 끌어오고 있기에 '로쟈의 지젝' 카테고리로 분류해 넣었다. 강조와 군말은 나의 것이다.

-과거청산에 대한 논의가 되풀이되고 있다. 얼마 전 교수신문에서도 학진지원사업에 대한 평가와 맞물려 이 문제가 논의된 바 있다. 과거를 대면하는 방식이 거듭해서 논해지고 있는 것은 그 자체로 우리 사회의 건강성을 입증해주는 반가운 현상이다. 물론 역사가들의 의견은 엇갈린다. 어느 역사가는 정부가 지원하는 과거청산 작업에 정치성이 개입되는 것을 경계하고, 다른 역사가는 과거의 사실에 대한 엄밀한 확증과 이에 따른 상징 차원의 조치들을 주장하기도 하며, 또 다른 역사가는 과거 사실의 규명이 과거에 대한 내면적 성찰로 이어지기를 기대하기도 한다. 흥미로운 사실은 과거청산의 방법에서는 의견이 서로 다른 역사가들이, 과거청산의 목표에서는 똑같은 입장을 취한다는 점이다. 상처의 치유와 사회적 화해가 그것이다. 그런데 과연 그럴까.

 

 

 

 

-상처 치유의 전문가라고 할 수 있는 정신분석학자의 말을 들어보자. 슬라보예 지젝은 영화에서 홀로코스트가 표현되는 양상을 분석한 적이 있다. 두 가지 유형이 구분된다. 하나는 홀로코스트라는 절대악 속에서도 인간적 가치가 견지되는 비극적 양상을 그려내는 영화들이다. 반드시 비극적이지는 않지만 그 대표적인 경우가 스필버그의 <쉰들러의 리스트>이다. 다른 하나는 그 절대악에 희극적으로 접근하는 영화들이다. 로베르토 베니니의 <인생은 아름다워>가 대표적인 경우로, 그 영화에서 아버지는 수용소의 현실을 놀이로 변형시키고, 그렇게 아들을 구한다. 물론 비극이 첨가된다. 아들은 생존하지만 아버지는 죽는다. 지젝은 덧붙인다. 베니니가 일관성을 유지했다면, 다가오는 미군 탱크가 아이를 나치 저격수로 오인하여 사살하도록 했을 것이라고.

-지젝이 주목한 것은 그러나 비극과 희극의 피안에 있던 사람들이다. 나치 수용소에는 당시 “무젤만(Muselmann)”으로 불리던 사람들이 있었다. 말하자면 영화 <소피의 선택>에서 하나를 선택하지 않으면 모두를 죽이겠다는 나치의 협박에 직면하여, 딸을 죽도록 하고 아들을 살린 소피 같은 이가 바로 그런 존재이다. 무젤만은 삶의 이유가 남김없이 파괴된, 먹고 마시는 것이 허기와 갈증과 무관하게 그저 맹목적인 습관에서 이루어지는, 사람 아닌 사람, 그야말로 “인간의 영도(零度)”이다.

-무젤만은 미학화의 대상이 되지 못한다. 그를 희극으로 표현하면 비극이 되어버리고, 비극으로 표현하면 희극이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그렇듯 미학화가 실패하는 존재는 인간의 상징질서의 피안에 있는 존재다. 언제나 그렇듯 지젝은 여기에서도 라캉의 “실재(the real)”을 발견한다. 실재는 치유의 대상이 아니다. 치유란 과거를 기성의 상징질서에 포섭하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실재는 오히려 새로운 상징질서를 구성해내기 위한 초석으로 삼아야 할 그런 어떤 것이다. 실재는 사회적 화해의 대상도 아니다. 그것은 사회에 난 구멍이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어두운 과거에 “무젤만”이 득실대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비교와 적용은 신중해야 한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특정한 과거가 현재에 유의미해지기 위해서는 그 과거를 현재의 기성 가치 속에 통합시키는 작업에 멈추어서는 곤란하다는 점이다. 과거는 새로운 미래를 위한 초석이 될 때 비로소 유의미한 것이 아닐까. 그러기 위해서는 과거를 치유와 화해의 통로로만 삼아서는 안 된다. 치유와 화해는 오히려 과거를 새로운 공동체를 건설하기 위한 작업 과정의 출발점으로 삼을 때, 그 과정의 부산물로 얻어지는 것일지 모른다.

 

 

 

 

-치유와 화해를 과거청산의 목표로 삼는 순간, 기억의 적절한 정도와 가해자와 피해자의 엄격한 구분이 문제로 부상할 수밖에 없다. 이는 과거청산을 새로운 갈등의 원인으로 만들어버린다. 막말로 그렇다. 피해자는 가해자를 용서할 수 있다. 그러나 가해자인 나는 나를 용서할 수 없다. 모두가 가해자는 아니라고? 맞다. 그러나 우리는 어떤 방식으로든 “실재”와 연관된다. 자학이라고? 그럴지도 모른다. 그러나 자학은 자만보다 얼마나 더 진실된가.(*필자의 주장이 단평이 아닌 책 한권, 적어도 논문 한편 정도의 분량을 얻었으면 좋겠다.)   

06. 05. 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